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대신돌이 Jul 26. 2020

비혼 아줌마로 살아가기

   #1. 혼자 살아가는 중입니다

몇 해 전 일이다. 야구 모자 쓰고 백 팩 메고 길을 가고 있는데 지나가던 아저씨가 길을 물었다.

“학생 주민 센터 가려면 어디로 가야 하지?”

‘오잉, 학생?’

순간 내 귀를 의심했다. 나에게 한 말이 맞나 싶어 아저씨를 빤히 쳐다봤다. 아저씨 표정을 보니 내게 한 말이 틀림없었다. 너무 기뻐서 입이 귀까지 찢어졌다. 나는 최대한 상냥한 목소리로 내비게이션급 길 안내를 해드렸다.

“전방 50미터 편의점 앞에서 우회전입니다… 30미터 부동산 앞에서 좌회전입니다.”

“고마워요, 학생.”

아저씨는 끝까지 나를 학생이라 불러주었다. 맘 같아선 주민 센터까지 직접 모셔다 드리고 싶었다. 

‘아무쪼록 복 많이 받으세요.’

나는 멀어지는 아저씨 등에 대고 그렇게 중얼거렸다.      


그 후 “학생!”으로 불리는 일은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았다. 학생은커녕 너도 나도 아줌마라 부른다. 심지어 중학생 조카도 아줌마라고 놀린다.  

사실 30대까지만 해도 누가 “아줌마”라고 부르면 기분 나빠서 “아줌마 아닌 데요!” 하며 발끈하기 일쑤였다. 결혼도 안 했는데 아줌마로 불리는 게 좀 억울했다. 하지만 40대에 들면서는 그러거나 말거나 신경 쓰지 않는다. 뒤에서 누가 “아줌마!” 하고 소리치면 “네?”하며 돌아볼 정도다.  

      

문제는 사람들이 비혼 아줌마와 기혼 아줌마를 구분하지 않는다는 거다.  대부분 이 나이면 결혼했거니, 하고 질문을 던진다. “애는 몇 살이에요?” “남편은 뭐 해요?” 등등. 그래서 “결혼 안 했는데요.”라고 하면 다들 토끼 눈을 하고 “아니, 왜요?”라고 되묻는다. 그러게요. 왜 여태 결혼도 못(안) 했을까요?     


도서관 서평 수업에 다닐 때다. 강사와 수강생 모두 주부여서 그런지 무슨 책을 읽든 모든 대화가 육아와 결혼생활로 이어졌다. 처음엔 결혼 안 했다고 말할까, 고민하다가 그냥 조카가 내 애인 양 대화에 참여했다. 계속 만날 사람들이라면 모를까, 한 달에 4번 만나고 헤어질 사람들에게 구구절절 말하기 귀찮았다. 


아는 동생이 오랜만에 전화를 해서는 자기 사촌 언니가 50대인데 얼마 전에 결혼했다며 나보고 진짜 결혼 안 할 거냐고 닦달을 했다. 그래서 내가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내 신랑보다 새아버지 얻는 게 더 빠를 거라고 했다.      


지금 내게 중요한 건 결혼이 아니라 취업이다. 그래서 요즘 자격증 공부 중이다. 하지만 합격 여부를 떠나 걱정부터 앞선다. 오만가지 자격증이 있어도 취직 못하는 청년들이 수두룩한데 경쟁력 없는 비혼 아줌마가 자격증 하나로 취업에 성공할 수 있을까, 싶다. 지금보다 딱 10년만 젊으면 좋으련만. 그럼 이것저것 도전해 볼 텐데……. 하긴,  30대에도 20대로 돌아갔으면 하고 바랐던 것 같다. 어쩌면 50대가 돼서도 “나, 40대로 돌아갈래!”를 외칠지도 모른다. 낼모레 팔십 인 울 엄마도 “10년만 젊었어도”란 말을 입버릇처럼 내뱉는다. 다시 60대로 돌아간다면 운전면허를 땄을 거라나. 인간은 이렇게 후회 속에 늙어가는 걸까? 


‘남은 날 중에 오늘이 가장 젊다’란 말이 있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얼마나 남았을지 모르겠지만 이제부터라도 열심히 살아보련다. 

전국의 모든 비혼 아줌마들 “빠이팅!”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잡동사니와 잡동사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