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왕 Aug 30. 2021

지구를 세 바퀴 반이나 돌 동안에

예전에 좋아하던 사람에게 시집을 선물로 받았다. 이병률 시인의 《 바다는 잘 있습니다 》라는 시집이었다. 저자가 유명한 문인이기도 하고 '하트시그널 2'에도 잠깐 등장한 덕에 꽤 판매고를 올렸던 시집으로 기억한다. 내 주변에도 이 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종종 있었기 때문에 더 실감이 난다.


신기한 건 이 책을 소장한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면 다들 직접 산 게 아니라 선물로 받았다고 하는 점이다. 아마 선물용 책으로 핫 했나 보다. 방송이든 뭣 때문이든 요즘 같은 시대에 시집 선물이라니, 사람들이 퍽 낭만적이지 않은가?


아무튼 내가 그녀에게 책을 받았던 배경을 살펴보자면, 당시에 병원에 입원해 있던 그 애와 나는 문자 그대로 '밤을 새 가며' 통화를 하곤 했다. 한 번은 병상 통화에서 그 애가 나에게 물었다. "너는 왜 시는 별로 안 읽어?" 글쎄 딱히 생각해 본 적이 없던 나는  "시는 좀... 어렵던데?"하고 대답했다.


그러자 수화기 너머로 별안간 "푸-핫" 하는 그 애의 웃음이 들려왔다. 별 것도 아닌 말에 어찌나 자지러지게 웃던지... 급기야 콜록거리기까지 하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그녀가 다시 중태에 빠지는 것이 아닐까 걱정되었다. 잠시 '크흠 크흠' 하며 호흡을 가다듬더니 "아 미안 미안 시집 좋아할 줄 알았어"라고 말했다. 그게 그렇게도 웃을 일이었나...? 얻어걸린 말이지만 어쨌든 그 애가 웃으면 나도 기분이 좋았다.


그 이후 그녀가 나에게 보낸 책이 《 바다는 잘 있습니다 》였다. 그전에도 두어 번 그 애에게 책을 선물 받기는 했지만, 시집은 처음이었다. 포장지를 풀고 책을 펼쳐보니 중간중간 포스트잇이 달려있는 페이지가 있었다. 손편지도 함께 들어있었다.


'언젠가 네가 이 부분을 읽고 나와 이야기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 너는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해'


어떻게 생각하긴 뭘 어떻게 생각해. 나는 역시 시는 너무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내가 좋아하는 사람한테 '시는 잘 모르지만 노력하는 남자'로 보이고 싶었던 나는 꽤 훌륭하게 책을 완독 해냈다.


어떤 시는 읽다가, '내용은 고사하고 이게 앞 뒤가 맞는 말이긴 한 거야?', '이렇게 써도 돼?' 싶은 것도 있었다. 중등교육과정을 무사히 마친 나였기에 '시적 허용'이라는 걸 들어는 봤지만, 누가 이렇게까지 허용해 줬냐고 쓴소리라도 한 번 하고 싶어 입이 근질거렸다.


책을 완독 하고도 썩 탐탁지 않아 하는 나에게 그 애는 '하고 싶은 말을 이렇게 꾹 눌러서- 한 군데에 담아 놓은 걸 함축이라고 하는 거야'라고 설명해 줬다. 설명하는 그녀의 말투과 음색이 너무 귀여웠다. 하지만 그녀의 그런 귀여운 노력에도 '꾹 담아 놓은 하고 싶은 말'이라는 게 무엇인지 내 눈에는 잘 보이지 않았다.


그 시집은 오래 병으로 고생하던, 그리고 그보다 더 오래 마음의 병으로 고생하던 그녀에게 받은 마지막 선물이었다. 그게 어언 3년 전 일이다. 물론 그걸 받을 당시에 나는 그것이 우리의 마지막이 될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다


내가 차를 사고 무려 40,000km를 탔을 때 나는 그 애에게 '너 지구 둘레가 몇 km 줄 알아? 4만이래, 4만! 따지자면 나도 지구를 한 바퀴 돈 거나 마찬가지지'라고 으스댔던 일이 생각난다. 지금 내 차의 주행거리 계기판엔 140,370km가 찍혀있다. 나는 지구를 무려 세 바퀴 반이나 돌아왔지만 어째 지구를 한 바퀴 돌던 시절보다 더 허전한 사람이 되어있었다.


그리고 나는 그 이후에 이해도 못 할 시집을 몇 권이나 더 사 읽었다. 왜 사게 됐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냥 어떤 책은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어떤 책은 작가의 말이 마음에 들어서, 그런 시답잖은 이유였던 것 같다.


여러 권을 봐도 여전히 꾹꾹 눌러 담아놓은 마음이라는 게 뭔지 잘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도 나는 왜 이 것들을 일부러 찾아 읽고 있는 걸까? 모르겠다. 굳이 이유를 붙여 보자면 시인이라는 작자들이 그다지 기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게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화자의 어깨는 죄다 초라해 보였고, 얼굴보다는 등이 보였고, 마음은 넓어 보이기보단 작아 보였다. 날카롭고 명료한 산문집을 읽을 땐 보이지 않던 모습들이 횡설수설해 보이는 시구에선 보였다. 세상은 너만 우울한 게 아니라는 칙칙한 동질감 같은 것들 말이다. 


아무래도 이 직업은 큰 상실감을 견뎌내야지 될 수 있는 모양이다. 시를 쓴다는 건 슬픔보다 나중에 찾아오는 일인가 보다. 그래서 나는 내가 시인이 되지 않은 것은 아직 그런 큰 슬픔을 견딜 일이 없어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시인이 될 수 없음이 아주 다행인 일이었다.


그러다 문득 화상자국처럼 남은 내 지난 이야기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연인과 헤어지고 버스 뒷자리에서 소매로 가려가며 펑펑 울던 날, 포장마차에 앉아 잘 마시지도 못하는 술을 몇 병이고 비우던 날, 어디 들어가기 싫어서 그냥 동네 몇 바퀴 허정거리며 걷던 날, 쏟아내고 싶은 말들 묵묵히 삼켜낸 날들 같은 것들을 본다. 그리하고 나면 슬프게도 나는 누구나 시인이 될 수 있겠구나 하면서, 이해하고 싶지 않은 마음을 조금은 이해해 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 애가 거짓말쟁이 같다고 생각했다. 하고 싶은 많은 말을 꾹 눌러서가 아니라, 하고 싶은 말이 하나도 없는 게 함축이 아니냐고 따지고 싶었다.


할 말이 너무 없는데 무슨 말이라도 해야겠으니 떠오르는 낱말들을 대중없이 엮어내고, 이 마음을 차곡히 펼쳐놓을 방법 같은 게 생각이 안 나 주렁주렁 널어놓고, 그런 게 시가 아니냐고 그녀에게 물어보고 싶었지만 나는 끝내 물어볼 기회가 없었다.

작가의 이전글 목련꽃 머리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