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철 Feb 17. 2023

CSIC 미중 전쟁 워게임(6장)

6. 게임 진행 내용

https://drchina.news/2023/02/17/csic-%eb%af%b8%ec%a4%91-%ec%a0%84%ec%9f%81-%ec%9b%8c%ea%b2%8c%ec%9e%846%ec%9e%a5/

이 장에서는 24번의 게임 회차를 통해 발생한 교전의 광범위한 양상을 설명한다. 또한 7장의 이러한 게임의 과정에서 도출된 결론과 권고 사항으로 넘어가기 전에 전략의 일부를 모색한다.


타이완 상황

교전이 시작되자 중국 공군과 해군이 섬을 포위한다. 그 결과 중국의 방어 밀도가 높아져 화물선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고, 항공기를 통한 공수 작전은 극심하게 위험한 수준이 된다. 미국 육군 여단을 공중으로 타이완에 투입하려는 시도는 3개 대대 중 2개 대대(약 2천 명)가 공중에서 괴멸되는 결과를 낳았다. 대형 지상 대형을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 해상 사전 배치선(역주: 해상 사전 배치선, MPS는 군 물자를 싣고 전 세계 미군에게 보급하는 함선이다. 각 편대의 MPS 함정은 30일 동안 약 17,000명 규모의 해병 원정 여단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장비, 보급품 및 탄약을 갖추고 있다. MPS 선박은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갖춘 자급자족형 선박이다.) 편대가 통과하지 못했다. [1] 타이완은 고립된다. 미국은 게임 기간 한 달 동안 타이완에 어떠한 주요 병력도 이동시킬 수 없었다.


중국은 항상 타이완에 군대를 보낼 수 있었다. 타이완 해협은 좁고, 중공군은 많고, 타이완 군의 방어는 제한적이어서 해상에서의 침략을 물리칠 수 없었다. [2] 중국의 과제는 타이완 군이 해안가를 봉쇄하고 반격을 강화하기 전에 새로운 병력을 투입하는 동시에 섬에 상륙한 병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중국의 상륙 함대는 미국의 공격으로 지속적 감소를 하여 중국의 침략은 시간적 제약을 받는다. 다만 중국이 작전항이나 비행장을 함락하면 민간 상선과 화물기를 동원해 침공 물자를 공급할 수 있어 상륙 함대에 대한 수요가 완화된다. 미국, 일본, 타이완의 공격으로 상륙 함대가 침몰하기 전에 인민해방군이 비행장과 항구를 점령하고 계속 운영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기본 시나리오 및 대부분의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이를 달성하지 못했다.


인민해방군은 해안 공격에 공수 부대를 투입했다. 이들이 비행장을 점령하려고 시도했을 때, 그들은 일반적으로 공수부대가 가지고 있는 약한 화력 때문에 실패했다. 이 데이터는 크레타 섬 침공 당시 공수부대를 동원해 비행장을 점령하려 시도했던 독일과 호스토멜(Hostomel)의 러시아인들의 엇갈린 결과와 일치한다. 공수부대는 전투 지역을 고립시키려고 시도했을 때 더 성공적이었고, 해안가 중요 교두보 확보에 중국 상륙군을 지원하였다.


전투 초기에는 상당한 화력을 상륙시킬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해안에 상륙하여 더 큰 교두보를 건설할 수 있는 중국의 능력은 공군에 크게 의존했다. 한 가지 역할은 공격하는 군대에 근접 공중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3] 더 중요한 것은 해변 주변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이동하는 타이완 증원군이 사용하는 교각과 육교를 파괴하는 역할이었다.


미 공군은 지상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이 제한적이었다. 중국의 해군과 공군 때문에 미국은 JASSM-ER와 같은 원거리 무기로 공격을 제한했다. 이 무기의 단일 탄두는 항구와 비행장에는 효과적이었지만 분산되어 있는 전장의 군대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중국은 수도 타이베이가 있는 섬의 북쪽 지역을 공격하는 것을 고려했다. 이를 통해 1940년 독일의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 공격과 2022년 러시아의 키이우 공격을 재현하고자 했다. 하지만 타이베이를 중심으로 북쪽에 배치된 타이완군의 방어력에 중국 선수들은 대체로 저지되었다. 타이완 전체 전력의 약 46%가 타이완의 기계화 병력의 절반을 포함하여 섬의 북쪽 3분의 1에 있다.


