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우성 변호사 May 01. 2017

말이 앞서는 사람 vs 행동으로 보여주는 사람

조우성 변호사의 논어 노트

변호사 업무를 하다보면 서로 시너지가 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갖고 사람들을 소개한다. 그렇게 소개한 사람들이 서로 좋은 결과를 내는 경우도 있지만, 의외의 피드백을 받는 경우도 있다.


“그때 그 김사장 님은 조변호사님이 잘 아시는 분인가요?”


아주 조심스럽게 묻는 박 사장. 


전후 사정을 들어보니 처음에는 김사장이 거창하게 이야기해서 믿고 진행했는데 알고 봤더니 애초에 밝혔던 것의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실체를 드러내는 바람에 낭패를 봤다는 박 사장. 선의를 갖고 소개해 준 것을 알기에 내가 비난받을 일은 아니지만 모양새가 영 아니었다. 겉으로 보이는 김사장의 모습에는 거품이 끼어 있었나.     



처음 누군가를 만나면 우리는 그 사람의 말을 접하게 된다. 행동은 그 뒤에 따라오는 것. 그 말이 근사하면 우리는 그 말을 믿게 된다. 바로 그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도 사실.     




子曰, “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자왈, 군자욕눌어인이민어행

- 논어 이인편 -      


공자는 말했다. “군자는 말은 어눌하려 애쓰고, 행동은 민첩해야 한다.”


말 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군자라는 의미다.

거의 같은 문장이 학이 편에서도 발견된다.     


子曰, 君子敏於事而愼於言

자왈, 군자 민어사이신어언

- 논어 학이편 - 


공자는 말했다. “군자는 일을 할 때는 민첩하게 하고 말은 신중하게 한다.”     


말이 앞서는 사람을 주의하라는 부분이 공통된다.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 논어 학이편 -     


공자는 말했다. “말을 아주 정교하게 남이 듣기 좋도록 하고, 얼굴빛도 곱게 하는 사람들 중에 정말로 어진 사람은 드물다.”     


말을 잘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는 것이 반드시 나쁜 일은 아니리라. 하지만 제대로 된 실질을 갖추지 않은 생태에서의 교언영색은 자신의 허물을 가리기 위한 장식에 그칠 수 있다는 경계를 주고 있다.      




왜 이렇게 말이 앞설까?     


子曰,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

- 논어 헌문편 - 


공자는 말했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은 자신을 갈고 닦는 데 힘썼고 오늘날 배우는 자들은 남에게 인정받는 데 힘쓴다.”     


‘위기(爲己)’는 ‘도를 자기 몸에 얻으려고 하는 것’이요, ‘위인(爲人)’은 ‘남에게 인정받으려 한다‘는 의미다(程伊川 ; 정이천). 이와 관련해 다산 정약용의 풀이는 다음과 같다. ’자신을 갈고 닦는 사람은 말을 앞세우지 않지만, 남에게 인정받는 데 주력하는 사람은 행동이나 실천보다는 말을 앞세우기 마련이다.‘


행동보다 말이 앞서는 사람은 남의 인정을 받아내려는 급급한 마음에 실질이 따르지 않은 공허함을 외부에 표현하면서 상대방 마음을 잡으려 애쓴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말만 앞선 이들에게는 아래 문장도 가르침이 될 것 같다.     


子曰, “苗而不秀者, 有矣夫! 秀而不實者, 有矣夫!”

자왈 묘이불수자 유의부, 수이불실자 유의부

- 논어 자한편 -   

  

공자는 말했다. “싹은 돋았으나 꽃을 피우지 못하는 것도 있고, 꽃은 피우고서도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도 있다.”     


공자는 ‘스타트는 누구나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을 끝내 이뤄내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몇 마디 말로, 그리고 쌈빡한 눈빛으로 상대방을 현혹시킬 수 있겠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실질이 없을 때는 공허해진다. 그 바닥은 의외로 쉽게 드러난다.     


그래서 군자는 말에 엄격한 법이다.     


子曰, 古者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자왈 고자언지불출 치궁지불체야     

- 논어 이인편 - 


공자는 말했다. “옛날에 훌륭한 사람들이 말을 함부로 하지 않았던 것은 몸소 그 말을 실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부끄러워해서였다.”     


여기서 치(恥 ; 부끄러워 하다)에 주목한다. 


언행일치가 되지 않는 것을 부끄러워하면 군자인 것이고, 그것을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고 개의치 않으면 소인이라 보았다. 외형적으로 언행이 일치하느냐라는 ‘결과’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그에 대한 내면적인 부끄러움(恥)을 느끼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논어보다 훨씬 현실적인 ‘채근담’의 조언 한 구절을 덧붙인다.     




十語九中(십어구중)이라도 未必稱奇(미필칭기)나

열 마디 말 가운데 아홉 마디가 맞더라도 반드시 기이하다고 칭찬하지 않지만,


一語不中(일어부중)이면 則愆尤騈集(즉건우변집)하며,

한 마디 말이 맞지 않으면 허물이 한꺼번에 몰려들며,


十謨九成(십모구성)이라도 未必歸功(미필긔공)이나

열 가지 꾀 가운데 아홉 가지가 성공하더라도 공으로 돌리지 않으나


一謨不成(일모불성)이면 則資議叢興(즉자의총흥)하나니

한 가지 꾀라도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난하는 말이 때로 일어난다.


君子(군자)는 所以寧默(소이녕묵) 이언정

군자는 차라리 침묵할지언정


毋躁(무조)하고 寧拙(영졸)이언정 毋巧(무교)니라.

함부로 떠들지 않고 차라리 못난 체할지언정 재주를 부리지는 않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인정욕구 다스리기, 사람 제대로 알아보기(知人)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