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110 Comedy Movies Of All Time
'코미디(Comedy)'라는 개념은 어디서 왔을까? 16-18세기 이탈리아에서 발달했던 상황극(후에 유랑극단) 형태의 ‘코메디아 델라르테 (Commedia Dell'arte)’에서 유래한다. 이 희극은 가벼운 노래와 춤, 우스꽝스러운 의상, 배우의 순발력 등에 의존했다. 코메디아 델라르테 (Commedia Dell'arte)’은 연극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으로 ‘시나리오’라는 단어 자체가 코메디아 델 아르떼에서 사용한 행동 지시문인 scenery에서 유래한 것이며, 몸개그를 일컫는 ‘슬랩스틱’ 단어 역시 등장인물 중 한 명인 알레키노가 들고 다니던 방망이에서 유래한 말이다.
코미디는 민중을 대변하는 극형태다. 대중은 코미디를 결코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코미디는 다른 진지한 장르보다 사회 비판적 주제나 민감한 정치적 이슈를 보다 편하게 공론화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성행하던 ‘탈춤’이 주로 양반들이나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하는 성격에서 출발한 것과 같다. 코미디는 유머와 익살에 기반 한 엉뚱한 이야기를 통해 현 사회적 모순의 전복을 시도한다. 현실 가능성이 없지만 이 코미디가 민중의 애환을 어루만지며 계급 간의 갈등을 크게 줄인다. 이런 사회통합을 꾀하기 위해 기득권층은 ‘코미디’라는 이름을 빌린 비판, 풍자와 해학을 일부 허용한다. 따라서 코미디는 한 사회의 집단 무의식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고로, 코미디의 본질은 민중의 불편한 속내를 긁어주는 것이라 결론 내릴 수 있다.
‘펑키 호러’라는 신종 장르를 표방한 〈시실리 2km〉는 기본적으로 〈전설의 고향〉의 틀을 갖추고 있다. 인간 탐욕에 대한 문제의식에 처녀귀신의 등장, 권선징악적 결말까지 우리에게 익숙한 〈전설의 고향〉을 현대화했다고 해도 좋을 정도이다. 여기에 다시 유행하던 조폭 코미디를 혼합되어 있다.
조폭은 잔혹한 동시에 다정하고, 귀신은 무섭다기보다 오히려 어눌하다. 장르의 무절제한 횡단을 감행한다. 호러·스릴러·액션·코미디·멜로·드라마·판타지를 경쾌하게 뒤섞으며, 기존의 스테레오 타입들을 슬며시 뒤집는다. 그렇게 K-코미디 장르의 속성인 감정과잉으로부터 벗어난다.
〈핸썸가이즈〉의 원작, 〈스크림, 1996〉 이후 호러 영화 스스로를 패러디하는 유행이 불었다. 아마 〈케빈 인 더 우즈, 2012〉에게 왕위 계승권이 돌아가겠지만, 이 영화도 승계구도에 끼어들 자격이 충분하다.
레시피는 간단하다. 하이틴 코미디, 슬래셔 호러, 케빈 인 더 우즈 장르를 가져와서 편견과 오해, 소통의 부재를 양념처럼 뿌린다. 잔혹한 유혈사태가 벌어질 때마다 관측 코미디답게 대학생들의 어리석음을 낄낄대며 지켜보면 된다. 살인마를 뒤집은 놀라운 발상의 전환, 문자 그대로 장르를 갖고 노는 놀이, 얼어붙은 남녀의 마음을 따뜻하게 데울 수 있는 호의적인 유머들이 가득하다.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아카데미 여우주연·분장·미술·의상상
우리를 통제하는 억압하는 방어기제들을 전복하는 재미가 《가여운 것들》에 가득하다. 30대 성인의 몸에 아의 뇌를 이식하여 되살린다는 설정은 ‘벨라 백스터(엠마 스톤)’를 ‘타불라 라사(Tabula rasa, 빈 서판)’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백지 상태에서 사회회를 거친 주인공은 예의와 도덕이 과연 합당한지 되묻는다.
개구쟁이 소년이 하룻밤 사이에 어른이 되어버린 후 겪는 좌충우돌을 그려냈다. 페니 마샬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1억 달러 수입을 돌파한 최초의 여성 감독이 되었다.
이 작은 날갯짓은 점점 커져갔다. 〈17 어게인 (2009)〉, 〈샤잠 (2019)〉, 한드〈빅 (2012)〉, 한드〈18어게인 (2020)〉 등의 수원지(水源池)로 영감을 공급했다.
여러분은 〈스타워즈〉, 〈에일리언〉, 〈스타트렉〉, 〈혹성탈출〉을 시청하지 않았지만, 제목 정도는 분명히 들어봤을 것이다. 패러디 코미디의 거장, 멜 브룩스는 당대 SF영화들에 관한 농담을 건넨다. 정치적 올바름으로 이런 부조리한 말장난과 장르 희화화가 점점 보기 힘들어짐에 따라 이 영화가 갖고 있는 가치가 상승할 것 같다.
다수의 한국 코미디들이 휴머니즘을 내세우는데 개인적으로 〈라디오스타〉을 교본으로 삼으면 좋을 것 같다. 이준익 특유의 낙천성이 이 영화를 헐렁하고 느긋하고 편하게 이끈다. 그렇게 비호감스러운 주인공이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관객의 마음으로 들어온다. 88년도 가수왕, 라디오, 영월, 종업원, 배달원, LP 등 아날로그 감성과 변두리 정서가 익살과 연민을 자아낸다.
그리고 사투리 코미디에 관해서 〈황산벌〉 이상은 없다. 전반부는 언어적 상상력을 재치 있게 발휘된 반면, 후반부는 ‘전쟁이란 결국 정치의 연장선’이라는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명언을 활용해 반전 메지를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