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레인튜너 Feb 13. 2024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무실역행, 목표지향, 성과지향, 목표, 계획, 실행, 성과, 완결

말은 쉽지만, 실행은 쉽지 않다. Easier said than done.




세상에는 인생을 풍성하게 만드는 좋은 책이 많다. 자주 인용되는 성현의 말씀도 있다. 잠언, 격언, 명언으로 알려진 내용이 대부분이다. 요즘은 시대상을 반영해서 그런지 예전과는 다르게 주로 성공한 사람들, 즉 권력·명예·돈 등 셋 중의 하나라도 성취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여기저기 널렸다.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데 이 세 가지보다 강력한 건 별로 없는 것 같다.


SNS든, 유튜브의 쇼츠든, 페북이나 인스타의 릴스에도 떠도는 내용이 많다. 유심히 보는 것 중 하나는 페북에 포스팅되는 추천 도서의 요약한 내용과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는 1장짜리 카드 뉴스이다. 어제 올라온 내용으로 제목이 "Do what you can with what you have at where you are."다. 지금 가진 것으로 지금 있는 곳에서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하라는 뜻이다. 부제는 'How to become more powerful'로 더욱 강해지는 법이다. 현재 상황에 맞춰 괄호 안에 생각을 정리하여 의역했다.


    1. Talk less(하고 싶은 말 중 90%는 버리자)

    2. Be calm(침묵이 금처럼 귀할 때가 있다)

    3. Observe more(관찰하기보다는 통찰하라)

    4. Make eye contact(눈 맞춤은 자신감과 신뢰감을 높인다)

    5. Think before speaking(말하기 전에 세 번 생각하라: 이 말은 사실인가, 이 말은 꼭 필요한가, 이 말은 지금 해야 하는가)

    6. Manage time better(시간은 효율적으로 활용하라)

    7. Show respect(어떤 상황에서도 상대방을 존중하라)

    8. Move in silence(靜中動, 말하기보다는 조용히 실행하라)


지식, 기술, 역량은 상태이고, 성공은 결과이다. 상태에서 결과로 가기 위해 중간에는 항상 체화體化(연습, 훈련, 반복)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 이를 '실행實行·실천實踐'이라고 한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말씀을 인용하면 무실역행行이다.


실행하고 결과가 나와야 성과가 있고, 성과가 있다는 건 본인이 변화했다는 의미다. 변화가 없으면 꽝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일인기업가의 마음가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