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좐느 Aug 28. 2018

김영하_살인자의 기억법

0828

뒤늦게 알쓸신잡을 보고 관심이 생겨서 김영하 작가의 책을 다 읽어봐야겠다! 마음먹고 빌린 [살인자의 기억법] 이미 영화로 본 소설이었다. 두껍고 빽빽할 거라 예상했던 것과 다르게 책이 얇고 여백이 많아서 놀랐다. 그리고 간결한 문장들로 되어있어 금방 읽을 수 있다. 물론 이미 내용을 대충 알고 있는 것도 있고, 김영하 작가 팟캐스트로 책 앞부분의 일부를 들어서 더 쉽게 읽혔을지 모르겠다.

최근 네이버 오디오 클립에서 김영하 작가가 책의 전문을 읽어준 음성파일을 팔고 있나 보다. 며칠 동안 네이버 메인 바 광고를 엄청 했다.

그거 들으면 정말 잠이 잘 오겠다.는 생각을 했다. 팟캐스트로 들었을 때 좋았는데(귀르가즘!) 책의 전체를 읽어준 건 아니어서 좀 아쉬웠다. 


사실 영화를 먼저 보고(감독판) 책을 읽었을 때 당황했다. 내가 알고 있던 이야기가 아닌데 이렇게 끝나는 건가 전부 엉클어진 가짜 기억이었단 말이야? 보는 순서가 중요하다. 책이 먼저고 그다음 영화를 봤어야 했다. 소설을 영화화해서 최악의 영화를 만드는 경우가 있고(7년의 밤처럼) 소설보다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 소설이 그런 것 같다.


소설을 읽은 독자라면 혼란스럽기도 하겠지만 김병수가 박주태를 잡아서 죽이던 못 죽이던 둘이 싸우는 장면을 기대했을 게 뻔하지 않은가. 이야기 내내 그를 내가 죽여야 한다. 내 딸 은희를 죽이기 전에. 계속 잊지 않도록 주입하는데 그 모든 게 환상이었다니 책을 다 읽고 당혹스러웠다. 안돼 이게 끝이야? 그럴 리 없어!


작가는 그러한 장면을 보여주는 곳에 시간을 쓰지 않았다. 그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그게 아니었던 것 같다. 기억에 대한 이야기,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았다. 비범한 살인자는 하나의 소재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었달까. 


나는 소설을 많이 읽고 살아온 건 아니다. 영화를 좋아했고, 시청각이 함께하는 영상이 더 매력적이라 생각했다.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냐고 생각했다. 그런데 요즘은 책을 읽고 상상하는게 다른사람의 상상으로 만들어낸 이미지와은 다른 무언가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좀 더 주체적이랄까? 책은 작가가 썼지만 읽고 어떻게 느끼느냐는 내 마음대로인. 

책을 읽는 내내 영화속 설경구의 얼굴이 떠올랐고, 그 이상으로 상상하기 힘들었다. 책을 읽으면서도 영화속 이야기와 섞여서 혼란스러운 기분이 들기도 했다. 책부터 읽을걸. 그랬어야 했다.


감독은 이 책을 읽고 뒷부분 내용과 결말, 중간중간 여러 요소들을 감독 입맛에 바꿔 요리했다. 좀 더 먹음직스럽게 화려한 접시에 올리고 자극적인 짠단짠단한 맛으로 말이다. 설현의 몸매 부각샷도 놓치지 않고 말이다.


 결론적으로 둘다 매력있었다. 김영하 작가의 다른 소설도 읽어봐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출판사 에디터가 알려주는 책쓰기 기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