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섬 Dec 24. 2023

나의 작은, 엄마

2023년 5월 서울신문 칼럼 

어느 봄날, 카페에 앉아 거리의 젊은이들을 멍하게 보고 있는데 어떤 목소리가 내 귀에 정확히 꽂힌다. 

“엄마, 여기 설명서 잘 보셔. 이 약은 하루 세 번, 그리고 절대 안정. 안압 때문에 진짜 무리하면 안 돼. 여기 씌어 있어. 알겠죠? 청소도 하면 안 돼.”

오른쪽 눈에 두툼한 붕대를 댄 할머니께서 따님의 신신당부에 고개를 하염없이 끄덕인다. 걱정스러운 표정의 딸은 퇴원 안내서 몇 장을 앞에 좍 깔아놓고 손가락으로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꼼꼼하게 반복해서 설명하기 바쁘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한 3~40년 전 젊은 엄마가 어린 딸 앞에 앉혀 놓고 “알았지?”를 연발하며 뭔가 가르쳐주는 장면이 상상이 되었다. 묘한 울림이 일었다. 

며칠 전에는 어느 분께서 표지만 봐도 울컥한다며 <나의 작은 아빠>라는 제목의 그림책 사진을 SNS에 올렸다. 나보다 훨씬 컸던 아빠가 어느덧 키가 같아지는 시기가 오고, 이후엔 참 이상하게도 아빠가 점점 작아진단다. 

카페 안, 내 옆 테이블 모녀의 풍경과 머리가 하얀 아빠가 아들의 등에 업혀 있는 그림책의 내용이 애잔하게 포개졌다. 그러나 내 마음은 마냥 흐뭇하지만은 않았다. 소수의, 노후가 준비된 가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미래가 불분명한 가정에서 장성한 자식들이 치러야 할 저 모습 뒤의 일들이 구체적으로 펼쳐졌기 때문에…. 

가장 가까이로는 따님이 치렀을 수도 있는 눈이 아픈 어머니의 수술비, 병원비와 이후 병구완의 책임과 생활비 부담 등이 내 머릿속에서 계산되었다. 하물며 우리 부모님의 사정이 되면… 막상 우리집 문제를 내 손바닥 위에 올리면 그저 눈을 질끈 감아버릴 수밖에 없다. 50대에 대장암을 한 번 앓았던 어머니를 제외하고는 지금은 건강하게 지내시는 두 분이 내게는 큰 행운, ‘자식 로또 복권’에 당첨되었음에 감사할 뿐.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 8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17.5%에 달한다고 한다. 놀라웠던 것은 2021년 기준, 본인과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조달하는 비율이 65%에 달하는 점이었다. 지난 10년간 13.4% 증가한 수치라 한다. 백세 시대를 향해 달려가는 이 시대, 전 세대처럼 노후를 마냥 자식들에게 맡길 수만은 없는 시대 흐름의 분위기를 읽어낸, 그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일까. 

그렇다면 노령인구의 부양은 누구의 책임이 되어야 하는가의 질문에는 가족·정부·사회 책임이라는 답변이 49.9%, 반을 차지했다. 그리고 부모 스스로 해야 한다는 답변도 17%에 달했다. 

아들이 중증 장애 판정을 받고, 장애인 활동 지원을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받아왔다. 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도 일정 금액 제공 받는다. 그러나, 당연히 내가 책임져야 하는 기본적인 양육비 이외에 사적으로 목돈을 들여야 할 부분이 여전히 많다.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취약 계층이라고 불리는 이들의 지원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내가 없으면 (  )는 어떻게 하나?’라는 질문에서 괄호 안에 장애인을 넣어도, 우리 부모님을 넣어도 답이 불투명하기는 똑같다. 대한민국 사람들 반이 원하는 고령인구에 대한 지원, 가족·정부·사회의 탄탄한 삼각대가 생생하게 우리 주변에서 잘 기능하기를 바라는 마음뿐이다.   



그저께 동지, 엄마가 팥죽 끓였다고 와서 먹고 가라고 해서 갔다. 팥죽 간이 완벽. 내가 좋아하는 그 소금간. 역시 어려서부터 먹던 거라 입에 딱 맞나 싶다. 