따라서 24번의 회차 중 21번 인민해방군은 타이완의 방어가 가벼운 남쪽에 상륙했다. 이곳은 해안 상륙이 더 쉽고, 상륙 거점이나 항공 거점을 세우는 것이 더 쉬웠지만, 인민해방군이 수도를 점령하고 결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섬 전체를 향해 싸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지형의 특성은 그러한 전개에 불리했다. 타이완의 중앙 지역은 산이 많고 횡단하기가 어렵다. 해안 평야는 좁고, 강과 도시는 방어하기 좋다. 남쪽의 큰 도시 가오슝을 점령하는 것조차 종종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쪽 상륙은 북쪽을 직접 공격하려는 몇 번의 시도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흥미롭게도, 미국의 계획자들이 1944년 타이완 침공을 고려했을 때, 그들도 남쪽에 상륙할 계획을 세웠었다. [4]


따라서, 이 작전은 노르망디에서 소위 "지상 최장의 날(역주: longest day,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독일 지휘관들이 직면한 것과는 많이 다를 것이다. 그러고 나서, 에르빈 롬멜(Erwin Rommel) 육군 원수는 다가오는 연합군의 프랑스 침공을 처음 24시간 동안 해변에서 막아내야 한다고 믿었다. 만약 공격군이 해안가에 교두보를 확보한다면, 연합군의 공군과 해군력은 그것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었다. 1944년에는 그것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지만, 오늘날 타이완이 직면한 도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5]


중국의 타이완 침공은 수적으로 많지만, 디데이 상륙 작전 시 지원했던 함대 규모만큼 크지 않기 때문에 상황은 달라질 것이다. 당시 작전을 위해 연합군은 3천 척 이상의 소형 상륙정(LCI, LCM, LCT, LCV)[6]과 229척의 수륙양용함(LST)과 345척의 병력선 및 547척의 화물선을 보유하고 있었다. 2026년의 예상되는 중국 상륙 함대는 총 96척의 선박에 28척의 LST, 18척의 LHD/LPD, 20척의 LSM, 30척의 대형 민간 RORO(역주: 차량을 탑재할 수 있는 페리선)를 포함하며, 305척의 상륙정이 동원된다. 노르망디에서 연합군은 첫날 9만 명의 병력을 상륙시켰으며, 인민해방군은 첫날 타이완에 약 8천 명의 병력을 상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의 능력은 D 데이 당시의 연합국 능력보다 훨씬 낮으며, 성공적인 초기 점령이 궁극적인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더욱이, 연합군은 1944년에 사실상 공군과 해군을 독점했다. 루프트바페는 본토와 동부에서의 작전으로 전환되었다. 유일하게 남아있는 중요한 독일 해군인 U-보트 함대는 연합군 스크린을 뚫을 수 없었다. 연합군은 무거운 반격 없이 해안에 병력을 증강할 수 있었다. 타이완이 중국과 홀로 싸운다면 중국은 같은 정도의 공군 및 해군 우위를 갖게 될 것이다. 미국이 참여한다는 것은 타이완 주변의 영공과 바다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이게 될 것이며 장거리 정밀 타격 자산의 확대는 미국 공군이 장거리에서 중국 함대에 꾸준한 손실을 입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두보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중국의 승리를 보장할 수 없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군은 해변에서 방어할지 아니면 내륙에서 방어할지 같은 선택에 직면했다. 처음에 그들은 해변에서 상륙을 물리치려 했지만 불가능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심층 방어로 전환했고 공격군은 내륙의 준비된 요새를 공격하면서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따라서 이오지마와 오키나와를 점령하는 데는 해변의 길고 유혈 낭자한 작전이 필요했다. 타이완의 경우 장기간 작전은 미국의 개입이나 외교적 해결책을 위한 시간을 벌어 줄 것이다.


