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 피아노쌤 Jul 18. 2024

등짝과 똥내


장롱 이불장에 이불을 개서 넣는다. 비몽사몽간에 아버지가 이불을 장롱에 넣은 소리가 난다. 동생도 반쯤 감은 눈으로 이불을 개서 넣는다. 뒤척인다. 궁디도 무겁고 눈꺼풀도 딱 붙어있다. 5분만 더 자고 싶다. "은미냐~ 퍼뜩 일나라~" 엄마의 첫 번째 알람이다. 난 못 들었다. 눈이 잠을 이기지 못한다. "은미야~" 두 번째 엄마 알람이다. 2분만 더 자자. "은미야~" 엄마 목소리에 "이노무 가시나~"가 들어있다. 지금이다. 타이밍을 놓치면 욕 한 사발이 날아올 것이다. 비틀거리며 일어났다. 이불을 둘둘 말다시피 이불장에 쑤셔 넣었다. 장롱문이 안 닫힌다. 삐죽하고 이불의 귀퉁이가 튀어나왔다. 다시 개길까? 모른 척 돌아선다. 엄마한테 들을 잔소리가 이미 윙윙거린다. "몰라~" 외면하고 화장실로 향한다.


덜컥 문이 안으로 잠겼다. "언니야 내 있다" 동생이다. 가스나 똥 싸나 보다. "아~ 내가 먼저 일어날걸~" 아침마다 생각한다. 아침마다 한발 늦다. 젖은 머리에 수건 하나 둘둘 감고 삐죽 나온 머리카락엔 물이 뚝뚝 떨어진다. 샴푸 향을 스치며 옆으로 지나간다. 문을 연다. 동생이 가져간 샴푸 향 뒤에 똥내가 남은 화장실에 들어간다. "아이씨~ 내일은 내가 먼저다."


내 머리에 수건 하나 걸쳤다. 물이 수건 사이로 뚝뚝 떨어진다. 엄마의 등짝 스매싱이다. "이노무 가스나 이불 좀 얌전히 개서 넣으래도~" 또 지적당했다. 등짝 어제처럼 오늘도 한 대 맞았다. 아침 루틴 같다. 엄마의 등짝, 동생 똥내.


다음 날 "은미야~" 두 번째 엄마 알람이다. 방바닥에 붙어서 몸이 내 말을 안 듣는다. 순간 스치는 똥내. 벌떡 일어났다. 후다닥 이불을 또 쑤셔 넣는다. 엄마랑 눈이 마주친다. 돌아서 이불을 다시 한번 더 꾹꾹 누르고 장롱문을 닫았다. 삐져나온 이불이 없다. "아싸~" 이건 됐어. 화장실로 갔다. 물소리가 난다. 늦었다. 똥내가 싫다면서 어쩌면 적응됐나. 이노무 몸뚱이가 말을 안 듣는다. 난 바보다. 머리로 알고 몸으로 모른다. 등신같이 오늘도 똥내 나는 화장실이다. 몸이 똥내를 이길 때 동생을 이기는 거다. 이불을 안 보이게 쑤셔 넣을 때 엄마를 이기는 거다.





       

내가 깨달은 바를 삶 속에서 살아낼 때
내가 새긴 그 문장을 비로소 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어쩌면 그것이 진정 몸으로 읽는 것이 아닐까?


                                                            문장과 순간. 박웅현





원문장의 의미를 가지고 나의 문장으로 만들어 낸다. 매일. 쉽지 않지만 이렇게 문장 공부를 하는 건 내 속에 숨은 이야기를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련한 기억의 끄트머리를 잡아내곤 피식 웃는다. 그럼 된 거다. 문장을 공부한다는 건 나의 무의식과 숨바꼭질을 하는 거다. 나도 모르는 나를 만나는 시간이 된 거다. 에세이처럼 글을 풀어보는 작업이 재미있다. 똥내 풍기던 동생, 지금은 교사로 일하는 그 똥내동생이 보고싶다. 그시절의 그 동생이. 등짝스매싱 날리던 엄마는 이제 팔순을 넘기셨다. 이젠 등짝을 쓰다듬는 엄마의 거친 손, 예전처럼 등짝 한방 맞고 싶다. 그시절 그날처럼. 



#등짝 #똥내 #문장공부 #에세이 #글쓰는피아노쌤






매거진의 이전글 사랑은 문어 맛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