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건니생각이고 Feb 22. 2019

같은 공간, 다른 느낌

집에 대한 인식 차이 그리고 육아.

 문득, '집'이라는 공간의 '의미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던 집, 결혼 후 아내와 둘이 살게 된 집, 딸의 출생으로 세 식구가 살게 된 집 모두 같은 '집'이지만 제겐 그 느낌과 의미가 다르더라고요. 우선, 결혼 전의 집은 전적으로 부모님의 관리하에 있었기에 제 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의 공간'이라는 느낌은 없었습니다. 굳이 집을 나와 카페에서 시간을 보냈던 걸 보면, 집이라는 공간에 온전히 만족하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어느덧 결혼을 했고, 결혼으로 인한 분가로 집은 달라졌습니다. 집이 아내와 둘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오붓한 공간'으로 둔갑한 거죠. 오붓함에 과하게 빠진 나머지, 결혼 전 약속했던 '산책 가기'마저 뒤로 미루다가 아내의 원망을 듣기도 했었습니다.


 아이가 생기고 나니 '쉼'의 공간이던 집은 '놀이 공간'으로 한 번 더 진화했습니다. 좋게 말해서 놀이 공간이지 사실 치우는 자와 어지르는 자의 전쟁터라 할 만큼 '치열한' 공간이 되어버렸습니다. 집에서의 '쉼'을 바라는 건 부모에게 사치인가 싶었죠. 아이가 주는 기쁨과 행복이 없었다면 이 변화를 받아들이긴 쉽지 않았을 겁니다.


아내에게 집은 어떠한 공간일까?


 궁금했습니다. 같은 공간에 살고 있지만, 분명 다른 느낌일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우리 부부는 집이라는 공간에 대해 서로가 무엇을 기대하는지 대화했습니다. 그리고 깨달았습니다. 집에 대한 인식 차이가 가사분담을 비롯한 집 안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의 근본적인 원인일 수 있겠다는 사실을 말이죠.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여보한테 집은 어떤 공간이고, 어땠으면 좋겠어?"
"나에게 집은 ‘일터’ 같은 공간이야. 아이가 태어난 뒤에는 특히 그렇고. 오빠가 퇴근하고 함께 집에 있어야 비로소 쉴 수 있는 조금의 여유가 생기거든."


 집이 일터라는 대답에 당황스러웠지만, 육아로 ‘출근’이 사라진 지금 아내의 상황을 생각하니 이해가 되더라고요. 집안일만 해도 산더미인데 아이까지 돌봐야 하니, 제가 출근하고 난 뒤의 집은 일터였던 겁니다. 아내도 집에서는 쉬고 싶었겠지요. 하지만 그럴 수 없는 상황에 집을 일터라 생각하고 ‘일’하고 있었던 겁니다.


© jarson, 출처 Unsplash


"오빠는 집이 어땠으면 좋겠어?"
"그냥 아무것도 안 하고 쉴 수 있는 공간이면 좋겠어."


 집이 눈치 볼 필요 없는 '우리만의 공간'으로 변모하니, 쉬고 싶은 마음이 제일 먼저 들었습니다. 한 번 앉으면 빠져나올 수 없는 리클라이너 때문이라고 변명해 보지만, 제가 바라는 집은 애초에 '쉴 수 있는 공간'이었나 봅니다. 휴일에도 특별한 약속이 없으면 그저 집에서 원 없이 쉬며 보내곤 했습니다. 적어도 아이가 태어나기 전까지는 말이죠.


© tjsocoz, 출처 Unsplash


 몰랐습니다. 새 식구가 가져올 '집'의 변모를 말이죠. 하긴, 당시엔 알 도리가 없었습니다. 미리 준비가 안 된 탓일까요? 집은 새로운 생명체를 맞이하자마자 즉각 변했지만, 전 그대로였습니다. ‘휴식 공간’으로서의 집을 고집하고 있었던 겁니다. 혼란스러웠습니다. 제가 원하는 휴식 공간으로의 집을 채 몇 달도 즐기지 못했는데, 순식간에 집은 잠조차 맘 편히 잘 수 없는 공간이 되어 버리고 만 겁니다. 그렇게 새 식구를 맞이한 집을 사이에 두고, 마냥 쉬고 싶은 아빠와 마냥 쉴 수만은 없는 엄마의 미묘한 줄다리기가 시작됐습니다.


일터 하나 추가요~


 저의 일터가 회사인 것처럼 전적으로 육아를 책임지는 아내의 일터는 집이었습니다. 그것도 모른 채 귀가 후 휴식을 바란 제가 어리석었죠. 안 그래도 할 일이 산더미인 집인데, 육아까지 더해지니 휴식은 어림없었습니다. 가사 논쟁의 근본적인 원인이 집이라는 공간에 대한 인식 차이였던 겁니다. 마냥 쉬고 싶은 공간인데 자꾸 이것저것 해야 하니 늘 수동적이었던 저였습니다.


 입장을 바꿔 생각해 보고, 집을 ‘일터’라고 생각하니 많은 부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집은 다시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돌아오리란 믿음으로 아쉬운 마음은 일단 달랬습니다. 쉬고 싶지만 쉴 수 없었던 아내의 마음을 이해하고 나니 너무 미안했고, 그 와중에 쉬고 싶은 제 맘을 이해해줘서 고마웠습니다.


 지금은 일터가 하나 더 생겼다고 생각을 바꿨습니다. 몸은 조금 힘들지만 마음은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일터가 더 생겼는데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요? 집이라는 새로운 일터는 일터이긴 하지만 너무나 행복 가득한 일터거든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