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심간(心肝)

by 김선태 Mar 16. 2025

  며칠 전, 이렇게 결정할지, 저렇게 결정할지, 고민거리 아닌 고민거리가 있었다. 이야기를 듣던 후배가

대신 결정 해주며, 형님, 그래야 '신간'이 편해요! 라고 하는 게 아닌가. 문득, 호기심이 용솟음쳐서 후배에게, 신간은 어디서 유래되었을까? 하고 물었다. 눈을 끔뻑거리는 후배에게, 그나저나 신간의 뜻은 알아? 하고 재차 물었다. 이번에는 후배가 두 눈에 힘을 주고 미간을 좁히며, 혹시, 신은 몸 신이고 근데 간은 뭐지? 라고 했다. 나는 혼잣말 비슷한 후배의 말이 끝나기 무섭게, 혹시 말이야. 신은 신장이고 간은 간 아닐까? 속이 편하고 몸이 편하다. 뭐. 그런 뜻 아닐까? 라고 말했다. 우린 그렇게 호기심 덩어리를 갖고서 웃으며 헤어졌다.


  며칠이 지난 오늘, 그 신간을 찾아봤다. 결론은 신간이 편하다는 틀린 표현이다. 심간(心肝)이 편하다고 해야 한다. 여기서 '심간'이란 심장과 간을 의미하고 깊은 마음속 또한 의미한다.


  요즘 심간이 불편한 건 왜일까? 회사에선 월급도 밀리지 않고 잘 주고 아내는 늘 사근사근 웃으며 대해주는데…. 원인을 굳이 찾자면 딸아이 때문인 듯싶다. 고등학생이 된 하은이가 이른 아침에 나가, 새벽 가까운 시간에 집에 돌아온다. 우리나라는 너무너무 좋은 나라인 것 같다. 아이들을 온종일 책상에서 보호하는 우리나라는 참 좋은나라다. 어른이 된 선태는 대한민국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어 심난하다. 불편한 교육 천국을 만들고 있는 동조자가 된 듯해서 심난하다. 심난하니 심간이 편치 못하다. 어휴......

작가의 이전글 행복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