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다다 Jul 29. 2021

석관동의 노호혼 이야기

서울살이


노호혼을 혜령에게 선물 받은 것은 10년전 즈음이다. 연희동이었나 싶었는데 석관동에서도 노호혼이 있었지 싶기도 하다. 석관동 옥탑방. 살았던 모든 집은 대부분 잊을 수 없지만 석관동 옥탑방은… 그때 나는 막 이십대 중반을 넘어섰는데, 그 보증금 400인지 300인지에 월세 10인지 12만원인지 하는 옥탑방은 아마 평생 잊지 못할 거다. 학교 바로 앞이라는 게 장점이었고 그보다 더한 장점은 월세가 싸다는 거였다. 거의 처음으로 혼자 산 집이었다.



그 전에는 친구들과 살고 매일 누군가가 놀러와서 내가 누구랑 사는 지도 모르는 집에 살았거나 적어도 친구들이 주변에 있어서 혼자 먹는 음식은 삼각김밥밖에 없었다, 술안주거나 배달음식을 시켜 먹더라도 누군가랑 함께 식사를 했고 그 이후에는 음식을 전공하는 친구와 살며 와 사람은 이렇게 점심에 콩나물밥을 해먹고 저녁에는 또 다른 음식을 해먹고 사는 구나 감탄도 하다, 처음으로 혼자 살았던 집은 월세 12만원짜리 옥탑방이었다. 심지어 그 건물 세대마다 주인도 다 달라 내 주인은 마음 좋은 아저씨였는데, 그가 꾸던 재개발의 꿈은 내가 집을 떠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고, 그는 계약하던 날인가 한번 딱한 눈으로 나를 보았던 것도 같고, 내가 그를 마음 좋은 사람이라 기억하는 것은 어느 추운 날 배수관이 터져(수업 도중 전화가 왔었다ㅠ) 연락을 하니 미안해하였던가 알아서 수리를 부담하겠다는 그 느낌이다. 다음 집에 살 때는 보일러가 고장나자 반반씩 부담하자는 주인을 만났었다.

  

그러니까 그 석관동 옥탑방, 여름이나 겨울에는 덥거나 추워서 도서관이나 찜질방에서 잘 수밖에 없던 그 옥탑방에서 나는 처음으로 와 하늘이 이렇게 하루에도 달라지는구나 알았고 어떤 날은 부근에 살던 나랑 비슷한 처지였을 전통예술원에 다닐 친구의 가야금 소리를 듣고 앉아있거나 또 어떤 날은 조금은 정신이 나간 여자의 연설인지 하소연인지 모를 국제정세를 동원한 탄식을 듣거나 또 그도 아니면 반투명유리에 비치는 어떤 아마 그 역시 나랑 비슷한 처지일 청년이 알몸으로 목욕하는 것을 보며 우리집 반투명유리 화장실 혹은 목욕탕에 구름 무늬 물에 젖지 않는 벽지를 발라서 다행이다 생각하며 저 사람은 자기가 목욕하는 것을  누군가 대충 보게 된다는 것을 알까 그런 생각을 하며 앉아있고는 했다. 어떤 날은 새벽에 조립식 책장을 조립했고, 또 어떤 날은 가만히 앉아 별이 지나가는 거나 구름이 지나가는 거나 보기도 했는데, 하늘이 너무 변화무쌍해서 늘 놀랐던 그 석관동 옥탑방. 어떤 날 새벽에 일어나니, 어느 노부부가 불경 같은 대화를 나누는 소리가 들려 아 이걸 시로 써야는데 하기도 했었는데…



