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국제영화제 〈우리는 천국에 갈 순 없지만 사랑은 할 수 있겠지〉
1999년. 18살의 주영은 한 여고의 태권도부 소속이다. 여러 대회에서 메달을 딸 정도로 제법 재능이 있는 학생인 주영. 그러나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대회를 앞두고 준비해야 할 것이 태산인데 코치의 차별과 승부조작, 폭력적인 문화 등을 함께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주영은 자신의 의지와 노력만으로 미래를 결정할 수 없다는 걸 깨닫고 태권도를 그만둔다. 이제 ‘국가대표 태권도 선수 김주영’이라는 미래는 없다. 그러나 태권도가 주영에게 남긴 게 있다. 주영의 엄마는 상심한 주영에게 왜 네게 태권도를 가르쳤는지를 차근히 설명한다. 방어운동인 태권도를 잘 배우면 스스로를 구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그 이유였다. 그리고 엄마의 기대는 현실이 된다. 비록 태권도를 통해서는 아니지만 말이다.
소년원 출신 청소년들을 돌보는 일을 하는 주영의 엄마는 어느 날 예지를 집으로 데려온다. ‘가정 프로젝트’, 즉 소년원 수감 청소년들을 집에서 돌보는 일의 일환이다. 이미 안면을 튼 적이 있는 주영과 예지는 금세 가까워진다. 그리고 이내 서로를 향한 애정이 우정 이상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그러나 둘이 발 디딘 현실의 토대 사이에는 꽤나 큰 격차가 존재한다. 주영과 예지가 모두 여자라는 점도 문제다. 둘이 사랑을 이어가려면 주영이 태권도를 하며 배운 능력, 즉 스스로를 구하는 능력을 예지에게까지 확장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주영의 친구 주희도 있다. 주영과 절친한 주희는 태권도부 에이스로 국가대표 선발전 통과가 유력한 상태다. 그러나 가족의 압박과 코치와의 문제로 남모르게 고통받으며 속을 썩인다. 주희는 자신의 문제를 홀로 감당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 누구에게도 도움을 요청하지 않지만, 주영은 이번에도 스스로를 구하는 능력을 친구에게로 확장해 주희의 문제를 함께 짊어지고자 한다.
주영, 예지, 주희 그리고 김현목 배우가 연기한 남성 캐릭터까지. 네 명의 친구/연인이 만들어내는 영화 전반부의 질감은 굉장히 서정적이고 아름답다. 세기가 바뀌기 전 종말론이 유행했던 1999년, 세상의 규칙과 금기가 자신들을 짓누르는 세상에서 살아감에도 이들이 밝은 얼굴로 숨 쉴 공간을 만들어내는 과정은 웰메이드 청춘물에서만 가능한 기분 좋은 설렘을 전한다.
그러나 주영, 예지, 주희의 갈등과 위기가 고조되는 후반부가 다소 작위적이라는 점은 아쉽다. 영화 전반부가 청춘물과 배우들의 강점을 편안하게 펼쳐낸다면, 후반부는 빡빡한 전개 속에 이들을 몰아넣음으로써 전반부의 장점을 깎아 먹는다. 이들이 시련을 극복하는 과정을 극화하기 위한 선택이었겠지만 숨 가쁘게 몰아치는 사건사고는 오히려 영화가 전반부에서 쌓아온 에너지를 소진시키기만 한다. 물론, 이게 주영, 예지, 주희가 ‘천국에 갈 수 없는’ 이유일 수는 없다. 자신이 배운 것으로 사랑과 우정 모두를 지켜내는 주영은 이미 현실에서 천국을 살아내고 있다.
★영화 전문 웹진 〈씨네랩〉 초청으로 제24회전주국제영화제에 기자로 참석해 작성한 글입니다.
★이 영화의 상영시간은 제 24회 전주국제영화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