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추세경 Aug 18. 2024

만엔 원년의 풋볼

일본에서 두 번째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소설이다. '만엔'이란 일본의 연호 중 하나로 1860~61년을 뜻한다. 생각은 많지만 행동은 하지 않는 염세주의자 형과 자기 파괴 욕구로 방황하는 행동파 동생이 등장한다. 만엔 시대에 고향에서 선조들이 겪었던 일들을 그들은 반추하고 추적한다. 그 시대가 남긴 의미와 세대가 지난 전후 시대(1960년대)의 삶을 비교하고 곱씹는다.


소설의 분위기는 고향 분지를 뒤덮은 눈처럼 차갑고 무겁다. 형은 죽는 것과 사는 것 사이에서 방황한다. 형의 아내는 알코올 중독이고 남편의 동생과 성관계를 맺는다. 동생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소설을 읽으면서 시대를 거스를 수 없는 개인의 한계를 느꼈다. 정치 체제와 전쟁 앞에서 보통의 윤리와 개인의 정신, 공동체의 연대는 얼마나 무색한가. 파괴된 평화 속에서 개인이 생존한다는 건 무슨 의미인지, 죽는 게 나은지 사는 게 나은지, 방관하는 게 나은지 참여하는 게 나은지, 소설은 질문을 던진다. 방관은 무력하지만 참여는 폭력을 동반한다. 사는 건 비참하지만 죽음은 무엇도 바꾸지 못한다.


이렇게 해도 문제고 저렇게 해도 문제면, 진짜 문제는 개인이 아니라 그렇게 만든 사회에 있다. 너비는 한 평이고 높이는 일 미터인 방에 다섯 명이 갇혀 있다고 가정하자. 일어설 수도 없고 가만히 있을 수도 없다. 몸을 왼쪽으로 뻗으면 왼쪽 사람이 괴롭고 오른쪽으로 뻗으면 오른쪽 사람이 괴롭다. 가만히 있으면 내가 괴롭다. 괴로운 건 모두 마찬가지다. 가만히 있어야 할까, 움직여야 할까. 앉아 있어야 할까, 허리를 펴야 할까. 역사의 무게 앞에 평범한 개인은 무력하다.


그럼에도 희망이 있다면 그건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와 살아간다는 생의 에너지 그 자체다. 물론 그것이 해피엔딩으로 끝날 거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살아보지 않고 먼저 포기할 수도 없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그래도 사는 것이고 그에 대한 응원이다. 지하에서 나온 형은 동생의 아이를 임신한 아내와 다시 미래를 그린다. 그게 그에게는 삶이고 한줄기 희망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살아간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