엄마랑 팥죽을 먹으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 

내 친구 중에 남편이 바람을 피워서 남의 집에서 애까지 낳은 애가 있었다며 그 친구를 참 좋게 봤던 것은 끝까지 가정을 지켜서란다. 내 친구는 남편이 잠시 바람을 피웠을 뿐인데 아마 남의 집에서 애까지 낳았다고 이야기한 건... 이 이야기를 했을 당시, 내가 엄마 집에 얹혀 살고 있어서 조금 더 과장해서 거짓말을 했던 건데, 정작 내가 기억을 못하고 엄마가 기억하고 있는 것이었다.  당시 나는 내 친구들도 이렇게 엉망진창 속에 살고 있으니 나 좀 무시하지 마라... 이런 취지였던 듯한데, 지금의 나는 그때 거짓말 했던 걸 까 먹고 읭? 이런 것. 

엄마가 다시 와서 그 친구의 남편은 딴집 살림 차리고 아이를 낳았다고 믿고 또 이야기한다. 


"니 친구는 정말 내가 좋게 본다. 그게 가정이지. 그게 부부고. 그렇게 힘들어도 새벽기도 나가고, 주님께 매달리며 잘 살고 있으니 다행이다. "


나는 그때 거짓말 했던 것을 기억 못하고 아냐, 걔는....... 이러다가 말을 거두었다. 

그리고 조금 뒤에 항의했다. 

나는 이혼을 많이 한 사람인데, 그걸 알면서, 그게 딸인데, 그 앞에서 그렇게 이야기하는 건 나를 조롱하는 거다. 그랬더니 얼굴을 팍삭 찡그리며 아, 그랬겠구나 한다. 엄마, 나한테 사과하라고 했더니 아니, 내가 사과한 거지 뭐냐고 한다. 그러면서 또 한 마디. 


"좋은 이야기만 하자. 너는 나한테 꼭 좋은 이야기 한 마디 안 하더라. "


결국 아까 내가 했던 이야기는 다 들어갔다. 즉, 내가 엄마 이야기에 조롱당한 건 다 없어지고... 엄마는 여전히 나한테 미안하지 않다. 지난 수십 년간 나는 엄마한테 이렇게 내 존재에 대해 놀림을 많이 당하고 살았는데, 사과를 받아본 적이 없다. 엄마가 나를 끊임없이 놀리고, 밑으로 내려놓는 이유도 안다. 엄마의 위대함(?)을 좀 알아달라는 이야기이다. 나좀 봐 줘, 이것이다.  

집에 와서 다시 생각해보니 우리집 식구들은 모두 엄마를 칭찬한 적이 없다. 남편인 아빠를 포함해서 모두에게 엄마는 적이었다. 그래서 외로웠구나 싶다. 엄마가 사실 빌런이긴 한데... 다른 집들은 엄마가 빌런인 위치에 있는 상황을 잘 몰라서 이해를 못하는데... 서로서로 만든, 다 같이 빌런인 식구가 우리집인 듯. 나도 우리 엄마한테 빌런이고, 엄마도 아빠한테 빌런이고, 아빠는 내가 빌런이고... 아아. 이런 양질의 콩가루 집안이라니. 곰곰히 생각하니 나도 엄마한테 칭찬 한 번 안 했다는 걸 알았다. 


단. 

우리 딸 곰돌양만 할머니 할아버지한테 늘 문자 보냈단다. 

날씨 추우면 집에서 꼭 틀어박혀 계세요. 위험해요. 

코로나 걸리면 안 돼요. 마스크 꼭 쓰세요. 

엄마가 이 문자 받고 눈물이 나더란다. 우리 자식들은 키워봤자... (후략)

팥죽 다 먹고 나오면서 엄마한테 큰소리 뻥뻥 쳤다. 이런 딸, 내가 키웠다고. 나는 딸한테 적어도 미안할 땐 사과했다고. 그래서 이렇게 잘 자란 거 아닌가. 엄마가 한 마디 한다. 


"애 성정은 다 타고나는 거다."


나랑 엄마 한 두어 시간, 꼰대 배틀 하다가 승자독식 아무도 못하고 씁쓸하게 뒤돌아 선 느낌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나도 정말 너무 꼰대다. 


지난 봄에 썼던 서울신문 칼럼과 함께 이 글을 놓아둔 이유는... 엄마니 아버지니 뭐니 해도 70대 후반을 넘어 팔순을 바라보는 그 연세 드시고 어디 크게 하나 편찮은 데 없으신 것만으로도 자식들에게 큰 재산 물려주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고맙다는 이야기, 굉장히 하기 어색하긴 한데... 감사합니다. 부모님. 


*** 사진은...

엄마의...

거친 생각과! 

불안한 눈빛과! 

그걸 지켜보는 팥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엄마 죽 떠놓은 뽄새하며, 음식 솜씨 진짜 없는데 왜 이렇게 내 입맛에 맞니.






매거진의 이전글 친애하는 양에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