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라질소셜클럽 Nov 22. 2023

미국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의 역사와 장단점

모든 여성은 똑같은 억압을 받는가?

페미니즘은 성차별적 억압에 대한 저항이다. 특정 집단의 여성이나, 인종, 계급의 이득을 위한 것이 아니다.
- 벨 훅스, 페미니즘 이론: 주변에서 중심으로

왜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이란 어려운 단어와 이론이 나오게 되었는지 이해하려면 시대를 좀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2차 세계 대전과 여성

일단 급하니까 나와서 일을 하세요!


세계 2차 대전이 발발하고, 미국의 수많은 젊은 남성들이 전쟁터로 끌려간 동안 여성들이 사회 전반의 빈자리를 메워야 했습니다. 이들은 집에서는 알뜰한 가정주부로써, 일터에서는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위해 일하는 산업역군으로써 전방위로 활약하였고, 미국 정부와 민간단체들은 프로파간다를 동원해 가며 일터로 나선 여성들을 응원했습니다.


여성들이 총동원된 미국의 공업력은 전세계인의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습니다. 한 예로 디트로이트 근방의 윌로우 런(Willow Run) 공장은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약 4만 명의 인력으로 한 달마다 200대에서 많게는 650대의 B-24 폭격기를 자동차 찍듯이 찍어냈고, 총 8,865대 생산을 기록했습니다. 이 한 공장의 비행기 생산이 일본 전역의 생산과 맞먹었습니다. 윌로우 런 근로자의 1/3은 남성과 동일 임금을 받는 여성이었습니다.


We Can Do It!


1945년, 일본이 항복하고 전쟁이 끝나자, 미국에게는 천만 명이 넘는 병력 중 90%를 해산해야 하는 엄청난 숙제가 떨어졌습니다. 이것은 전쟁을 준비하는 일만큼이나 복잡했고 빨리 우리 남편, 아들 집으로 돌려보내라는 항의가 빗발치는 가운데 미군은 항공모함까지 개조해 가며 전역병들을 실어 날라야만 했습니다.


그럼 사회에 열심히 참여하고 있던 여성들은 어떻게 되었냐고요?


사회 전반에 남성들이 물밀듯 들어오면서 여성들은 다시 주변부로 밀려났습니다. 특히 여성의 대학 진학률은 1940년대에 55%에 가까운 정점을 찍었다가 1945-50년 25%로 수직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쟁 동안 겨우 사회의 주인으로 대접받는가 했던 여성들은 1-2년 만에 대규모로 복귀한 남성들에게 자리를 내주고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야만 했습니다.


연초 땡기네?


1963년, 스미스 칼리지의 동창회에 참석한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은 자신의 동창들이 대부분 아이가 딸린 가정주부가 되어 공허함을 호소하는 것을 보고, 그녀들의 이야기를 모아 책을 한 권 냈습니다.


난 내 남편과 내 아이와 내 집 그 이상을 원해요.
- 베티 프리단, 여성의 신비(1963)


<여성의 신비>는 전후 사회에서 밀려난 여성들의 좌절과 전쟁에서 돌아온 후 "자상한 아내"만을 찾는 남성들의 시선을 묘사하며 미국에 큰 돌풍을 일으켰고 현대 페미니즘의 시작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3차 페미니즘: 상호교차성 이론

흑인 싱글맘


흔히 "3차 페미니즘 물결"이라고 불리는 벨 훅스와 킴벌리 크렌쇼의 이야기는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베티 프리단을 시작으로 여성들의 목소리와 사회 참여는 높아져 갔고 페미니즘이란 용어가 미국사회에 정착했을 무렵, 흑인 여성들은 어딘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고 있었습니다.


결혼한 흑인과 백인 여성의 부의 격차는 3-6배까지 벌어졌습니다.


"쟤네는 서버브의 마당 딸린 집에서 육아 힘들다고 난린데 우리는 집은커녕 여전히 가난하기만 하고 페미니즘 20년 동안 나아진 게 없네?"


1980년대 이 문제를 처음 공론화한 학자 중 한 명이 벨 훅스(Bell Hooks)였습니다. 백인 여성의 지위가 계속 상승하는 동안 흑인 가정은 마약 문제, 게토화로 인해 오히려 퇴화하여 처참한 수준이었고 대학 교육이나 고소득 직장의 근처도 가 보지 못한 흑인 여성들은 담론에서 버려졌다는 것입니다.


1989년 법학자 킴벌리 크렌쇼는 제너럴 모터스사가 흑인 여성들을 단체로 해고한 사건을 예로 들면서, 법정에서 "여성 차별은 있어도 흑인 여성 차별이라는 카테고리는 인정할 수 없다"라고 판결한 것을 비판하는 논문을 작성했습니다. 여기에서 교차로 이론이 처음 등장하게 됩니다.


