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류동석 Aug 18. 2023

'사용자 경험 모델'의 개념과 활용

'우리회사에서는 앞으로 더 혁신 적인 것을 만들어 내고 싶습니다. 그런데, 우리회사도 비슷한 업을 하는 회사도 딱히 더 좋은 내용이 없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UX Project를 진행하면서 많은 고객들로 부터 듣는 질문입니다. 자신의 분야에 몰입되어 있으면 이러한 것은 더욱 심화되고, 답이 보이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창조적인 결과물에 완전히 새로운 것은 드물다는 것을 다시한번 상기하고 주변을 살펴보는 것을 권합니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 모델을 적절히 잘 잡았는지, 못잡았는지에 따라서, 설계된 경험이 최종적인 고객과 사용자에게 주는 영향이 많습니다. 


발전은 항상 기존의 것에서 조금더 개선되고, 새로운 개념이 유입되어 변형 진화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세상의 많은 일들이 각각의 비지스 모델이 있고, 유사한 비지니스 모델은 상호간에 참조되어 활용됩니다. 사용자 경험 모델 (User Experience Model)도 그러합니다. 


어떠한 분야든 비슷한 비지니스 모델이 있고, 각 회사의 경험 모델은 회사의 전략과 전술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집니다. 현재의 경험을 개선을 하고자 할 때, 그 분야 안에서 그리고 그 분야 안에서 경쟁자들과의 비교를 통해서만 활용하려고 할 때, 방향이 보이지 않고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경험 모델은 비슷하나, 다른 산업에서 먼저 경험의 레벨이 높아진 곳을 찾으면 진행의 속도가 빠릅니다. 저는 이러한 개념을 타도메인벤치마킹이라고 합니다. 비지니스의 영역은 다르지만, 경험의 모델이 비슷한 경우, 다른 도메인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확인하고, 좋은부분을 적극 참고하여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려면 우선 기존의 다양한 분야의 내용에 대해서 평소에 관심있게 살펴보고, 호기심을 가지고 이애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소에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없다면, 존제하는 다음 단계의 경험 모델을 확인하지 못하고  

작가의 이전글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야 할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