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무리 Feb 09. 2022

봄을 기다리는 나목

낙관의 희망이 필요한 시대에 만난 박수근 전시





나무 좌우에 걸린 그림들을 제쳐놓고 빨려들 듯이 곧장 나무 앞으로 다가갔다. 나무 옆을 두 여인이, 아이를 업은 한 여인은 서성대고 짐을 인 한 여인은 총총히 지나가고 있었다.


내가 지난날, 어두운 단칸방에서 본 한발 속의 고목. 그러나 지금의 나에겐 웬일인지 그게 고목이 아니라 나목이었다. 그것은 비슷하면서도 아주 달랐다. 김장철 소스리 바람에 떠는 나목, 이제 막 낙엽을 끝낸 김장철 나목이기에 봄은 아직 멀건만 그의 수심엔 봄에의 향기가 애닯도록 절실하다.


그러나 보채지 않고 늠름하게, 여러 가지들이 빈틈없이 완전한 조화를 이룬 채 서 있는 나목. 그 옆을 지나는 춥디추운 김장철 여인들. 여인들의 눈앞엔 겨울이 있고, 나목에겐 아직 멀지만 봄에의 믿음이 있다.


봄에의 믿음—나목을 저리도 의연하게 함이 바로 봄에의 믿음이리라. 나는 홀연히 옥희도 씨가 바로 저 나목이었음을 안다. 그가 불우했던 시절, 온 민족이 암담했던 시절, 그 시절을 그는 바로 저 김장철의 나목처럼 살았음을 나는 알고 있다.


박완서, '나목'





박수근, '봄을 기다리는 나목' 전시에 다녀왔다. 박완서 선생님의 소설 속 문장처럼 실물로 본 그림 '나무와 두 여인' 속 나무는 고목이 아니라 나목임이 분명했다. 빛깔이 절제된 그림 속에서도 강렬하게 느껴지는 생명력.


그림 속 사람들은 대부분 무언가를 잔뜩 지거나, 이거나, 아이를 업고 있는 고단한 모습이었지만 살아있는 삶의 향기가 났다. 왜 어느 평론가가 박수근의 작품은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시를 읊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는지 알 것 같다. 온 민족이 암담했던 시절에도 어떻게 김장철의 나목처럼 살 수 있었는지를.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전시 중인 박수근 ‘나무와 두 여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