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송인 Dec 21. 2020

THE NEUROTIC PRIDE 2

Neurosis and Human Growth(pp. 102-117)

103쪽부터 신경증적 자부심에 상처를 입었을 때 나타나는 세 가지 반응 유형(revenge, losing interest in all situations or people who in some way hurt this pride, denial)을 설명하면서 어느 유형이든 자기에 대한 책임을 거부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고 보네요. 

자기에 대한 책임을 거부할 때 표면적으로는 스스로에 대한 객관적 반성을 하는 것처럼 보여도 지적인 이해에 지나지 않으며 심지어 그런 '객관적 반성'을 자부심 고양에 동원할 수 있다고 말하는 부분(106쪽 첫 번째 문단)에서 호나이의 예리함을 다시금 느꼈습니다. 세핀님이 얘기했듯이 신경증 환자가 어떤 양상을 보이기 쉬운지 많은 경우의 수를 지녔고 물샐 틈이 없네요.

신경증적 자부심에 큰 상처를 입게 되면 자기가 분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생존의 차원에서 이러한 노력을 이해하는 것이 치료적으로 도움이 되겠고, 상처 입지 않으려고 애쓰다 보니 일상의 제약이 커지고 실패할 수 있을 만한 일은 시도하지 않게 되면서 미래 가능성마저 차단된다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그에 더해, 신경증적 자부심에 내포된 높은 기준으로 real self/actual being을 판단하기 때문에 자기혐오/자기경멸에 빠지기 쉽다고 말하면서 SELF-HATE AND SELF-CONTEMPT 챕터로 넘어갑니다. 


호나이가 central inner conflict 를 설명하면서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에 관해 언급합니다.


신경증적 자부심이 이상화된 자기상을 유지하고자 아무리 애써도 인간으로서의 근본 한계를 지닌 real self를 완전히 부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혐오/자기경멸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이것에 대해 호나이는 pride system과 real self 간의 핵심 내적 갈등(central inner conflict)이라고 지칭합니다. 서로 다른 강박적 충동 간의 갈등을 neurotic conflict라고 지칭하여 핵심 내적 갈등과 구분하는 것 같고요. 

호나이의 설명이 꼭 병리적 자기애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취약한 자기를 과잉보상하기 위한 거대자기에 관한 설명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극과 극은 언제나 연결돼 있어 보이고, 특히 자기혐오가 self-glorification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self-glorification을 지속하는 요인이라는 설명이 눈에 들어오네요(114쪽 마지막 문단).

자기혐오를 자각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고 자각을 전혀 하지 못 하는 사람에서부터 자기비난/죄책감을 강하게 표현하는 사람까지 다양한데, 후자의 경우에도 자기비난/죄책감을 높은 도덕적 민감성의 근거로 삼는 식으로 신경증적 자부심을 고양하려 하기 때문에 진정한 자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다음 주에는 자기혐오의 여섯가지 표현형을 하나하나 읽겠네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