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개념탑재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우성 변호사 Jan 04. 2025

사십구재(四十九齋), 영혼의 길을 밝히다

 사십구재(四十九齋), 영혼의 길을 밝히다


칠칠이라는 숫자가 품은 완성의 의미는 동아시아의 깊은 영성 속에서 하나의 의례로 꽃피었다. 사십구재(四十九齋)는 그렇게 탄생했다. 죽음과 다음 생이라는 두 세계 사이에서, 떠나는 이와 보내는 이들이 맺는 마지막 인연의 의식이었다.


불교의 전통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이 중음신(中陰身)이 되어 새로운 생으로 나아가기까지 사십구 일이 걸린다고 보았다. 산스크리트어 'antarābhava'에서 비롯된 이 개념은 죽음과 환생 사이의 미묘한 존재 상태를 일컫는다. 이는 마치 나비가 되기 위해 고치 속에서 보내는 시간과도 같은 것이리라.


동아시아의 각 나라들은 이 의례를 자신들의 토양에 맞게 변주해 왔다. 중국에서는 음양오행의 도교적 세계관이 더해져 더욱 정교한 의식으로 발전했다. 일본은 신도(神道)의 영적 세계와 불교의 관념을 절묘하게 조화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유교의 효(孝) 사상과 만나 조상숭배의 정신까지 아우르는 의례가 되었다.


칠일마다 지내는 일곱 번의 재는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닌다. 매 재마다 특별한 진언과 독경이 있고, 정성스레 마련한 공양이 있으며, 이를 통해 망자의 영혼이 점차 맑은 깨달음에 이르기를 기원한다. 이는 단순한 종교적 의식을 넘어 인간 영혼의 정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49재는 더욱 깊은 의미를 획득했다. 핵가족화로 인해 상실의 아픔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 이들에게, 칠주간의 의례는 같은 아픔을 지닌 이들과 함께하는 치유의 시간이 되었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온라인 추모관이 생기고 화상으로 재를 지내게 된 것은 형식의 변화일 뿐, 영혼을 위로하고 마음을 정화하는 본질만큼은 변함이 없다.


죽음이라는 심연 앞에서 인간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은 존재일 터. 다만 그것을 받아들이는 방식에서 문화의 깊이와 민족의 지혜가 드러난다. 49재는 죽음이라는 보편적 진실 앞에서 동아시아인들이 찾아낸 하나의 해답이었다. 떠나는 이에게는 안식을, 남은 이에게는 위안을 주는 이중의 지혜를 담아낸 것이다.


"願以此功德, 莊嚴佛淨土" (원하건대 이 공덕으로써, 부처님의 정토를 장엄케 하소서)


- 법화경(法華經) 회향게(廻向偈) 중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