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a Francia Sep 01. 2022

초고층에서 초저층으로 이사 왔다

식탁 의자에 앉은 채로 창밖을 쳐다보면 바로 내 눈높이 나무들이 보인다. 창문을 열어 놓으면 우리 집 앞을 걸어가는 사람들의 말소리가 꽤 또렷하게 들린다. 그것들이 주는 묘한 안정감이 있다. 혹여여기서 떨어져도 죽지 않겠구나.


전 집은 고층에서 멀리 내려다보는 뷰가 장관이었다. 하지만 창밖으로 고개를 내밀고 땅을 쳐다볼 때면 아찔하기도 했다. 생과 사의 경계는 다름 아닌 이 베란다 난간이로구나. 위태롭기도 하지. 그런 맥락에서 지금은, 언제든지 나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요인이 한 가지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사실 안도하다가, 또 의아하다.


왜 그런 생각을 했냐 하면, 최근에 이어령 선생님의 책을 다시 읽어서이다. 죽음은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 정중앙에 존재한다고 했던가. 메멘토 모리. 그 책은 찬란한 순간에 머물수록 동시에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보라 했다.


죽음을 생각하면 현실에 매달리거나 발목 잡히지 않을 수 있다. 죽음을 떠올리면,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선택하기가 조금 쉬워진다. 미적분에서 사칙연산 정도로 문제가 심플해진다. 죽음을 항상 곁에 두라는 말이 차츰 이해가 되는 걸 보니, 나이를 제대로 먹고 있나 보다.


죽음 자신의 일이 아닌 듯 여기는 존재들과 하루 중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낸다. 10대 후반의 아이들에게 서른, 마흔, 그 이후는 까마득하다. 그들은 삶이 지루할 만큼 긴 시간이라고 여기는 것 같다. 10대 누군들 그러지 않았겠는가. 나이가 들어야만 알 수 있는 것들이 뚜렷해지는 걸 보니, 나는 제대로 늙고 있나 보다.


되돌아보면 나는 어릴 때부터 애늙은이 소리를 듣고 자랐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심야 라디오 프로그램의 애청자였다. 또래 중엔 흔치 않은 pc통신 유였고, 그 파란 화면 속 세계에서 라디오 DJ에게 사연을 쓰거나, 라디오 동호회 사람들과 채팅을 했다. 심지어 오프라인 모임에도 참석했는데, 그곳에 모인 사람들의 대다수는 대학생 언니들이었다. 친절하고 상냥했던 그 언니들은 막내가 왔다며 몹시 다정히 대해 주었다. 그런 식으로 나는 늘 또래들보다 연상의 사람들과 어울렸다. 그러고 보니 지금 학교에서 친한 선생님들의 모임에서도 나는 막내이다. 인생을 아주 일관되게 살고 있는 듯하다.


죽음을 생각하면 내 앞의 학생들이, 내 어린 시절이 절절히 소중하다. 어린 시절은 그저 철없고, 르는 것 투성이인데, 너무 슬프고, 신나고, 아프고, 즐겁고, 흥분되고, 좌절스럽고, 화나고, 애틋하고, 막하고, 극적이다. 어릴 때는 어른이 되면 삶이 반짝거릴 줄 알았는데, 정작 별똥별처럼 빛나는 건 어린 시절이다.  학생들이, 내 아이들이 그걸 알면 좋겠다. 그리고 더 자주 행복하다고 느꼈으면 좋겠다.


초등학교 때 친구들과 가끔 연락한다. 그들이 있어서 참으로 다행이다. 우리들의 어린 시절이 실존했음 상호 증명한다. 그 시절 일기를 더 써놓을 걸 그랬다. 사진을 더 찍어놓을 걸 그랬다. 찬란했던 시절을 떠올리며, 동시에 죽음을 떠올린다. 내 옆에 잠든 아이의 매끄러운 발바닥을 매만지는 지금 이 순간, 나는 나름대로 잘 살고 있는 것 같다고 스스로를 위로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대로 삶이 끝나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