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관련 커뮤니티를 보다보니 '스테이킹(Staking)'이라는 단어가 간혹 보이던데
생소한 단어라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어서 찾아보았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한 후 블록체인 검증에 활용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받는 것
대략적으로 이해는 가지만 아직 이걸 왜 하는건지 모르는 코린이..는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했다.
스테이킹은 모든 암호화폐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지분증명' 알고리즘을 채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만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지분증명'은 무엇일까?
블록체인이라는 네트워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연결하는 방식을 통하여 거래를 기록하고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거래를 검증하고 기록하는 방식을 크게 '작업증명'과 '지분증명' 두가지로 구분한다.
◼ 작업증명(POW : Proof of Work)
블록 내에 들어있는 암호를 풀면(채굴하면) 가상자산으로 일정한 보상을 주는 방식
우리가 잘 알고있는 비트코인이 위와 같은 방식을 채택해 적용하고 있다.
◼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해당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과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주는 방식
작업증명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채굴기 마련 비용이나 과도한 전기 사용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오스, 테조스, 코스모스 등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코인이 위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다시 스테이킹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해킹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세력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악의적인 세력이 전체 네트워크의 51%이상을 차지하면 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데, 스테이킹 참여가 많아지면 그만큼 공격에 드는 비용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결국 많은 사람들이 스테이킹에 참여할수록 블록체인의 보안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분증명을 기반으로하는 블록체인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스테이킹 참여를 유도하고 경제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스테이킹을 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컴퓨터에 노드를 설치하고 24시간동안 노드를 운영하며 블록 생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개인 투자자는 많지 않고, 이미 노드를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나 지갑업체가 이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까지만 들어서는 스테이킹은 장점만 존재하는 것 같은데 과연 그럴까?
[장점]
1. 블록체인 프로젝트 관점에서는 스테이킹을 통해 시장에 풀린 자산을 일부 동결함으로써 시세 조정의 효과가 있다
2. 스테이킹을 하는 관점에서는 이를 통해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
1. 위임한 자산은 정해진 기간동안 출금이 불가하기 때문에 해당 암호화폐의 시세가 급변하더라도 대응할 수 없다.
2. 은행 예금과 비슷해보이지만 스테이킹은 원금 보장이 불가하다.
스테이킹 만료 시 해당 암호화폐의 개수는 늘어나겠지만 만일 코인의 가격이 하락했다면 원금 손실 위험이 있다.
즉 코인 시장 호황기에는 스테이킹으로 수익을 낼 수 있지만, 불황기에는 원금 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한다.
스테이킹은 단기투자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보다는 장기투자를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해당 코인에 대한 확신이 있다면 스테이킹을 통해 알아서 코인 수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