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나더씽킹 Jun 07. 2023

우리가 사랑하는 것들

'삶'을 생각하게 한 '죽음'에 관한 이야기

매 순간에 의미를 부여하며 살 수는 없습니다.

매 순간 심장 터질듯한 뜨거운 열정으로 사랑할 수 없는 것처럼.

그냥 그냥 흘러가듯 살다가, 그러다 문득 가끔 어쩌다 뭔가를 계기로 깨닫고 다짐하죠. 

아, 잊고 있었구나, 지금 내가 사는 모든 순간이 소중하다는 것을.

그리곤 다시 그냥 그냥 일상을 살다가 잊어요. 


그래야 살죠. 그렇지 않고서야 매번 매 순간에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는 압박에 오히려 지쳐버리거나 의미의 특별함이 사라져 버릴 테니까요. 


저도 그런 일을 반복적으로 겪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좀 더 자주 깨달음과 다짐의 순간을 만났는데요,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샐리 티스테일 지음)라는 책이 강력한 매개가 되었습니다. 제목만 봐도 알겠지만, 죽음과 죽어감의 순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당연히 그러지 않았겠어요. 


책은 많은 사례를 통해 다양한 죽음의 이야기,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 하다 못해 죽음을 앞둔 환자와 나누지 말아야 할 말이나 해서는 안 되는 태도에 이르기까지 '죽음'을 중심에 두고 아주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저는 모든 챕터 하나하나를 삶을 대하는 태도, 살아있는 모든 순간에 대한 마음가짐으로 받아들이며 읽었습니다. 


맞아요, 너무 뻔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그래도 오늘의 이 뻔한 이야기 혹은 문장 덕분에 꾸물꾸물한 날씨마저도 '다시없을 오늘'이란 의미가 부여돼 더 특별해 보이네요. 

사실, 지난 이틀을 아프면서 평소엔 전혀 의식하지 못했던 '쉽고 편안한 숨'이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생각하던 참이었거든요. 


나에게 주는 오늘의 문장 처방


"우리는 위태로운 삶을 너무나 소중히 여긴다. 눈앞에서 덧없이 흘러가는, 변화무쌍한 삶에 간절히 매달린다. 우리는 나날이 빛나는 특별한 삶을 찬미한다. 하지만 태어난 모든 것에는 죽음이 따른다. 아무리 다정하고 완벽한 만남도 결국엔 헤어짐이 있다. 우리는 스러져가는 모든 것의 아름다움을 바라본다. 시시각각 변하는 풍경, 머리카락을 흩날리는 바람, 뺨에 와 닿는 숨결, 물 한 모금, 힘없이 떨어지는 단풍, 우리가 사랑하는 것들, 우리 자신의 삶. 딸기, 이슬을 머금은 새빨간 딸기 하나."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서> 중 

매거진의 이전글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