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커머스가이 Aug 16. 2019

이마트가 적자라고?!!

할인점 이대로 사라지나? 간단한 통계로 추정해 보자!


안녕하세요 커머스가이 입니다. 


낮에 깜빡 잠이 들어서 엄청 욕먹고...

 - 맨날 하는 일도 없이 늦게 들어오는데 휴일에도 또 낮잠이라!!!

잠이 안 와서 저의 유통 경력의 시작인 할인점이 이대로 끝나는 것인가... 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다가 수치로는 어떤가 해서 간단히 조사해 봤습니다.

할인점 위기 이야기를 계속 나왔는데 이번에 이마트가 처음으로 적자가 나면서 제대로 이슈가 되고 있지요. 


머 제 글을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저는 가급적 정확한 데이터를 구해서 쓰지 않습니다. 

왜냐! 일단 데이터를 딱 원하는 걸 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든요!!

그리고 데이터 그 자체도 신뢰의 이슈가 항상 생기기 때문에

출처가 어디인지, 그 데이터를 만들 때 오류는 없는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는 아닌가!!

항상 데이터는 그냥 뽑지 않지요

의도!!! 를 가지고 뽑아내기 때문에 남에 데이터로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물론 딱 나와 같은 생각(전망)을 가진 사람이 

신빙성 있는 데이터 가지고 작업물을 내놨을 때는 머 그저 감사하게!!!

양해를 구하고 그 글을 가져와서~~~ 간단한 코멘트 정도 하면 샤샤샥!!!


그런 면에서 증권사에서 발행하는 리포트는 참 맘에 듭니다 후후후

물론 리포트는 그 자체로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 체크해야 하지만

데이터 자체는 머 출처가 명확하게 되어 있으니 그대로 가져다 써도 되지요.




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여하튼 할인점에 부진에 대한 저의 포인트는!!!


1. 할인점의 주 고객층이 사라지고 있다(줄어들었다)

2. 할인점을 대체할, 기존 할인점의 포지션에 겹치는 업태들이 많이 늘어났다.

2-1. 할인점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셀프로 카니발을 일으키고 있다.


머 이 정도였는데 사실 원하는 자료는 

오프라인 유통 업태별 점포수 자료인데 한 번에 똭! 정리된 걸 못 찾았습니다. 

찾으면! 이 글을 업데이트를 하겠지요!

 - 자자 가지고 계신 분은 4딸라!! 내놓으란 말입니다. 

연도별로 그냥 총숫자만 있으면 됩니다. 무에 어렵습니까!!!

제가 진유연 페이지 따봉 누르신 분들 한 번씩 프로필 보는데

거 다 아실만한 분들이 있는 거 봤습니다. 

대외비도 아니니 그저 각자 속한 업태에 연도별 총 매장 수 내놓으십시오.


기다릴게요

mcr@3rlaps.com


그래서 2번과 2-1은 그냥 뇌피셜로 쓰고 1번은 진짜~~~~~~~~~ 오래간만에

통계청 가서 데이터를 돌려서 가져왔습니다. 껄껄껄

요새 뉴스 보면 할인점이 그냥 1~2년 새에 망해 없어질 거 같은데!!

실제로 그러한가를 먼저 살펴보면


소매업태별   판매액지수(2015=100.0)입니다.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K31013&conn_path=I3

요기서 돌리시면 됩니다 껄껄


2015년 판매액을 100으로 봤을 때 업태별 판매액이 어떠한가를 보여주죠!!!

한마디로!! 2015년 기준으로 대형마트(할인점) 하나만!!!(사실 전문소매점도..) 숫자가 떨어지고 있네요!!!

 - 백화점도 빠지는데 1% 이 내니까 그저 비슷한 걸로 합시다 흠흠

특히 19년 2분기는 89.5!!!!! 90 아래로 똑!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머 저 숫자 가지고 지지고 볶고 하려면

총 지수 대비 구성비를 보고 하면 좀 더 재미있겠지만 그건 대충 눈대중으로 흠흠

참 쉽죠?


어찌 저런 숫자가 나오냐!!! 에 대해서 머 각종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일단 다른데 숫자가 엄청 커진 걸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아주 오프라인 중에는 편의점이!! 그리고 무점포 소매가 훨훨 아주 날아가고 있네요!!!


TMI 머 저 구분이 애매하다 굽쇼??

언제나 친절한 커머스가이 아입니까!!!

이 구분을 봐주시면 됩니다. ㅎㅎㅎㅎ 뒤늦게 올리는 이유는

다 아는데 괜히 중언부언할까 봐!!!