세 회차에 걸쳐 인민해방군은 타이완 서해안의 펑후 섬을 점령했고, 이 섬을 본토 공격을 위한 준비 기지로 사용하려 했다. 그곳에서 타이완 군을 물리쳤지만, 중국의 상륙 능력이 감소하여 타이완 본 섬의 성공적인 침공이 막혔다. 따라서 타이완 본토 침공 작전 중 펑후를 점령하는 작전은 패배의 길이었다.


본 프로젝트는 펑후 섬 점령이 협박과 협상을 위한 제한적 공격으로 성공할지 아니면 펑후가 몇 년 후 타이완 본토 공격을 위한 부대를 배치하기 위한 작전 기지로 사용되는 장기 전략의 일부로 성공할지 여부는 검토하지 않았다. 펑후는 중국 해안에 가까운 다른 근해 섬들과 달리 미국과 중화민국(타이완) 간의 중미 상호방위조약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중요하다. [7] 이 섬은 1979년 타이완 관계법에도 포함되었다. [8] 따라서 펑후를 점령하기 위한 중국의 제한된 작전으로 인한 여파는 별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미국과 타이완이 중국의 침략을 저지하는 데 성공한 것은 타이완의 인프라와 경제에 가해진 막대한 피해로 빛을 잃었다. 거의 모든 중국 플레이어는 타이완군이 교두보 침공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교통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차단 공격을 했다.

그림 9: 펑후 지역

자료원: CSIS.


또 다른 요소는 인민해방군이 병력과 보급량 확보를 위해 시설을 점령하려고 함에 따라 항구와 비행장 주변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였다. 타이완 플레이어는 때때로 민간 비행장과 항구가 중국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파괴했다. 실제로 일부 플레이어는 가장 취약한 항구와 비행장을 선제적으로 파괴하는 "초토화" 전략을 사용했다. 이 경우 타이완 플레이어는 타이완에 대한 실존적 위협이 그러한 파괴를 정당화한다고 판단했다. 군사 전술로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항구나 비행장은 민간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전략은 타이완 경제가 의존해야 하는 교통 허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침공해 온 해변 근처의 도시들을 위한 전투는 불가피하게 주거지나 상업 지역에서 큰 피해와 인명 손실을 야기할 것이다. 몇몇 참가자들은 또한 타이완의 산업과 인프라를 파괴하는 것은 글로벌 공급망을 붕괴시키고 지역을 훨씬 뛰어넘는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타이완 제조업체는 16nm 이하 반도체 제조에서 세계 매출의 61%를 차지하며, 최첨단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는 훨씬 더 점유율이 높다. 결과적으로, 지구상의 모든 나라들은 전쟁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9] 


처절한 공중전 및 해전

워게임의 더 큰 작전 지도에서, 항공과 해상 임무는 수 백에서 종종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표시된다. 관련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특히 전투 지역을 고수해야 할 때 근접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오키나와에 있는 미군 기지는 타이완과 가장 가까운 미군 기지이며, 오키나와에서 항공 우위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 부대는 더 먼 기지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타이완 주변에 가용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근접성은 자산을 적대적 위협 범위 내 깊숙이 배치하게 되어 취약성을 증가시킨다.

노출을 줄이기 위해 플레이어는 종종 최장 사정거리 범위의 시스템을 이용한다. 그들은 제공권 임무보다 지속성을 덜 요구하는 공습을 극단적인 거리에서 시작했다. 미군 항공기는 일본 북부나 괌 기지에서 출격해 공중급유기의 도움을 받아 타이완 해협이나 중국 본토의 목표물을 타격했다. 중국은 내륙 기지에 폭격기를 보호하고 깊은 요새로부터 공격을 시작했다.


“공역” 공중전과 해전의 지리적 범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전은 전략적 중심을 가지고 있었고, 타이완이나 그 근처의 임무가 중심이었다. 대부분의 팀들은 당면한 주요 과업에 집중했다. 미국 팀들에게는 중국이 승리하려면 필수적인 상륙 함대를 격파하는 것이었고, 중국 팀들에게는 상륙 선단을 보호하고, 가능한 한 많은 병력을 해안에 상륙시키고, 공군력으로 최대한 지원하는 것이 이에 해당했다.


