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위글위글 May 22. 2020

사회 적응이 아닌 사회적 융화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

그들의 플랜B ‘이중언어교육’

  거리에서 종종 보이는 이주민 여성, 하지만 20대인 우리 주변에 그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는 일은 흔하지 않다. 그렇지만 몇 해 전 초등학교에 입학한 조카의 말을 들어보면 어머니가 이주민 여성인 친구들이 꽤 많다고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2019년 기준 약 13만 7천 명으로 전체 학생 수 중 2.5%를 차지한다.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30년 후에는 우리 사회의 한 축을 담당할 것이다.

 이번 회차에서는 점차 증가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를 주제로 삼아보고자 한다. 앞으로 사회를 구성할 그들을 돌보는 어머니에게 관심을 가져봄으로써 훗날 우리와 함께할 그들에게 관심을 가져보는 계기를 가졌으면 한다.      

 이주여성으로서 사회에서 겪는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자녀 교육문제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해선 교육이 적응의 시작점이다. 교육열이 매우 높은 한국 사회에서는 교육이 곧 사회의 적응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 대한 부재, 낮은 경제력, 만연한 사회 차별로 인해 그들은 자녀에게도 사회의 차별을 물려줄 처지이다.     

 주 양육자인 그들은 외국인인 경우 한국어 능력이 부족해 자녀들의 언어 형성기에 풍부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언어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주지 못해 한국어 성장 기회를 놓친다. 다문화가정의 학령기 자녀들이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정도는 아니지만, 문장 이해력이나 문장에 내포 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학령기에 부족한 언어습득은 학습의 기술 습득에 어려움을 겪으며 나아가 학습 부진과 언어문제로 인한 사회관계 형성의 어려움 등 다른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품고 있는 다문화가정은 부족한 한국어 실력을 어머니의 모국어 교육을 통해 그들만의 경쟁력을 갖추고자 한다. 이중언어 교육이 다문화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것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서의 사용 한계와 더불어 모국어 사용의 부정적 시각으로 인해 친구들 사이의 따돌림은 자녀의 학습 의지를 꺾어버린다. 이에 더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윗세대인 시어머니는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해 어머니의 모국어 교육을 반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외국인 어머니에게 맡겨진 한국어 교육, 부족한 실력을 메꾸기엔 부족한 경제적 능력을 해결하기 위해 생각해 낸 이중언어 교육, 하지만 가정과 사회는 한국 사회 적응이라는 명분 아래 그들의 언어를 배제한다.  

<내일 신문 뉴스 2019.10.17>

정부는 2009년부터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 별도의 교육프로그램과 방과 후 수업형태를 지원하며 학부모를 위해선 출신국의 언어로 학교생활 안내 책자를 만들어 배포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들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지원은 부족하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매년 증가해 14만 명에 육박하는데 교육 당국이 파악한 다문화 언어 강사 수는 500명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다문화 학생은 초등학생이 약 10만4천 명, 중학생이 약 2만1명, 고등학생이 약 1만1천 명이다. 다문화 강사 500명 중 약 400명은 이주민 여성이며, 외국어 교육 전문가로 확인된 인력은 64명에 불과하다. 다문화 학생들이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고 이중언어 강점을 키울 수 있도록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융화보다 적응을 강요하는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NEWS NACK,20.05.22>

 하지만 우리 사회에 그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교육일 뿐 그들을 우리 사회에 융합하려는 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 혐오 없는 사회의 첫걸음은 그들의 문화 즉 언어를 존중해 주는 것이다. 그들의 언어는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경쟁력이 될 것이다. 현재 우리는 우리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그들의 잠재력을 무시한 채 우리의 문화를 강요하고 있다. 그들이 그들의 문화를 꽃피울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진정한 교육과 사회에 대해 한번 생각해 봤으면 한다.      


* 이중언어교육은 두 개의 언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인재 육성 교육 또는 두 언어를 사용하여 가르치는 교육을 의미한다.

작가의 이전글 저는 팔려 온 것인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