교차로에 서 있는 흑인 여성이 차별에 의해 치인다면, 그녀는 성차별에 의해 다칠 수도, 인종차별에 의해 다칠 수도 있다.
- 킴벌리 크렌쇼, 1989년 시카고 법대 논문


당연하게도 법학자들이나 읽는 논문이었기 때문에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은 20년 넘게 조용히 묻혀 있다가 2010년대가 넘어서야 메인스트림에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상호교차성 이론의 장점


크렌쇼의 예를 들어 "흑인 여성 노동자"라는 사람은 최소 3개의 아이덴티티를 가진다는 이론이 바로 상호교차성입니다. 그녀가 사회에서 마주하는 억압은 "백인 여성 노동자"와 다르고, "흑인 남성 노동자"와도 다르며, "흑인 여성 건물주"와도 다릅니다.


이 이론의 최대 강점은 여러 인종, 이민신분이 혼재하는 미국 사회에서 누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지에 대한 빠른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상호교차성 이론은 같은 이유로 의학 및 정신과에서도 이용됩니다. 미국 백인 여성이 겪는 시댁 갈등과, 한국 이민자 여성이 한국 시댁과 겪는 갈등이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점을 인지하자는 취지입니다.


의학의 렌즈로 바라본 상호교차성


상호교차성은 또한 현대 남성들이 기존 페미니즘에 대해 가지는 강한 반감을 설명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모든 남성은 여성을 억압한다"라는 명제는 남성들이 실제 학교나 직장에서 겪는 차별을 설명해주지 못합니다. 특히 한국이나 일본처럼 나이, 기수, 학벌, 경력 등으로 촘촘하게 사회권력이 나눠져 있는 경우 여성이 남성을 억압하는 사례도 당연히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즉 누가 누군가를 억압하는 데는 최소 경제적/성적/인종적 3가지의 요인이 있으며 이 세 가지가 교집합으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상호교차성 이론의 한계점


위의 사진은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대학을 다니면 한 번쯤 보게 될 "특권 계급표"입니다. 상호교차성 이론은 최근 10년 새 대학가와 인터넷을 통해 크렌쇼 본인도 놀랄 만큼 급격하게 퍼져 나갔고, 급기야 구별짓기를 좋아하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여러 계급표가 등장했습니다.


이들에 따르면 세상에는 성별을 포함해 더 많은 차별 요인이 있으며, 그것을 더 겪는 사람은 덜 겪는 사람에 비해 목소리를 존중받아야 마땅합니다. 반면 반대파, 특히 대안 우파(Alt-right)에서는 무슨 차별 올림픽도 아니고 표에 따라서 카스트를 만드는 것이 말이 되냐고 반박합니다. "그러면 백인 스트레이트 남성인 나의 의견은 사회에 필요 없고 난 아무 말도 하면 안 되는가?"가 그들의 주장입니다.


상호교차성 이론에서 주로 사용하는 인종, 젠더, 계급(Race, Gender, Class)에 명확한 정의가 없다는 점도 일부 학자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됩니다. 인종의 정의만 해도 시대별, 국가별로 계속 변화해 왔는데 마치 굳어져 있는 카테고리로 간주한다는 말입니다.


페미니즘 내에서 상호교차성에 관한 의견이 갈리는 대표적인 이유는 아이덴티티가 지나치게 잘게 쪼개진다는 이유입니다. "같은 여성으로서 목소리를 내어서도 벅찬데, 수백 가지의 여성이 서로 별개의 아이덴티티라고 한다면, 제대로 된 운동이 가능한가?"가 대표적 반박입니다.


이 논란의 중심점에는 두 가지 질문이 현재진행 중입니다.


비교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

두 아이덴티티의 경험과 삶이 상호 비교 가능한 수준인가? 아니면 근본적으로 달라서 비교조차 불가능하다고 보는가?


무한 회귀(Infinite regress):

아이덴티티를 어느 단계까지 잘게 쪼개야 하는가(Irreducibility)? "흑인, 레즈비언, 20대, 저소득층, 시골, 장애인..." 같은 라벨이 여성운동에 실제적인 의미가 있는가?


외국인 비율이 5%가 안 되는 한국에서는 아직 인종적인 부분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는 않으나, 그것도 곧 바뀔 것입니다.


내 주위에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은 어떤 교집합을 갖고 있나요?




인용 자료들:

Extending Bell Hooks' Feminist Theory - Hazel T. Biana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 Kimberle Crenshaw
Intersectional Feminist Theory as a Non-Ideal Theory: Asian American Women Navigating Identity and Power - Youjin Kong
The Invisibility of Privilege: A critique of intersectional models of identity - Anna Carastathis
The Intersectionality Wars (Vox) - Jane Coaston


매거진의 이전글 정말 인스타가 대한민국을 망쳤는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