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크리에이티브마인 Dec 24. 2018

패션 쇼핑몰 같은 옷, 다른 가격 어떻게 생각하세요?

고객들이 알게 되었을 때도 여러분 쇼핑몰의 호갱님으로 남길 바라는가?

"지금 여러분이 자주 이용하는 온라인 의류 쇼핑몰이 있다면, 이곳에서 여러분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오늘은 일부는 알고 있지만 모두가 알고 있진 않은 판매자 구매자 모두에게 조금은 불편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동대문 의류 시장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들의
같은 옷, 다른 가격이
바로 그것이다.


본론에 앞서 여러분이 편의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생수 '제주 삼다수'를 온라인을 통해 주문한다고 가정해보자. 쿠팡, 지마켓, 11번가, 네이버 쇼핑 등 여러분이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 검색창에 '제주 삼다수' 또는 '제주 삼다수 2L'와 같이 용량을 포함해서 검색하기도 할 것이다.




검색 결과

위메프 12개  9,900원

인터파크 12개 11,900원

홈앤쇼핑 12개 16,200원

....

등과 같이 동일 제품이지만 다양한 가격의 업체들이 쉽게 비교되어 검색 결과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는가? 당연히 배송료, 배송기간을 포함한 조건이 같다면 대부분 가장 저렴한 9,900원 상품을 선택 구입할 것이다.  




자 그렇다면

여러분의 의류 쇼핑은 어떨까?

돌아오는 주말 친구 결혼식에 입을 '원피스'를 구입하고자 온라인 쇼핑을 한다고 생각해보자. 특정 의류 브랜드, 특정 제품이 아닌 이상 우리는 보통 이렇게 온라인 쇼핑을 하게 된다.


쿠팡, 지마켓, 네이버 등과 같은 오픈마켓 형태의 서비스를 이용해 키워드 상품 검색하거나,  '브랜디', '지그재그'와 같이 다양한 소호몰이 모여있는 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고, 여러분들의 취향과 스타일에 따라 '임블리, 난닝구, 육육걸즈, 핫핑, 조아맘' 등과 같은 특정 온라인 소호 쇼핑몰을 이용하는 것이다.


평소 자주 이용하는 쇼핑몰 몇 곳을 둘러보다 여러분 마음에 쏙 드는 스타일의  원피스(59,000원)를 찾아서  기분 좋은 마음으로 구입했다. 그런데 며칠 지나 우연히 인터넷 서핑 중에 아래와 같은 사실을 마주하게 되었다면?

내가 59,000원에 구매한 동일한 옷이..

A 쇼핑몰 판매가 51,000원

B 쇼핑몰 판매가 56,000원

C 쇼핑몰 판매가 48,000원


C쇼핑몰은 내가 구입한 쇼핑몰 판매가 59,000원 보다 11,000원이나  것 아닌가? 순간 호갱님이 된 기분과 함께 내가 그동안 해당 쇼핑몰에서 구입한 모든 옷에 대한 가격 불신이 생기기 시작할 것이다. 해당 쇼핑몰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왜 이렇게 가격이 비싼지 따져 묻기라도 하면 대부분 마지막엔 이런 답변을 들을 수 있다. '고객님 해당 쇼핑몰의 제품은 디자인은 같지만 사용한 원단이 다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 말이 맞는 상품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처럼 같은 상품이다. 하지만 사실 확인을 위해 다른 쇼핑몰 옷을 구매해서 직접 비교해볼 수도 없는 노릇이니 어쩔 수 없다. 호갱님으로 남을지 떠날지는 소비자 여러분의 몫으로 남는다.


동일 상품이라도 상품명을  다르게 하고, 촬영 방식에 따라 달라 보이기 때문에 쉽게 비교 검색을 하기 어렵다. 이 탓에 기존 온라인 쇼핑몰은 10년여간 같은 상품을 너무 다른 가격에도 잘 판매 해왔다.



하지만 이젠 약간의 시간을 들여
10분만 검색해봐도
여러분의 돈은
크게 절약할 수 있을 만큼
검색이 좋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약과일 뿐...

매출이 많은 쇼핑몰은 위와 같은 문제를 아예 없애버리기 위해 이런 방법을 취하기도 한다.

