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형만 Oct 25. 2024

글에 들어가기에 앞서 알아두기

  안녕하세요. <이 시(詩)는 어떻게 당선작이 됐을까?>의 첫 문을 열겠습니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간단하게나마 글의 방향을 소개하자면 앞으로 신춘문예 당선작과 각종 문학상 당선작, 그리고 문예지 당선작 순으로 한 편씩 소개하고 다시 읽어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다만, 여타의 작품 소개와 다른 점이 있다면 당선작품은 어떤 점이 심사자들의 시선을 끌었을지 그 핵심을 들여다볼 생각입니다. 우리가 수많은 시 창작 이론서와 강의를 읽고 들었음에도 공모전에 내면 떨어지는 이유가 뭘까요?


  이 글은 그런 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는 글이지, 시 창작에 관한 이론이 아닙니다. 또한 저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으니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 시가 무엇을 말하고자 함인지 주관적인 시 감상이나 해석을 하지도 않습니다. 제가 이런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건 이론을 적자면 한도 끝도 없을 것이며, 이론의 특성상 실속 없는 미사여구나 가르치려 드는 현학적인 말을 늘어놓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 글은 일단 재미도 없고 지겹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무슨 말인지 고개가 끄덕여지기는 하나 실제로 본인의 시 창작에 도움 될 확률은 극히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시 감상이나 해석 또한 주관적일 수밖에 없고요. 저는 문학에서만큼은  꽤나 현실적인 사람입니다. 문학의 깊이나 숭고한 가치를 좋아도 하고, 그 길을 묵묵히 걷는 문인을 존경도 하지만, 그 정도의 깜냥은 되지 못합니다. 돈도 되지 않는 작품을 쓰기 위해 골방에 틀어박혀 제 몸 버려가는 짓(?)은 안 하는 사람입니다. 흔한 말로 저 사람, 글 좀 쓴다는 소리 듣는 걸 좋아하고, 제가 쓴 글을 경제적으로 환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입니다. 역설적이게도 그래야만 제가 좋아하는 글쓰기에 전업으로 매진할 수 있으니까요.


  사실 우리는 이론을 몰라서 시를 못 쓰는 게 아닐 겁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창작 이론집은 차고도 넘치니까요. 그럼에도 시 쓰기가 어려운 이유는 어이없게도 그런 이론을 너무 잘 알아섭니다. 이론에 치여 이렇게 쓰고 저렇게 쓰고 보니 작품성은 있을지 몰라도 사람을 끄는 감정(혹은 감동)은 없습니다. 심사자들도 사람일진대 작품성만 보지는 않을 겁니다. 그들의 마음을 잡아끄는 ‘무엇’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런 무엇은 대개 표현의 형식(혹은 방식)에서 오고, 그것이 바탕이 됐을 때 작품성도 살아납니다.


  한 가지 우려가 있다면 지금의 2~30대 젊은 시인들이나 혹은 현대시만(?) 쓰는 이들에겐 감동이나 서정이 고리타분하게 여겨질지도 모르겠군요. 하지만 저 역시 현대시를 곧잘 쓰는 사람으로서, 앞서 언급한 마음을 잡아끄는 표현의 형식이 없다면 제아무리 현대시를 써봐야 본인만 만족하는 재미없는 시에 불과할 겁니다. 여기서 말하는 재미는 독자와의 소통 같은 걸 말하는 게 아닙니다. 누누이 말하지만 현대시의 매력은 내용의 이해(소통)가 아니죠. 표현의 형식에 있습니다. 즉, 우리가 시를 씀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할 건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라는 걸 알고 이 글을 읽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