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미연 Nov 06. 2023

나의 둥지 그리고 이사라는 무게

독일에서의 2번째 이사

11개월 만에 이사를 했다.


1년이 채 안되는 시간 동안 정말 많은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깨달은 시간이다. 독일의 지독한 첫 겨울과 눈부신 볕이 쏟아지던 여름날들을 그 집에서 보냈다. 좀처럼 맞지 않는 룸메이트와의 불화로 지옥 같은 날들도 있었지만 어쨌건 하루를 마치고 몸을 뉘이러 돌아갈 곳은 그 집이었다. 불안이 요동치는 날들 속에서도 어김없이 매일 자기 전 샤워를 하고, 아침이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화분이 슬퍼지지 않게 물을 주고, 나 또한 너무 침잠하지 않도록 부지런히 해야 할 일들을 차곡차곡 실행해나갔다.


주거 공간은 내게 그 사람의 생활과 습관이 묻어나고 그로 인해 구축되는 하나의 세계다. 최적의 동선과 효율성을 고려하며 물건들의 자리가 배정되고 그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그리고 생체 리듬감이 형성된다.


침대 머리맡에는 안경을 놓아 둘 공간이 필요했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공복에 먹을 유산균 캡슐과 물 한 병이 위치한다. 간장과 참기름은 두부를 더 특별하게 만드는데에 늘 같이 쓰임으로 둘을 떨어뜨려 두면 서운하다. 속옷과 양말류는 하루를 마무리하거나 시작하는 마라톤에서의 바톤과도 같은 역할이면서 기분에 따라 고를 수 있어야하므로 가지런히 잘 보이는 곳에 보관되어야한다.


내것이라고 할 수 있는 가구 하나 제대로 없는 이민자, 임시 체류자의 삶이지만 지내는 동안 만은 생활을 이루는 부품들이 잘 대우받게끔 나만의 체계를 갖추지 않으면 안된다.


이사는 약 일주일에 거쳐 새가 둥지로 지푸라기를 모아오듯 대중교통을 통해 이루어졌다. 30인치와 20인치 캐리어를 3층에서 가지고 내려오는 날은 근육통을 일으켜 며칠을 부들부들 떨게 했다. 이사일 전날에는 좀처럼 도움을 청할 줄 모르는 나의 성격을 관통한 듯한 친구가 도와주러 오겠다고 고마운 통보를 하는 바람에 난생 처음 우버 택시를 이용했다.


30인치와 20인치 캐리어에 가방 2개, 박스 4-5개와 화분 등. 어찌 이토록 나는 이 모든걸 지고 살아가야하는 사람인건지를 질문하게 만들었다. 1년에 한 번 꺼내볼까 말까한 물건들도 있는데 신체의 장기 일부가 된 것마냥 늘 데리고 다니게 되는, 자잘한 것들이 있다. 이렇게 말하면 미안하지만 어쩌면 없어졌어도 모를 것들도 더러 있다. 그것들은 아마 집착, 집념, 추억 등이라고 불러야 할 지도 모른다.


이사 갈 때마다 내 방 문에 부적처럼 붙이는 것은 여성환경연대의 캠페인 문구가 적힌 그래픽 포스터다. ‘덜 소비하고 더 존재하라’.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소비로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 지향들의 지표가 된다. 가능한 가지고 있는 것들 안에서 누리고자 하는데 늘 ‘임시상태’인 외국인 체류자로서 억누르게 되는 마음들이 있다.


‘장기 거주 할 집으로 이사만 가면’이란 전제를 두고 하나쯤은 사고 싶은 것은 전자가전도 아니고 다름 아닌 화분이다. 영국에서 독일로 대륙을 넘을 때 가장 마음이 쓰였던 것은 1년 가까이 키웠던 작은 화분 하나였다. 내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대상 즉 ‘책임’이었기 때문에 화분은 어느샌가 내게 ‘거주’이자 ‘돌봄’에 대한 개념으로 다가왔다. 이민과 이주를 분갈이의 개념으로 해석하고 그것에 이입하는 마음이 컸기에 더욱 그렇다.


새 집에 10개월간 임시로 함께 거주하게 될 친구는 베를린에 거주한 1년 6개월의 시간동안 3개월마다 이사를 다녔다. 함께 구한 지금 이 집은 그의 5번? 6번째 집이다. 많이 지쳤을 친구에게 그리고 지친 내게 종종 따뜻한 집밥을 먹여주고 술도 마시고 무려 발코니에서 담배도 피며 ‘음, 살만한데?’라는 말을 나누고 싶다. 물론 내년 봄부터 다음 집을 또 찾아야하지만 적어도 이번 겨울만큼은 덜 두려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사라는 무게. 베를린은 한국 같은 이사 서비스라는게 없는 도시이기에 심심치않게 대중교통에서 온갖 자잘한 가구와 짐들을 옮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물리적 무게도 어마어마하지만 무엇보다도 잠자고 먹고 생활의 근간이 되는 공간을 통째로 바꾸는건 마음을 붙들고 휘두른다. 어느 밖을 돌아다니건 늘 ‘돌아가야 할 곳’이 있기를 바라고 그 곳에서 안전하기를 바라는데 외국인, 프리랜서 등의 신분은 ‘체류’라는 단어를 거듭 살펴보게 만든다.


새로 이사온 집은 16년간 꼬마아이 둘과 성인 둘이 가족을 이루어 지내던 공간이다. 내년 여름까지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체류 할 예정이다. 곳곳에 아이들의 낙서와 종이접기, 장난감의 흔적들이 남아 있기에 이 공간에 나를 어떻게 녹여낼 것인지를 여전히 고민한다. 가장 용이한 방법은 곳곳에 내가 좋아하는 영화 포스터나 온갖 전단지, 엽서들로 도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익숙하게 쌓여갈 습관들이 이 곳이 이제는 나의 주거 공간임을 말해줄테지. 예를 들면 술에 만취해 집에 들어왔어도 벗은 속옷과 양말을 세탁 바구니에 넣을 정신머리(무의식)는 있는 날의 나를 발견한다던가하는 것들 말이다.


작가의 이전글 베를린 퀴어퍼레이드가 더럽다고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