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파란리본 황정희 Oct 08. 2021

목포 가을 입맛을 잡아라!"낙지탕탕이"

목포에서 '목포 이름값 하는구나'하는 음식을 만났다. 낙지 탕탕이, 주재료는 낙지다. 산낙지중에서도 되도록이면 발이 가늘어 쫄깃함이 압권인 세발낙지를 써야 맛이 더 좋다. 세발낙지 하면 목포, 낙지 제철은 이맘 때부터 겨울까지다. 목포 여행 계획이 있다면 낙지탕탕이는 꼭 먹어봐야 할 음식으로 적어놓자.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꼬물꼬물 살아있는 낙지를 칼로 탕탕 소리가 나도록 내리쳐서 자른다. 그래서 이름이 '낙지탕탕이'다. 먹는 방법은 두 가지,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것을 기름소금장에 찍어 먹는 것과 간간하면서 고소하게 참기름과 소금에 버무려  내온 낙지를 먹는 것이다.

이 음식의 생명은 재료의 신선도다. 목포 맛집 '남도랑'에서 맛본 낙지탕탕이와 갈치찜에 가을 입맛이 확 살아났다.  '불어나는 뱃살 어쩔 거야?' 그런 고민은 내일부터 하기로...

낙지탕탕이 음식값이 장난이 아니다. 4인이라면 대자는 시켜야 먹을만하다. 9만 원, 비싼 만큼 제값을 하니 불만 제로다.

한우 육회, 얇게 저민 전복, 낙지탕탕이가 한 접시 위에서 싱싱함을 자랑한다. 알맞게 짭짤한 간, 코끝에 걸리는 고소함이 입안에서 착착 붙는다.

함께 시킨 갈치찜은 밥도둑이다. 양념이 과하지 않아 국물을 떠서 밥과 먹으면  어울림이 좋고 사르르 녹는 갈치 살을 얹으면 밥 한 숟갈이 산해진미가 따로 없다. 여행 중 그 지역의 싱싱한 맛을 즐기는 것은 여행의 만족도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속도가 KTX열차급이다. KTX 타고 간 목포에서 낙지탕탕이로 맛의 KTX를 탔다.

매거진의 이전글 새우젓이 궁금하다, 대명항 젓갈시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