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준식 Dec 18. 2020

손톱달

爪月(조월)


窮理不及顯*(궁리불급현) 이치를 궁구함은 드러냄에 미치지 못하고, 

但對繫實相*(단대계실상) 다만 마주 하니 실상에 머물러있구나.

光拒雖歉然 (광거수겸연) 빛이 가려 이지러졌지만

彌彌奐無相*(미미환무상) 두루두루 마음속에 빛나고 있음이니.


2020년 12월 17일 초저녁. 동짓달 초 사흘 달이 지평선 위에 겨우 걸려 있다. 달은 둥글어도 예쁘고 저 모습도 너무나 매혹적이다. 눈썹달(眉弧月)로도 불리는데 그만큼 사람들의 마음에 달은 이미 하나의 자연현상 이상으로 자리 잡고 있음이다.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품어 시를 썼고 수많은 사진이 저 달을 아름답게 묘사하였지만 아직도 여전히 저 달을 대상으로 글을 쓰고 사진을 찍는 것은, 달은 이미 단순한 자연현상의 경계를 넘어 독자적 관념 체계인 것이다.


문자로 된 격물의 이치를 아무리 궁구 하여도 현실의 저 달 빛과 견줄 수는 없다. 하여 달은 실상이다. 자전과 공전에 의해 가려지고 드러남을 반복할 뿐, 우리 마음속엔 항상 둥근달이 환하다.  


이 땅의 모든 복잡한 현실과 엄중한 역병 속에서도 이 초저녁 하늘의 달을 바라보는 마음 하나 있다면 우리는 그 모든 것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 窮理: 이치를 궁구 한다는 뜻인데, 이른바 格物致知이며, 그 방법으로서는 博學‧審問‧愼思‧明辨‧篤行을 들었다. 그리고 이때의 이치는 일상생활 속에서 마땅히 실천해야 할 도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격몽요결)


* 實相: 불변하는 진리의 참 모양. 空과 같으며 동시에 無相이다. ‘존재의 본질’ 혹은 ‘존재의 본성’ 등 다양한 의미를 함축한 말이다. 진실 자체의 모습이라는 기본적 의미로부터 평등의 실재, 불변의 이치를 뜻하며, 모든 존재의 근본 이치가 되는 성질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 자체로 진실하고 언제나 있어서 眞如라고도 한다. 


* 無相: ‘상’은 우리에게 일어나는 허상을 말한다. 즉 우리들의 생각인 想이 마음 밖의 대상으로 실재한다고 착각하는 것이 相이다. 그리하여 무상은 ‘相 속에 있으면서도 相을 떠나는 것’이다. 말하자면 모든 경계에서 집착을 떠난 것이 무상이다. 모든 사람의 마음은 본래 무상이다. 

작가의 이전글 얽히고 설키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