침략 함대를 공격하고 방어하기 위한 반대 전략: 중국의 성패는 상륙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상륙 함대를 방어하는 능력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해상 및 공중전의 대부분은 그 함대를 침몰하려는 미국의 노력과 그것을 방어하려는 중국의 노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미국과 파트너 군대는 이 싸움에서 그들이 동원할 수 있는 많은 잠재 자산을 가지고 있다. 타이완의 지상 대함미사일은 처음부터 교전에 들어가 함대에 상당한 타격을 주며 중국의 공습과 미사일 공격에 의해 파괴되거나 미사일이 소진되는 시점은 대개 교전 후 2주 차이다. 잠수함은 본질적으로 은밀하며 또한 중국 함대를 확실하게 소모할 수 있다. 그러나, 잠수함은 지속적인 소모를 가할 수 있지만 제한된 수의 탄약을 운반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항구로 돌아와 재무장해야 하며, 따라서 그 성과에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장거리 대함미사일을 탑재한 폭격기와 전투기는 항공기의 높은 운반능력과 빠른 후방 시간을 감안할 때 중국 함정에 가장 강력한 위협이 된다.


일반적으로 중국 플레이어는 이러한 공격을 감쇠하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채택했다. 수비적으로 중국 팀은 상륙함대와 이에 대한 위협 간에 계층화된 태세를 확립했다. 그들은 상륙 함대의 주변에 함대 일부를 배치했다. 대부분은 수상 작전 전대를 타이완 동쪽의 방공 및 미사일 방어 전초로 사용했으며, 보다 멀리 필리핀해와 서태평양에 잠수함을 파견하여 미국 수상 함대를 요격했다. 동시에 중국 팀은 가능할 때마다 공격 작전을 수행하여 미국(그리고 종종 일본) 해군을 공격했으며 대부분의 팀은 일본 전역의 미국 공군 기지를 공격했다.


중국의 보다 직접적인 방어 활동은 예측 가능한 경로를 따랐다. 중국 전초 부대가 배치되었을 때 한동안 상륙함대에 대한 미국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무산시켰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차에서 미국은 결국 대규모 공습과 미사일 공격으로 전초 부대를 압도했다. (타이완 공습 및 지상 지원). 인민해방군 해군을 상륙 선박의 보호 장갑으로 사용한 것은 효과적이기는 했지만 많은 중국 사상자를 냈다.


위에서 설명한 접근 방식은 깊이 있는 중국의 접근 방식을 나타내지만 결과는 엇갈렸다. 중국 잠수함은 순찰 대상 지역이 넓고, 디젤 함이 많으며, 미국과 일본의 대 잠수함 작전으로 인해 미 해군에 제한적인 피해를 주는데 그쳤다. 더 강력한 것은 중국의 장거리 미사일 공격과 대량 미사일 공격으로 거의 항상 미국 해군 방어를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일반적으로 미국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라운드 내에 전진 배치된 항공모함을 모두 잃었다. [10]


그러나 중국의 고급 대함미사일은 비교적 일찍 소진되는 경우가 많았다. 게임이 추가로 몇 주 동안 계속되었다면 후속 공격(만약 지속했다면)은 덜 치명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때까지 타이완에서의 전쟁 결과는 대체로 결정되었을 것이다.


중국이 미국 공군 기지를 파괴: 이전 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 사례는 일본이 중립을 유지하지만 미군이 카데나, 이와구니, 요코다 및 미사와를 포함하여 일본의 미국 기지에서 미국이 전투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기지는 미국에 엄청난 가치가 있다. 일본에 기반을 둔 항공기는 타이완 주변의 중국 선박을 공격하고 알래스카나 하와이에서 오는 폭격기를 호위할 수 있다. 카데나 또는 일본 남부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는 타이완 상공에서 제공권 작전을 수행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으며 공중 급유가 많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인민해방군 로켓군에는 일본을 사정거리 내로 두는 많은 전술 탄도 미사일과 지상 발사 크루즈 미사일(GLCM)이 있다. 탄두에 자탄이 장착된 이 대량의 정밀 타격 미사일은 일본의 모든 군사 공군 기지를 뒤덮을 수 있다. 인민해방군 공군의 공중 발사 크루즈 미사일(ALCM)은 이러한 지상 발사 시스템을 보완한다. 따라서 중국은 그러한 공격이 자위대를 전쟁으로 끌어들일 위험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기습 요소를 포함하여 일본의 공군 기지에 대한 파괴적인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일본 공격 여부는 중국 선수에게 중요한 결정이었다. 아래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일본을 공격했다.

