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임스 Apr 10. 2016

너와 나의 연결 고리

1월 14일, 2013년의 생각을 고쳐 쓰다.

서울로 돌아왔다. 내가 항상 있던 곳으로.

소속감이랄까, 안정감이랄까, 이 근사한 감정은 언제나 여행의 끝과 함께 돌아온다.


이번엔 정말로 길 위에서 만난 모든 인연과 친구들에 감사해야 한다.

진짜.


지난 몇 달간의 여행으로 나는 비로소-

산다는 것이 단지 '나'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연결'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연결'이야말로 생의 어느 순간에 이르러 나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되었다.

이 연결조차 '나'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그저 '연결'되어 '연결'됨을 의미한다.

우리 생명은, 그것을 믿든 믿지 않든, '모든' 것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두를 사랑할 근원적 이유를 찾은 느낌이랄까.


지금부터는 좀 더 적극적으로 사랑하고 애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살아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바로 지금, 오늘부터.


벌써부터 친구들이 그립다.



좀 더 단순하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1. 우주는 팽창한다.(현시점)

2. 우주는 한 점에서 시작했다.(빅뱅 이론/표준 우주론)

3. 점점 자라고 있는 우주의, 그리고 모든 것의 간극은, 거꾸로 시간을 돌리면 다시 한 점으로 수렴한다.

4. 너와 나도 결국 한 점 혹은 덩어리에서 시작되었다는 것-



(살을 덧붙여)

그래도 그 하나의 거대한 우주에서 시작된 모든 게, 우리의 인연으로 귀결된 것은,

무한대에 가까운 우연의 연속과 인과라고 할지라도-


분명 더 뜨겁게 생각하고 살펴볼 가치가 있는 문제라고 생각이 된다.


'이건 우리 안의 소리'일지도 모르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느리게 산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