저 수치가 나오는데 점포 수 까지 똭!!! 넣으면 제대로 모양이 살 텐데 아쉽지만 오늘은 그저 추정으로

대략 저 기간 동안 편의점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할인점도 물론 증가했지만, 쪽수로 보면 그냥 편의점이 압도!!! 하지요.

 - 그래서 점포당 매출을 보면 참 좋습니다 ㅎㅎㅎ 자 이건 알아서 ^^*


그리고 할인점을 주로 운영하는 곳에서 뭘 하냐 슈퍼!!! SSM 도 하지요?!

그 SSM 도 많이 늘었습니다. 그리고 할인점은 아니더라도 지역마다 막 공판장 이런 것도 생기고

300평, 500평, 200평짜리 매장들이 근거리 배송(2~3만 원 구매하면 집까지 2시간 내에 슝~~) 보내주고

할인점은 그 사이에서 계속 치이고!!! 팀 킬 당하고 그랬습지요..


게다가 원스탑 쇼핑을 이야기하던 할인점의 업그레이드 대빵 버전인

교외형 아웃렛도 엄청 생깁니다. 그것도 할인점 주로 하는 롯데, 신세계에서, 현대도!!!

밖에 경쟁자 상대해야 하는데 내부에서 또 빼가고 아주 그냥 이리저리 치이게 되죠.

게다가 할인점이 세상 무서운 거 없이 잘 나가다 보니까 규제도 무지무지무지 생깁니다. 

가장 핵심이 강제휴무!!! 첨에는 휴무일 좀 챙기다가 자꾸 쉬어 버릇하니까

주말에 할인점에 장을 보러 가지 않아도 머 편의점이나 슈퍼에서 급한 거 좀 사고,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게 익숙해 지니까 점점 멀어지게 되지요.


머 뇌피셜 기준으로 여하튼 할인점이 타깃으로 하던 시장에

1. 고객 가까이에서 잘게 쪼개 먹는 놈 - 편의점

2. 가족 단위로 휴일에 겸사겸사 가는 곳 - 대형 아웃렛

3. 굳이 가야 되나 편하게 사면 좋은데 - 온라인 플랫폼, 배송 전문 업체

4. 할인점 이제 좀 식상하고 밋밋한데 - 뉴 업태(자체 속성 포함)

5. 할인점이 박리다매라 하더니 코스트코가 진짜지 - 창고형 매장(자체 확장 포함)


이렇게나 많이 들어왔는데 저 정도 하는 게 사실 더 대단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것도 그나마 점포수가 있어서 버텨내는 것!!! 온라인 전이 포함.


그런데 앞으로 어떨 것 같나!!! 에서

핵심 타겟층인 3~4인 가족의 숫자가... 점점 줄어드는 것이 문제 중에 문제.



2010년 기준으로 2인 가구가 탑 찍고 아마도 거의 2011년부터는 1인 가구 중심인 대한민국

혼자서 마트에 장 보러 가기는 그다지... 

과거에는 바나나도 한송이 사다가 먹고 그랬는데 이제는 절반 가까이를 버리게 된다는 걸 모두가 깨달음!

저 1~2인 가구를 대상으로 BM을 만들어 가야 할 텐데...

그래도 아직 3~4인 가구를 40% 가까이 되고!!!

기존의 핵심 고객들을 완전히 롹인~ 시킬 방법을 찾을 것이냐~

새로운 고객을 위해 바꿀 것인가. 머 고민이 많겠지요.


그 와중에 여러 비용은 올라가고 있을 것이고!

그나마 많은 할인점(거의 대부분)이 초기 투자 대비 땅값 건물값은 올랐으니까 그건 남아 있을 테고.

온라인 중심으로 가는 길목에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할인점이 

기록으로 남을 것인지, 한번 더 변신 X 파워업 할 것인지는 나름 볼만하겠다는

 - 사실 이미 기존의 할인점과는 많이 다르쥬!


여하튼 징검다리니 쉬는 분들은 쉬시고,

하루만 근무하면 또 휴일이고!!

준비하시는 분들은 잘 되시고~~


그럼 여기서 끝!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언제나 피드백, 반대의견, 욕만 뺀 지적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은 콕콕 집어서 알려주셔야 합니다. 혹 누군가는 또 이걸 믿을 수도 있으니까요.


고맙습니다. 

진짜유통연구소 박성의

 mcr@3rlaps.com 

작가의 이전글 홈쇼핑 수수료가 180%?!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