그림 10: 일본에 대한 중국의 공격

출처: CSIS


종종 중국 플레이어는 일본을 분쟁에 끌어들이는 것에 대해 조심하여 즉시 공격하지 않았고 최대 효과를 낼 수 있을 때까지 대량이지만 여전히 한정된 미사일 수량을 보존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미국이 일본 기지에 병력을 증강하고 이를 성역으로 삼아 중국 공군과 해군을 공격하자 중국 플레이어는 공격을 결정했다. 이 지연된 공격은 지상에서 수백 대의 미국과 일본 항공기를 파괴하는 매우 효과적인 것이었다. [11]


중국 플레이어가 일본의 미군을 공격했을 때 일본군도 함께 공격하여 많은 일본 항공기와 수상함을 파괴했다. 살아남은 자위대는 중국 전술 탄도 미사일로 인한 초기 손실에도 불구하고 반격했다. 가장 귀중한 것은 일본 잠수함으로, 중국 상륙함과 타이완 주변의 중국 전초 부대를 공격할 수 있었다. 또한 살아남은 일본 항공기 및 일본의 역량 있는 대잠 초계 능력도 귀중했다. 항공 자위대의 항공기는 타이완 상공의 전투 항공 초계기에 합류하여 중국 상륙함대를 공격했다. 일본의 광범위한 해상순찰 함대와 수중 센서 네트워크는 중국의 잠수함 함대를 타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 수상 함대와 마찬가지로 일본 수상 함대는 중국의 미사일 위협이 완화될 때까지 타이완에서 신중한 거리를 유지해야 했다.


일본이 참전하는 상황에서 일본 잠수함은 미국 잠수함과의 아군 오발을 피하기 위해 타이완의 동쪽이나 북쪽에 머물렀다. 타이완 동쪽에서 해상자위대 잠수함은 미국과 일본 공군이 상륙함을 더 쉽게 공격할 수 있도록 중국 전초 부대를 공격했다. 타이완 북쪽에서 그들은 타이완 해협 외부의 항구를 출발하는 중국 상륙함을 공격했다. 이러한 결과를 평가할 때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이러한 일본의 조치가 미국 플레이어의 선호도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조국 방위를 위해 상당한 병력을 억제하거나 무력사용을 제한하는 일본정부의 행동을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12]


일본을 공격하는 전략은 작전적 의미에서 중국에게 통했다. 타이완에서 가까운 일본 공군 기지 무력화의 이점은 자위대가 미국에 합류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능가했다. 중국이 공격하지 않은 게임의 결과는 공격을 한 게임보다 중국에 불리했다. 그러나 이 판정은 장기적인 정치적, 외교적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자원 제약, 우선순위, 리스크 전략들

교전 과정에 대한 최종적인 관찰 결과는 양측이 종종 절충을 하고 리스크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절충의 관건은 쌍방 모두 실행 가능한 전력보다 더 많은 활동을 수행하기를 원한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많은 중국 팀들은 함대를 보호하기 위해 또는 심지어 미국과 일본의 공습을 방해하기 위해 류큐 제도 위에 항공 순찰을 전개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하지만, 소요 거리와 중국 공중급유기의 부족은 공군의 다른 중요 임무를 고려할 때 그런 임무는 타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중국 팀은 타이완 자체에 대한 항공 우위를 유지하고 타이완 해안의 지상군에 항공 지원을 제공하는 데 공군력을 집중했다. 타이완을 침공하면서 본토를 지키는 등 여러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려 했던 중국 플레이어들은 조기에 실패했다. [13]