매출이 많은 인기 쇼핑몰은 자신들의 판매 파워를 앞세워 본인들의 쇼핑몰에서만 단독 판매할 수 있도록 도매업체에 제품의 단독 입고 판매를 요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납품가 1만짜리 옷을 40,000원에 팔아도 소비자 입장에선 비교하고 살 수 있는 선택권이 박탈당하게 되므로 해당 제품이 막연히 가격만큼 괜찮은 품질일 것이라 생각하고 그냥 쇼핑몰에서 살 수밖에 없다.


단독 납품을 하는 도매 업체는 판매 저조에 따른 재고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납품가를 올리거나 생산 원가 절감을 위해 원단 품질을 떨어 뜨릴 수밖에 없게 된다. 단독 입고에 대한 내용은 '소비자가 알아야 할, 의류 쇼핑몰 '단독 입고(판매)' 글을 참고해 보자.


혹시 시간이 된다면 여러분이 자주 이용하는 쇼핑몰에 '단독 입고', '단독 판매' 아이콘이 유독 많이 있는지도 한번 살펴보자. 내용은 달라도 대부분의 쇼핑몰에선 이런저런 이유를 만들어 마치 소비자를 위해 '단독 입고 판매'를 한다고 이야기 하지만 결국은 이익을 최대한 남기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결국 피해는 해당 쇼핑몰을 좋아하고 자주 이용하는 단골 소비자다.




비싸게 파는 것도 능력?

판매자 입장에선 판매 채널, 판매 방식, 고객 서비스에 따라 판매가가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라 이야기한다. 그리고 같은 상품을 더 비싸게 파는 것도 능력이라면 능력이니 법적으로 문제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본인들의 이익을 보존하기 위해 충성 고객을 호갱님으로 삼는 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오픈마켓 판매 중심의 의류 쇼핑몰은 당연히 10~15%의 입점 수수료가 발생하니 판매가를 그만큼 올려서 판매할 것이고, 백화점 매장을 갖고 있는 의류 쇼핑몰 업체라면 20~30%의 백화점 수수료와 매장 인테리어 비용 회수를 위해 그 이상으로 판매가를 올려 파는 것이다. 참 쉽지 않나?


또 이과정에서 이익을 더 남기기 위해 아예 동대문 시장에서 백화점 판매 전용으로 상품을 구입해 라벨(상표) 갈이를 해서 옷을 판매하는 업체도 비일비재하다. 법적인 문제를 떠나 소비자가 알아야 할 것은 이 과정에서 가격만 올라가지 품질은 좋아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구매하는 착한 소비자들 때문일까?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매출 수백억 원대 기업체로 성장한 주요 온라인 쇼핑몰은 동일한 방식으로 옷을 촬영하고, 판매가를 결정하고, 적게는 5%에서 많게는 10% 내외의 영업 이익을 만들어 왔다. 참고로 패션, 제조, 유통 관련 사업에 있어서 재고부담을 크게 갖지 않으면서 5~10%의 영업이익을 올리는 것은 결코 적은 이익이 아니란 점을 알아야 한다.



모두가 알듯 중간 유통(쇼핑몰)에서 이익을 많이 취할수록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납품 업체는 시장에 형성된 판매가(판매자들이 만들어 놓은 마진 배수) 고려하여 제품 원가를 떨구기 위해 품질이 한 단계 낮은 원단을 선택하게 되고, 소비자는 가격 대비 현저히 낮은 품질의 옷을 구입하게 되는 좋지 못한 상황이 만들어지게 된다.


지금 인터넷 검색창에 "실검 마케팅"을 검색해보자

요즘 심심치 않게 패션 의류 쇼핑몰 업체들이 네이버 실검 마케팅으로 많은 매출을 일으키면서 논란과 이슈가 되고 있는데, 이럴 때마다 등장하는 것이 가격 대비 저품질에 대한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하지만 업체들의 SNS를 보면 단순히 경쟁 업체에서 비방을 목적으로 이슈를 만든다고 우리는 억울하다는 식의 프레임을 씌워 버리는데...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다. 엄연한 사실이고 괜히 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 온라인 의류 쇼핑몰 옷 값을 보면 유니클로,  스파오, 베이직하우스, 폴햄 등.. 대기업 SPA 브랜드보다 저렴한가? 품질이 더 우수한가? 아니면 배송이 더 빠른가?


리적인 가격, 소비자 중심, 고객 지향 서비스를 외치면서 정작 뒤에선 동일한 상품을 고객에게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더 비싸게 팔 수 있을까만 고민하고 있다면, 이를 고객들이 알게 되었을 때도 여러분의 쇼핑몰에 계속 남아 있게 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