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송인 Apr 10. 2024

글쓰기가 효과적인 상황 대처에 도움이 되는 이유

평소에 습관처럼 내뱉는 말이 있나요? 저는 있습니다. 모르고 있다가 제 아이들이 제 말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을 보고 알아차릴 수 있었습니다. 아이들은 제가 생각 없이 내뱉어 온 부정적인 특정 단어를 그대로 따라하더군요. 이후로 그 단어는 거의 쓰지 않습니다.


한 사람이 사용하는 단어는 그 사람의 정신세계를 들여다 보는 창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이나 감정을 조절하는 방식을 살펴보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제 말을 따라하는 것을 보면서 제가 어떤 경우에는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시켜서 대처하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1부터 5까지의 강도가 있는데 2부터 4까지 생략해 버리고 1 아니면 5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을 이분법적 사고라고 합니다. 자신의 감정 경험을 표현할 때 'ㄱ좋다'와 '짜증나' 두 가지밖에 표현할 수 있는 감정 단어가 없다면 이 역시 이분법적 사고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조금 더 단순화하자면, 참가자가 "내 친구가 죽었다"와 "내 피자에 올리브가 올라갔다"라는 두 가지 상황에 대해 동일한 단어나 구문("짜증나")을 사용하는 경우, 이는 두 가지 경험에 대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어휘력만큼 제한적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요컨대, 피자 문제는 사랑하는 친구를 잃은 것과 같은 비극으로 뇌에서 측정됩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패턴이 구어뿐만 아니라 문어에서도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내기 시작했습니다. - [[The Power of Writing It Down]]


상황이나 감정에 대한 과도한 단순화는 현상을 객관적으로 보는 능력의 함양을 저해합니다. 뒤집어 이야기하면, 선택할 수 있는 단어가 많을수록 상황을 더 정확히 판단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피자에 올리브 넣지 말라고 했는데 올리브를 올렸네. 짜증나."라고 말하거나 적으면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이기 쉽습니다. 반면, "주문할 때 피자에 올리브를 넣지 말라고 분명히 얘기했는데, 받아보니 올리브가 들어있어서 실망스럽고 당황스럽다. 주문 내역을 한번 확인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 나도 비슷한 실수를 할 때가 있으니 이번에는 넘어가자."라고 말하거나 적으면 감정을 조절하는 데 조금 더 용이할 것입니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누가 정확하게 표현해 줄 때 이해받고 있다고 느낍니다. 이 일을 셀프로 할 수 있다면 좋겠죠. 연습을 통해서 스스로의 내적 경험을 더욱 정확한 단어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글쓰기라는 연습을 통해서 섬세한 자기 표현이 가능해질수록 감정 조절 능력과 상황 대처 능력이 향상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