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일과 삶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급 인생 Oct 23. 2020

나는 회식이 너무 싫었다.

1분 스피치 타임


  회사에서 힘든 순간 중의 하나는 회식 때의  ‘1분 스피치 타임’이었다. 참석자가 돌아가면서 허심탄회하게 발언하라고 배려하는 시간이긴 하지만 나에겐 매번 큰 근심거리였다. 특별히 정해진 형식이나 방향 같은 건 없지만 맨날 보는 사람들끼리 뭘 말하라는 건지 이해가 잘 안 됐다. 게다가 발언 말미에 멋있는 건배사로 마무리 지어야 해서 숫기 없는 나로선 분위기를 맞추기가 어려웠다. 주로 좌장 격인 직위가 가장 높은 사람이 시켜서 하는 게 대부분이다. 휘하의 직원들에게 평소에 말하기 곤란하였던 건의사항 같은 걸 해보라는 취지이지만, 그 건의를 100% 들어주리라 믿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오히려 아랫사람 입장에선 그 발언을 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또 다른 강요이며 갑질로 여겨질 수 있다.


  나처럼 소극적이거나 내성적인 성격의 직원들에겐 여러 사람 앞에서 하는 발언은 늘 고역이다. 하고 싶은 말이 있다 하더라도 자리에서 일어서는 순간에 머리가 온통 하얘져 조리도 없이 횡설수설하게 된다. 그러니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미리 생각해보느라 앞사람이 하는 말을 제대로 듣지도 못할 정도다. 고민 고민하며 어렵사리 해야 할 말을 마련해두었더라도 앞의 누군가가 유사한 발언을 해버리면 정말 난감하다. 비슷한 발언을 되풀이하는 것 같기도 하고 다른 말을 다시 마련해둘 겨를도 부족하니 더 움츠려 든다.


  게다가 경험에 의하면 내가 발언하는 동안 다들 끼리끼리 수군대다가 내 말이 끝나면 내용도 모르면서 박수만 쳐대기 일쑤니 모욕적이기도 했다. 그러니 좀 튀고 싶은 사람은 모두가 집중할 수 있도록 발언하지 않으면 안 된다. 좌중을 웃기는 유머나 최신 정보 등 누구에게나 솔깃한 발언을 하는 게 좋다. 거기에다 마지막에 내지르는 새롭고 창의적인 건배사를 미리 준비해두면 금상첨화다. 그야말로 모든 시선이 집중되고 분위기를 띄우는 효과를 보게 된다. 이런 자질과는 거리가 먼 나로선 회식을 한다는 전달사항을 보는 순간부터 마음이 무거워지곤 했다.




원샷 건배


  또 하나 힘든 순간은 건배 타임이다. 지위 고하, 남녀 불문하고 누군가의 건배제의에 따라 '원샷'을 해야 하는 우리의 회식 문화 때문에 술이 약한 나는 늘 괴로웠다. 특히 직위가 높은 사람의 건배제의를 거부하다가는 '주도(酒道)'도 모르는 버릇없는 놈으로 혼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술 따위도 못 마시니 어려운 업무를 헤쳐나갈 수 없는 무능력한 놈으로 낙인찍히기도 한다. 한 때 회식자리에서 폭탄주가 유행했던 시절, 나는 승진을 포기해야 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절망적이기도 했다.


  그래도 회사 경력이 쌓이면서 회식자리에서 나만의 대처능력도 생겼다. 회식 때마다 미리 구석자리를 차지하고 식탁 아래 숨겨둔 빈 잔에 내 몫의 술을 몰래 비워내곤 했다. 하지만, 분위기가 무르익으면 자신이 격의 없는 사람임을 보여주려는 듯, 이 사람 저 사람에게 옮겨 다니는 상사가 있다. 내 옆으로 다가와 내 주량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술잔을 건네주며 술을 따라줄 땐 어쩔 도리 없이 단숨에 받아 마셔야 한다. 얼굴엔 성은이 망극하다는 표정과 함께 최대한 호쾌한 동작으로 원샷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미 여러 사람의 입을 거쳐 불결하리라 생각이 드는 술잔은 둘째로 하더라도, 내 곁에 머물다 가는 상사와 선배들의 잔을 모두 받 마시다 회식이 파하기도 전에 인사불성이 되곤 했다.


  더 큰 문제는 어떻게 집으로 왔는지도 모르게 곯아떨어져 있다 다음날 출근하면 여전히 취중 상태로 하루를 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업무를 제대로 할 수 없을뿐더러, 체력이 약하다는 둥 정신력이 약하다는 둥 온갖 수모도 다 겪으며 하루를 버텨야 한다. 지금도 그 끔찍한 시절을 회상하면 천금을 준다 해도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다.




상사 배웅


  술자리가 파할 무렵도 힘들긴 마찬가지다. 이미 고주망태가 되어 정신도 혼미하고 몸도 가누기 힘든 상태에서 윗 분들이 떠날 때까지 자리에서 버텨야 하기 때문이다. 가장 지위가 높은 상사부터 차위 상사가 차례차례 떠날 때까지 직급이 낮은 직원들이 예의 바르게 배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상사들은 어쩌면 하나같이 이별 인사를 하면서 한 사람의 참석자도 빼지 않고 작별 악수를 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니 예의 바른 사람으로 보이려면 최대한 꼿꼿하게 버텨야 한다. 모든 상사를 그렇게 배웅하려면 그 시간도 꽤나 오래 걸린다. 인사고과로 직원들을 좌지우지하는 조직사회니 어쩔 수 없다.


  모든 상사를 배웅했다고 끝이 아니다. 운수가 나쁜 날은 개중에 자신이 호탕하고 자상하다는 듯 한잔 더 사겠다고 하는 사람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빨리 집에 돌아가 쉬고 싶은데 다시 한참 동안 취한 상사를 모셔야 하니 마음이 털썩 내려앉는다. 그렇다고 내색할 순 없다. 반대로 환호성과 함께 과장된 감사의 액션을 보여주는 게 예의다. 그렇게 한잔 더하고 파하면 다행이지만, 하급직원들의 불행은 여기까지가 아니다. 그 상사가 인사불성이 되기라도 하면 술값은 고사하고 기사에게 택시비까지 쥐어주며 보내드려야 한다. 심한 경우 그 상사의 집까지 고이 모셔서 가족에게 인계해 드려야 뒤탈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려고 취직했나 자괴감이 든 적도 많다.




  근자에는 코로나 사태로 회식이 거의 근절되었다. 코로나가 잠잠해지면 그동안 미뤄두었던 회식이 조금씩 다시 살아나겠지만, 예전처럼 그런 분위기로 흘러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몇 년 전부터 김영란 법 제정, 직장 내 갑질 문제, 성희롱 문제 등으로 막 망가져(?) 보자는 식의 회식은 자제하고 있는 추세다. 갓 입사한 90년대생의 후배 직원들은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프라이버시를 한층 존중하는 세대이니 회식 자체를 강요할 순 없는 시대이기도 하다. 회식이 두려운 나로선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나는 이제 회식자리에서 누굴 접대하여야 할 위치도 아니니 크게 부담스럽지도 않다.


  직장생활로 고단할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회식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즐겁자고 하는 회식이 공포스럽거나 짜증 나는 만남으로 여겨졌던 내 젊은 날의 회식문화는 나의 세대에서 마감되면 좋겠다. 하긴 내 또래 세대 중에도 사람 만나길 좋아하고 술을 즐기는 사람도 꽤 있으니 꼭 내 말이 맞다고는 장담 못하지만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보고서의 쓸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