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물음 Jun 24. 2021

수도꼭지 하나 고치는 게 이렇게 힘들 줄이야.

집안일에는 집수리까지 포함된다.



지난주 우리 집 부엌 수도꼭지가 고장 났다. 우리 집 수도꼭지는 헤드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데, 그 지지대가 부러졌다.


아빠는 "내가 한 번 고쳐볼게"라고 말씀하시면서 호기롭게 나서셨지만, 본드만 몇 번 붙인다고 철제가 쩍 하고 달라붙을 리 만무했다.


    "안 되겠다... 이거 사람 불러서 고쳐야겠다."


호기로웠던 아빠의 모습은 사라지고, 민망하게 돌아서 안방으로 들어가셨다. 엄마는 그런 아빠의 모습이 익숙했는지 그러려니 하고 알겠다고 했다.




다음날, 엄마가 전부터 알고 지내던 철물점 아저씨가 집에 오셨다.


    "지금... 이 모델은 우리 가게에는 없는데...?"

    "그러면 어떡해요?"

    "이마트 가면 모델 별로 팔아요. 이 모델 중에 사이즈 맞는 걸로 사서 앞에만 갈아 끼우면 될 거예요. 이런 거는 관리사무소에서도 해주니까, 수도꼭지만 사서 한 번 부탁해보세요."


아저씨는 별일 아니라는 듯이 말하며 친절히 우리 집 수도꼭지 사이즈까지 재주셨고, 엄마와 나는 이마트로 가서 우리 집 수도꼭지와 비슷한 모델을 샀다.



그다음 날, 관리사무소 기사님이 수도꼭지를 교체해주러 오셨다.



    "어...? 이거 사이즈 안 맞는데요?"

    "예...? 철물점 사장님이 사이즈까지 재주고 가셨는데요?"

    "... 그건 수도꼭지 몸체 길이고요,  수도꼭지를 연결하려면 수도관 사이(냉수관/온수관) 거리도 맞아야 돼요. 지금 새로 사 오신 건  사이 거리가 너무 좁아서 연결하기 힘듭니다."

    "그럼 어떡하죠...?"

    "반품하시고 다시 사이즈 맞는 걸 사 오시는 수밖에..."


목구멍에 걸린 가시처럼, 고쳐질 듯 고쳐지지 않는 수도꼭지 수리에 엄마와 나는 점점 지쳐갔다.




사 왔던 수도꼭지를 반품하고, 엄마와 나는 다시 관리사무소 아저씨가 알려준 도매 전문점으로 출발했다. 가게 사장님에게 전후 사정을 말했더니, 사장님께서 알맞은 수도꼭지 모델을 가져오셨다. 그리고 계산을 하려는 찰나, 사장님은 살 떨리는 말을 했다.


    "근데 사실 사이즈 맞춰서 사는 게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요. 이걸 사가셔도 안 맞을 수 있어요. 그때는 수도관을 다시 조정해서 끼워 맞춰야 하는데, 싱크대 벽이 무너질 수 있어서 차라리 설비 업자를 부르시는 게 더 빠를 수도 있어요"

    "그러면 어떻게 해요...?"

    "일단 사서 다시 관리사무소에 부탁해보시고요, 만약 또 안 맞는다고 하시면 설비업자 불러서 싱크대 공사하셔야 돼요"


수도꼭지만 빨리 갈고 싶었던 엄마와 나의 작은 소망은 뒷수습이 안될 정도로 점점 커져가는 듯했다.




새로 산 수도꼭지를 안고 집에 도착했다. 그리고 다시 관리사무소에 전화를 걸어 수리를 요청했다. 수리 기사님은 곧 방문할 테니, 잠시만 기다려달라고 하셨다.


그리고 몇 분뒤, 수리기사님이 오셨다. 엄마와 나는 '제발 맞아라... 제발 맞아라...' 하고 소원을 빌었다.



다행히 교체는 성공적이었다. 운 좋게 사이즈가 딱 맞아떨어져, 싱크대 벽은 허물지 않아도 됐다. 엄마와 나는 그제야 한숨 돌릴 수 있었다.





그 작은 수도꼭지를 교체하는데 이틀이 걸렸다. 어쩌면 엄마 옆에서 집안일을 거들지 않았다면 몰랐을 우리 집의 또 다른 이면이었다. 전에는 집에 고장 난 게 있어도 학교나 직장을 다녀오면 말끔히 고쳐져 있었다. 이번 일을 겪기 전까지는 그게 자연스럽고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사실 그동안 집수리는 관리사무소에서 알아서 책임지고 해주는 줄 알았다. "여기 몇 호인 데요, 수리 부탁드립니다"라고 요청하면, "예, 바로 해드리겠습니다"하고 뚝딱뚝딱 고쳐지는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집에 있으면서 경험한 바로는 웬만한 고장은 각 세대들이 알아서 고쳐야 했다. 지난번 우리 집 누전 때도, 그리고 이번 간단한 수도꼭지 교체도 우리가 직접 사람을 불러 고쳤다.


집에 불이 꺼져도 다시 켜지고, 물이 끊겨도 다시 나오는 이유는 누군가가 그 몫을 했기 때문이다.


집안일에는 집수리까지 포함된다.

이전 07화 엄마는 언제부터 외출이 뜸해졌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