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부장 Aug 25. 2020

애틋함이 없다

비 오는 날 생각난 엄마의 구두

                                                                                                                                                                                                                                                                                                                                                                                                                                                                                                                          

비가 온다. 



장화를 찾느라 현관 신발장, 베란다 신발장을 뒤적 뒤적하다가 있는지도 몰랐던 내 신발, 아이들 신발이 이렇게 많은 줄 새삼 알았다. 결국 찾으려던 장화는 찾지 못하고 오랜만에 눈에 띈 샌들을 허겁지겁 신고 집을 나서며 나도 모르게 잔소리처럼 혹은 탄식처럼 한마디 흘러나왔다. 

 

" 애틋함이 없다."


애틋함이 뭐야?   역시 바쁘게 엄마에 밀려 문 밖으로 밀려 나오면서도 엄마의 말은 자동으로 포착이 되는지 내 혼잣말을 들은 큰 아이가 물어오지만, 글쎄 지금 내 마음을 애틋하다 라는 단어의 뜻을 빌어 이 아이에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중에 얘기해 줄게 라고 얼버무리고 각자 갈 길로 흩어졌다. 


애틋함. 사전에선 뭐라 설명하고 있을까 초록창에 검색을 해보니 


애틋하다 

 1. 섭섭하고 안타까워 애가 타는 듯하다.

 2. 정답고 알뜰한 맛이 있다.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애틋하다

worried, vexed, troubled, pathetic pitiful, dear, affectionate  등등등


예상대로 사전에는 "안타깝다"라는 단어로 설명이 되어있다. 하지만,  안타까움은  "아...!" 라는 낮은 탄식 정도로도  표현할 수 있지만 애틋함은 말이나 표정으로 나타내기 힘들다. 영어식 표현은  더 맘에 들지 않는다. worried 라니. 애틋함은 걱정을 하는 마음이 아닌, 그리움이 배경이된  아련한 마음이다.


은근한 발냄새, 고무 냄새 틈에 흩어져 있던 신발들에서 갑자기 애틋함을 느낀건, 문득 떠오른 엄마의 구두 때문이다. 




지금 내 나이 즈음의 엄마에겐 신발이 몇 켤레 되지 않았다. 때와 장소에 맞는 신발을 다 구비할 만큼 여유롭지도 않았지만  신발이 여러 켤레 있다 해도 여기저기 쑤셔 넣어 보관할 곳도 없어, 엄마의 신발은 편하게 신는 캐주얼화와 검은  구두 한 켤레, 그리고 가족 누구든  발가락에 걸리면 신고 나가는 슬리퍼 정도였던 것 같다.

그중 신발장 가장 깊숙이 , 가지런히 놓여있던 엄마의 가죽 구두. 당시만 해도 직장인들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브랜드였던 E 브랜드의 로고가 이미 희미해진 베이지색 밑창과 발뒤축 가장자리에 조그맣게 박혀있던 은색 장식, 시장 구둣방 아저씨에게서 몇 번은 갈렸을 납작하고 조그만 굽 (그땐 이런 조그만 플라스틱 바닥으로 어떻게 땅을 디디나 궁금했는데), 한참을 담아 두었던 엄마의 발가락 모양을 닮아 조금은 올록볼록, 모양이 무너진 가장자리....


어느 날 친척 결혼식이라도 있어 엄마가 그 구두를 꺼내놓으면 손에 올려놓고 이리저리 살피며 눈에 담기도 하고 나는 언제쯤 이런 구두를 신어볼 수 있을까 신어보기도 했더랬다.

엄마의 구두에선  왜 발 냄새가 안 날까 하는 신기해하며 지저분하다는 생각 전혀 없이 구두에서 느껴지는 엄마 냄새를 큼큼거리다가 엄마에게 핀잔을 듣곤 했다. 엄마 신발은 발 냄새도 안나 라며 마루 아래 신발을 가지런히 놓아두는 나를 보고 웃어주시며 조심스레 구두 주걱으로  발을 밀어 넣던 엄마. 



이제 나에게도 애틋함이란 그냥 추억으로만 남아있게 되는 건지. 가족들이 집을 떠나 구석구석 빈 집안처럼 

이제는 여유 있어진 신발장에 이런저런 용도로 많아진 엄마 신발들을 보아도 감흥이 없다. 칠십 줄을 걷고 계신 엄마를 담은 지금 엄마의 나른한 신발은 밑창을 누르는 힘찬 발걸음도  없고 고린내를 만들어낼 땀도 기력도 기름기도 없는 발로 인해 그저 새것 냄새만 풍긴다. 그때처럼 손에 올려놓고 본다고 그 애틋함이 돌아올까.....


갑자기 중학교 때 좋아하던 신발과 애틋함에 대한 시가 떠올라 뒤적여 보니 그 이름도 신발이었구나.      

서정주 님의 글.                                                                                                                                                                                                                                                                                                                                                                                                                                                                                                               

 신    발                                       




나보고 명절날 신으라고 아버지가 사다주신 내 신발을 

나는 먼바다로 흘러내리는 개울물에서 장난하고 놀다가 

그만 떠내려 보내버리고 말았습니다. 아마 내 이 신발은 

벌써 邊山 콧등 밑의 개 안을 벗어나서 이 세상의 온갖 

바닷가를 내 대신 굽이치며 놀 아다니고 있을 것입니다.

  아버지는 이어서 그것 대신의 신발을 또 한 켤레 사다

가 신겨주시긴 했습니다만,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대용품일 뿐 , 그 대용품을 신고 명절을 맞이해야 했었습

니다. 

  그래, 내가 스스로 내 신발을 사 신게 된 뒤에도 예순

이 다 된 지금까지 나는 아직 대용품으로 신발을 사 신

는 습관을 고치지 못한 그대로 있습니다. 



                                                                      -서정주 





어렸을 적 한 번쯤 잃어버렸을  신발.

예순이 넘어서도 잊어버릴 수 없는 애틋한 내  신발. 


아침, 비에 젖어 오솔오솔 추위는 느껴지지만 산문시 특징 그대로, 시집에 수록된 모양을 맞춰 천천히 또각또각 타이핑을 해 보니 나 대신 온 바닷가를 굽이칠 신발 생각에 잠깐 지금 이 순간이  꿈인 듯 느껴진다. 

               

           

애틋다.  

그때의 나와 엄마, 그리고  엄마의 구두.

우리 아이들이 내게 갖게 될 애틋함이란 어떤 느낌일까. 고이 넣어두었다가 내가 엄마만큼 늙었을 때 , 아이들이 멀리서 나를 그리워 할 나이가 되었을 때 넌지시 꺼내어 물어보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를 원망할 일이 아니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