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창수 Feb 20. 2024

교감으로 산다는 것, 거침없는 돌직구가 날아오다.

학교 교육 설명회가 있었다. 교육 활동을 정리한 동영상 시청을 시작으로 학교장 인사와 학교 운영 방향, 학사일정, 교육 활동 보호 학부모 연수, 학생생활지도 고시 내용 안내까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건의 시간이었다. 거침없이 돌직구가 날아왔다. 감정에 불만이 가득 묻어 있었다. 사회자인 교무부장도 답변하기가 어려운 부분이었다. 결국 교감인 내가 나섰다. 개선하겠다는 말씀을 드렸다. 답변이 시원치 않았는지 목소리가 잦아들지 않았다.


   퇴근길 장면들을 복기해 보았다. 감정이 격앙된 사람 앞에서는 명쾌한 논리적인 답변도 귀에 들어가지 않는다. 규정과 매뉴얼을 이야기해도 듣고 싶은 내용만 듣는다. 교감인 나도 상처가 되었는데 선생님들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상처를 받았을지 생각해 보았다.


   학교 측과 학부모들 사이에 대화가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일방적인 요구와 불만 사항을 토로하는 시간은 대화의 시간이 아니다. 과연 학교는 서비스 기관인가? 교육하는 기관인가? 자녀를 학교에 보냈으면 학교의 교육방침과 학교 운영 방향을 존중하는 것이 대화의 기본이 아닐까? 몇몇 학부모는 학교가 어린이집처럼 보육하는 기관으로 오해하고 있는 듯하다. 돌봄과 방과 후 학교가 학교 안으로 들어오면서 교육과 보육의 경계선이 명확해지지 않는 점도 있는 것 같다. 교장 선생님, 나, 행정실장과 함께 학부모 요구 사항에 대한 대응 방안을 두고 대화를 나눴다. 슬기롭게 지혜를 모을 수 있었다. 해당되는 담당자에게는 상처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야기를 드렸다.


   질문도 훈련이 필요하다. 운동하면서 근육을 키워야 하듯이 질문도 계속해서 훈련되어야 상황에 맞는 질문이 던져지고 상대에 따라 적절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질문의 양보다 질이 중요할 때가 있다. 학교는 학부모가 던진 돌직구와 같은 질문이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킨다. 질문을 받지 않으면 편하겠지만 질문 없이는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사는 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대로 살기 위해서는 질문하는 삶이 필요하다. 예상 질문을 미리 생각해 두어야겠다.


『교감으로 산다는 것』

(2024년 출간을 목표로 준비 중, 199쪽)


1장 교감으로 산다는 것은

2장 교감으로 버틴다는 것은

3장 교감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4장 교감으로 만난다는 것은

① 토요일 아침부터

② 상담이 아니라 대화로

③ 통제하고 관리하려는 마음이

④ 자존심이 상하더라도

⑤ 공감이 아니라 감정노동을

⑥ 싸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⑦ 거침없는 돌직구가 날라 오다.

5장 교감으로 만족한다는 것은

매거진의 이전글 교감으로 산다는 것, 싸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