미국과 일본 팀은 비슷한 딜레마에 직면했다. 대부분 전투기와 전투 항공 초계기로 타이완에 도래하는 중국 공군력에 맞서는 것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최우선 순위는 상륙 함대에 대한 공격이었다. 미·일 공군기지에 대한 중국의 주기적 미사일 공격으로 제공권 장악과 타격을 동시에 수행할 만큼 항공기가 충분하지 않았다. 중국 지상군이 항구와 공항을 점령한 경우, 추가적인 보충을 저지하기 위하여 그 시설들을 타격하고 손상시켜야 한다는 것이 미국의 딜레마를 깊게 했다. 미국 플레이어들이 타이완으로 수송기를 호송하려고 하는 드문 경우에 그들은 유사한 상황에 직면했는데, 호송 그룹을 구성하면 다른 형태의 임무에 대한 투입을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자원량을 초과하는 임무를 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딜레마 외에도 팀은 지속 불가능한 수준의 사상자가 발생할 위험과 목표 달성을 위해 불충분한 전력을 투입하는 위험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에 대한 선택에 직면했다. 특히 발 밑에 교전이 시작되고 태세가 취약한 미국 팀이 그랬다. 중국의 초기 미사일 공격은 미국의 전방 배치 항공기와 해군력의 대부분을 파괴한다. 미국은 공군과 해군의 지원을 꾸준히 받고 있지만 전역에서 강력한 역량을 구축하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미국이 방어 태세를 취한다면 중국은 항구와 공항을 점령하고 섬에 안전한 교두보를 구축할 수 있다. 시간을 지연하면 인민해방군이 타이완에 상륙하기 전에 공격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한다. 반면에 공격을 극대화하기 위해 너무 적극적으로 전진하면 중국의 미사일 공격으로 인한 심각한 손실이 발생한다. 게임 기록에 따르면 이 딜레마에 대한 극단적인 대응은 대가가 크다. 공군력이 가장 공격적으로 추진된 두 번의 회차(#12 및 #13)는 매우 높은 미국 항공 손실(각각 774대 및 750기)과 교착 상태 결과를 초래한 반면, 가장 신중한 전략(#18)은 항공기 손실이 적었지만(392 항공기) 유리한 작전 결과를 내지 못했다.


플레이어가 더 혼합된 전략(#4 및 #16)을 채택한 회차는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딜레마는 비관적 시나리오에서 가장 심각했으며 여기에 언급된 모든 예는 이러한 경우에서 가져온 것이다.


신영역은 중요하지만 결정적이지 않다. 자신의 능력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로 어떤 플레이어도 적 위성에 직접 상향 무기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것은 상호 억제의 전형적인 사례였다. 대우주 작전에서 양측은 전자전과 방해에 만족했다. 그들은 또한 공동 궤도 공격을 했는데 이는 타이완 작전 기간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우주는 중요한 전투 영역이지만,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적이었다.


양측 모두 공격적인 사이버 행동을 취했지만, 결정적인 효과는 없었다. 한 상황 사례는 가상의 사이버 혼란을 부분적으로 상정하여 타이완의 공격 대응 지연을 분석했다. 이 지연은 초기 해안가로 상륙하는 인민해방군을 타이완이 저지하는데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이버 작전은 일시적인 이점을 얻는 데는 유용했지만, 그 자체로는 전쟁에서 승리하는 도구가 아니었다. 이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최근 경험과 일치하지만 일부 옹호자들과 미래학자들이 생각하는 더 상상력이 풍부한 효과와는 다르다. [14] 중요한 주의 사항은 이 게임이 기밀 정보에 입각하여 이 영역을 조사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우주와 사이버, 이 두 영역은 기밀 정보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 영역 모두에서 더 광범위하고 미묘한 일련의 기능은 작전 수준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전략적 또는 국가적 수준에서는 서로 다른 결과를 만들 수 있다.



