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용마 Aug 31. 2022

글쓰기는 내가 추는 춤

아무리 슬픈 사연도 말하고 나면 고통이 줄어들어요. 아무리 고된 노동이라도 노래에 실리면 힘든 줄을 몰라요. 리듬 때문이지요. 그건 일의 리듬이고 몸의 리듬이에요. 계단 잘 내려가다가도 ‘조심해야지’하면 걸음이 엉켜 비틀거려요. 몸하는 일에 머리가 개입해서 생기는 혼란이지요. 시 쓸 때도 머리보다 몸에 맡기도록 하세요.

- 책 <무한화서>, 이성복


글쓰기가 갑자기 어렵게 느껴지는 시기가 찾아오면 이성복 시인을 떠올린다. 그가 쓴 대부분의 시들은 내가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이라 그나마 이해할 수 있는 책 <무한화서>를 자주 펼치곤 한다.

요즘에도 다시 펼쳤다. 누군가 ‘몇 번이나 읽었어?’라고 묻는다면 셀 수 없이 많이라고 답할 정도로 참고서처럼 열어보는 책이다. 최근에 꽂혔던 그의 텍스트는 리듬이었다. 리듬.

아, 내가 지금 리듬이 깨진 거구나.

그가 말했던 것처럼 계단을 잘 내려가다가도 어? 내가 지금 세 칸씩 내려가고 있는 건가?라는 생각이 몸에 개입하면 보폭은 두 칸도, 세 칸도 아닌 어정쩡하게 되고 넘어지기 쉽다.

아침 6시에 일어나 지난 몇 개월을 책도 읽고 공부도 하던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5시에는 일어나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으로 인해 아침 시간 자체가 폭삭 무너지는 것처럼.

글쓰기는 내가 추는 춤이었다. 머리가 아닌 몸으로 하는 일. 리듬에 맡겨 움직이면 될 일이었다. 매일 추는 춤이 잘 되는 날도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날도 있지만 그건 그리 중요한 게 아니었다. 중요한 건 머리가 개입하지 않게 하는 일뿐이었다.

잘 못 추는 날에도 춤은 엉망이 되지 않는다. 몇몇 동작이 아쉬울 뿐이다. 하지만 머리가 개입하는 순간 모든 게 엉망이 된다. 춤을 추기 전 보고 온 영상으로 인해 그동안 쌓아온 춤 실력이 형편없게 느껴지는가 하면 지금 추는 춤이 의미가 있을까 의심을 갖기도 한다. 언제나 리듬을  깨는 쪽은 몸이 아니라 머리였다.

그러니 리듬이 깨져 괴로워하고 있다면 ‘내가 왜 이모양일까?’ 머리에 맡기는 대신 아무 생각 없이 몸에 맡길 것. 몸에 맡기다 보면 어느 순간 다시 리듬을 찾게 된다. 그때 춤은 계속된다.





매주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비겁한 선택을 해도 좋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