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명환 Aug 11. 2023

괴롭힘 조사를 원하지 않아도 해야하나요?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거나 알 수 있었다면 조사를 해야합니다.

우리나라의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근로기준법 제76조의2, 제76조의3)은 괴롭힘을 금지하면서도 행위자에 대한 직접 처벌 규정은 두지 않고 있으며, 사업장별 상황에 맞게 괴롭힘 예방 및 대응조치를 정하고 그에 따르도록 만들어 졌습니다(직장 내 괴롭힘 판단 및 예방 대응 매뉴얼, 고용노동부).


 2021. 10. 14. 부터는 회사 내에서 이루어지는 조사가 형식적으로 되는 것으로 방지하고,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괴롭힘 사실 확인은 '객관적'으로 하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2항,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근로기준법 제116조 제2항).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해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 피해상태의 회복, 인격권이 보호되는 근무환경의 확립입니다. 그래서 피해자가 피해 사실이 없었던 상태로 돌아가 다시 건강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직장 내 괴롭힘 건강장해 예방 매뉴얼).


  따라서 사용자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경우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2항에 의해 지체 없는 조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피해근로자 등이 당사자 간 해결을 원하는 경우 약식 조사 및 조정 등의 절차를 거쳐 가해자의 사과 및 피해근로자 등의 용서를 통해 사건을 처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피해근로자 등이 사건 조사를 원하는 경우 정식 조사를 통해 직장 내 괴롭힘 사실이 확인된 경우 피해근로자의 의견을 들어 행위자에 대한 징계 등의 조치를 하고 피해근로자를 보호하는 조치를 다 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 조사 기간 중에는 근로 장소 변경, 유급휴가 명령 등의 조치를 하면서 피해근로자 등의 의사에 반하게 해서는 안 되며(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3항), 조사결과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행위자에 대해 징계 등의 조치를 취할 경우 사용자는 피해근로자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동법 76조의3 제5항) 피해자에 대한 보호 조치가 두텁게 법이 만들어진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행위자를 징계해야 하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