[1] 해상 사전 배치선 편대는 군부대를 위한 장비와 보급품을 항상 가지고 다니는 화물선 그룹이다. 가장 큰 구성 비중은 해병 상륙 여단을 위한 것이다. 현재 인도양의 디에고 가르시아와 괌에 기반을 둔 두 개의 편대가 있다. 병력은 장비보다 이동하기가 훨씬 쉽기 때문에 개념은 병력은 비행하는 동안 선박이 장비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 기능은 사막의 폭풍과 2003년 이라크 침공에서 주요하게 사용되었다. 사전 배치된 화물 요소는 많은 소규모 우발 사태에 사용되었다. “Prepositioning (PM3),” Official U.S. Navy Website, U.S. Navy’s Military Sealift Command, n.d., https://www.msc.usff.navy.mil/Ships/Prepositioning-PM3/


[2] 미래의 미군은 타이완의 비대칭 대함 방어와 무수한 공중 발사 대함 크루즈 미사일을 동원하여 최초 교두보 설치마저도 막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두 나라 화력의 막대한 동원은 2026년까지는 가능하지 않다.


[3] 본 프로젝트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은 전략적 목표(예: 정부 청사)와 타이완 해군 및 공군을 파괴하는 데 근거리 탄도 미사일 부대를 주로 투입할 것으로 나타났다.


[4]이 계획에 대한 논의는 다음을 보라. Ben Jensen, “Not so Fast: Insights from a 1944 War Plan Help Explain Why Invading Taiwan Is a Costly Gamble,” War on the Rocks, September 8, 2022, https://warontherocks.com/2022/09/not-so-fast-insights-from-a-1944-war-help-explain-why-invading-taiwan-is-a-costly-gamble/


[5] 롬멜의 코멘트는 Cornelius Ryan에서 인용되었다. The Longest Da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59), 8.


[6] For naval ships, see Samuel J. Cox, “H-031-1: Operation Neptune—the Amphibious Assault on Normandy, 6 June 1944,”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June 2019, https://www.history.navy.mil/about-us/leadership/director/directors-corner/h-grams/h-gram-031/h-031-1.html. For a list of APAs and AKAs, see “American Merchant Marine Ships at Normandy in June 1944,” U.S. Merchant Marine, n.d., http://www.usmm.org/normandyships.html#anchor1064501. See also S.E. Morison, The Invasion of France and Germany: 1944-1945,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Castle Books, 2001), https://books.google.com/books?id=CBiJPQAACAAJ; and Kenneth Edwards, Operation Neptune: The Normandy Landings, 1944 (Gloucestershire, United Kingdom: Fonthill Media LLC, 2013). 


[7]이 섬은 Pescadores로도 알려져 있으며 조약에 명시되어 있다.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China; December 2, 1954,” The Avalon Project, Yale Law School, https://avalon.law.yale.edu/20th_century/chin001.asp


[8] Taiwan Relations Act. 


[9] Laura Dobberstein, “Taiwan to Dominate Chip Biz for Foreseeable Future,” The Register, April 26, 2022, https://www.theregister.com/2022/04/26/trendforce_foundry_capacity/


[10] 항공모함을 "잃는다"는 것은 남은 교전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실"은 실제 침몰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심각한 손상을 의미하여 배가 작업에 복귀하는 데 수개월의 수리가 필요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핵 전함의 "손실"은 또한 방사능이 선박을 오염시켜 아직 떠 있더라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11] 일본에 대한 중국 선제공격의 참혹한 성격은 보다 적은 수의 항공기를 배치 노출하여 지연된 미국 동원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역설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미국이 몇 달 동안 동원하여 많은 수의 항공기를 일본에 배치했다면 중국의 선제공격은 그저 더 많은 항공기를 파괴할 것이다. 다음 장에서 이 현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12] 프로젝트 팀은 일본의 의사 결정을 조명하는 일련의 게임 회차를 일본에서 별도로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 회차는 별도로  프로젝트 펀딩을 받고 있다.


[13]16번째 회차(#16)에서 중국 플레이어들은 고국을 보호하기 위해 상당한 병력을 보류했고, 그 결과 가용 병력이 부족하여 타이완에 치명적인 패배를 했다.


[14]Ackerman과 Stavridis는 미래의 미중 분쟁에 대한 가상 이야기에서 사이버 공격이 몇 달 동안 미국 함대의 능력을 무력화하고 F-35 항공기를 가로채 통제하는 사이버 공격을 묘사하면서 사이버 능력이 결정적인 것으로 묘사한다(Ackerman and Stavridis, 2034).




매거진의 이전글 CSIC 미중 전쟁 워게임(5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