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라이스와 줄리 Jan 17. 2018

'제목 없음'

그냥

나른하게 배를 내밀고 앉아본다. 이런저런 문장을 썼다 지워본다. 목적 없는 생각들을 바로잡아본다. 뭔가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 때 취하는 태도다. 내 귀에는 밀려서 배경음악처럼 틀어놓은 드라마의 대사들이 꽂힌다. 뭘 써볼까, 고민한다. 쓰고 싶은 건 없다. 자책한다. 하고 싶은 말이 없다는게.


휴가 동안 서점을 하루에 한 번씩 다녀왔다. 읽은 책은 없다. 서점 곳곳에 마련된 자리에 앉아 글자를 통해 표현된 세계에 빠진 사람들을 구경한다. 다들 집중하고 있다. 어느 순간 나는 집중을 하지 못한다. 긴 글을 한 숨에 읽는 지구력이 없어졌다. 아니, 내가 없앴다고 하는게 맞겠다. 그저 서점에 깔끔하게 진열된 표지들을 쓰다듬어본다. 제목만 읽어도 내게 가장 맞을 내용을 알아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안타깝게도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나의 것'을 찾기 위해 내 노력을 들여야만 한다.


휴대폰을 바꿨다. 2년을 지키진 못했지만 그래도 1년7개월 정도를 고장 없이 썼으니 오래 버틴 셈이다. 휴대폰 속 연락처, 메시지 등을 옮기는 걸 기다렸다. 지루했다. 휴대폰도, 노트북도, 어떤 영상도, 활자도 없이 가만히 앉아있는 것이 힘들었다. 고작 20분 이내였는데 말이다. 새 휴대폰은 만족스럽다. 아주 비싸지도 않은 것이, 최고급도 아닌 것이 적당해서 좋다.


여행을 준비한다. 내일 아침에 떠난다. 지난 3일은 무위도식하는 기간이었다면, 남은 3일은 유위도식의 시간이다. 사진도 찍고, 꿈꿔온 일도 해볼테다. 여행은 갈 수만 있다면 늘 옳다. 적극적이어도 좋고, 비적극적이어도 좋다. 나는 소심하다. 둘러보는 일은 자신있다. 하지만 그 이상 가깝게 다가가진 못할 때가 많다. 겁도 많고, 부끄러움도 많다.


여전히 강박에 시달린다. 요새는 도전정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고민한다. 지구력의 부족도 느낀다. 뭔가 첫 발을 내딛는 걸 잘하지 못한다. 아무것도 안해도 괜찮다는 책이 수도없이 쏟아지는데, 뻔한 얘기라고 치부하면서도 아무것도 안해도 괜찮지 않다. 자기계발서를 무시하면서 가장 자기계발이 필요한 삶을 산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 삶. 혼자 남겨지면 밥먹을 때 편의점, 김밥천국, 맥도날드, 가끔 용기내면 라멘집 수준으로 밖에 가질 못한다. 스스로 운전도, 요리도, 뭔가를 배우는 일도, 고치는 일에도 잘 내딛질 못한다. 참 찌질하다.


이런 찌질한 강박증 늙은 청춘을 돌봐주는 이들이 있다.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들이다. 이렇게 놓고보면 내 장점이 뭐지? 싶기도 하다. 글쎄, 내가 먹고살기 위해 하는 일에 대해선 제대로 할 지 몰라도 그 울타리를 넘는 순간 무능력해진다. 이런 나를 한 발 한 발 내딛게 해주는 이들이 고맙다. 참 고마운 이들이다.


반전을 꿈꾼다. 분명 올해는 좀 더 힘을 내서 지난해보단 발전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있게 해야만 한다. 있게 하고 싶다. (이것도 사실 박일게다) 강박으로라도 발전을 해야한다면, 그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강박이 나를 움직인다면 자연스럽게 체화하는 방법도 있지 않을까. 억지로 하는 것 아니냐며 가끔 핀잔을 듣는다. 혹자는 이런 말을 한다. 말로라도 해야 그리 되지 않겠냐고. 동의한다. 마음은 그렇다고 말하는데도 실천하는데 망설임 있었다면, 억지로라도 움직이고 싶다.


그러다보면 내 것이 되겠지. 내 마음은 그게 맞다고 말하고 있으니까. 지금 내 마음은 그렇게 해야된다고 적극적으로 외치고 있으니까. 찔끔찔끔, 꼬물꼬물 발전해갈 내 모습을 기대한다. 그렇게 함께 맞이할 우리의 모습도.  

매거진의 이전글 잃어버린 뒤에 소중하게 다가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