 어떤 날은 거기 아이들이 버려진 쓰레기더미에서 주운 립스틱을 바르고 보자기를 둘러메고 있던, 그러나 아이들보다 노인들이 더 많던 석관동 옥탑방, 거기서 나는 야금야금 자라났는데, 혜령이가 준 노호혼은 그때 거기서도 낮에는 집에 있을 일이 별로 없던 때 볕을 받으면 고개를 끄덕댔었나. 기억나는 건, 노호혼에 밭도 있어 씨앗 같은 것을 심었고 거기 씨앗이 잎을 틔우고 나는 그게 참 신기했었지. 무싹인가는 맛도 있었는데 하는 기억은 석관동일까, 연희동일까. 그때 나는 아직 서른이 되지 못했는데, 그때도 딱히 영악하지는 못해 돈 많은 남자와 결혼할 생각은 전혀 하지 않고 지 혼자 뭘 해보겠다고 학교 도서관 집 그 1km 사이를 오가고, 그마저 지루하면 때로 그 앞에 석계천인가로 자전거를 타고 망우리까지 갔다오고 거기 코스모스며 벚꽃을 신기해하고 또 어떤 날은 돈을 벌겠다고 지하철을 타고 강남에 가서는 매일 버스, 지하철을 타고 졸다 내릴 데를 놓치며 살았지. 늘 졸리고 불행했던 것도 같고 행복했던 것도 같던 20대, 지금이라면 차라리, 그냥 대충 돈 버는 남자를 만나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는 것을 꿈꿔 보는 것은 어떠니, 여름 겨울에 덥거나 추워서 못 자는 집에는 살지 않게 해줄 만한 누군가를 만나서 가족을 이루지는 않을래, 말하면 그때의 나는 어떤 대답을 할까.




영화의 이해라는 영상이론과 수업이 있었다. 라깡학파의 교수님 수업이었는데 좋아해서 청강이었는지 겨우 들은 건지 그 수업을 들었을 때, 9시부터 12시까지 수업이었는데, 어쨌든 꽤 재밌게 들었다.(심지어 그 과 애들은 아침 수업이라 나올지 않는 애들도 많았는데) 라깡학파 선생님답게 교재는 대부분 영어복사본 논문으로 했다. 영어시험을 보고 들어왔으나 다른 데 비해 평균이 50점이 낮다던 원 소속인 나는 자주 도서관에서 그 논문을 보다 머리가 터져라 했는데,(그 덕인지 지금도 영어시험보면 리딩이 그나마 낫다) 그때 내가 쓴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리포트를 다시 보며(무려 10포인트 6페이지 정도다) 거의 이해할 수 없군 하는 생각을 했다. 차라리 지금은 1-2장으로 그보다 더 메시지를 전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그때 왜 나는 그걸 몰랐을까 하며 그 리포트를 들여다본 적이 있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간단히 말하자면, 직업의 세계에서도 너의 이름을 잃지 말기를 바란다는 노년의 작가가 아이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로 이제는 보인다. 그 시절 지금의 나도 이해할 수 없는 리포트 6장을 써내던 내게 이봐, 너는 말이야 나이 마흔이 다 돼서 이러이러할 거야 그러니 지금 이 동네 유행 패션이지만 실은 20대 여자가 입기는 별로인 추리닝 대신 좀 더 예쁜 치마를 입고 좀 더 화려한 데서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노력을 해볼래 라고 하면 20대 후반의 나는 귀를 기울일까?  


나도 잘 모르겠다.  



이건 노호혼 얘기였는데, 오랜만에 집안 물청소를 하며 이 노호혼은 내가 없을 때도 매일 이렇게 고개를 끄덕였겠지, 벌써 몇 집째에서 아무 일 없다는 듯 고개를 끄덕이고 있으며 앞으로 또 몇몇 새로운 집에서 고개를 끄덕일까 하는, 아주 가끔 주말에 청소할 때 들여다보게 되는 노호혼 이야기.

     


돈 안 벌고 지내던 무렵 더는 이래선 안되겠다며 자주 가던 홍대 만화카페 가서 알바 구하지 않냐며 호기당당 묻던 그때 20대 후반인가의 나. 호기당당함이 좋아서였는지 그 카페는 나를 딱히 ‘알바구함’도 붙여놓은 적 없음에도 알바로 채용했으나 손님이 거의 없는 날은 알바비를 받을 수가 없어 일당이던 알바비를 내미는 손에 웃으며 됐다며 그냥 돌아오곤 했었다. 지금이라도 나는 그럴 수 있을까?


나도 잘 모르겠다.


작가의 이전글 당신의 일출과 월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