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ok Jun 21. 2023

차크라 이야기

차크라, 너 좀 궁금하다.


어릴 적 즐겨보던 애니메이션을 꼽으라면 드래곤볼과 나루토라고 말할 수 있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나루토와 사스케가 차크라를 쓰기 위해 연습할 때 나도 손바닥에 기를 모아보려고 애써봤던 기억이 있다. 나는 우리 몸 안에 흐르는 에너지를 진심으로 믿었던 것 같다. 요가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는  용어가 있는데 바로 차크라라고 하는 에너지 센터이다. 


고대에서부터 내려오는 차크라를 점점 더 깊게 알면 알수록, 역시 나루토와 드래곤볼도 다 있는 이야기였어-!라고 다시 한번 생각하면서(ㅎ) 차크라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 보았다.  



차크라


차크라는 다양한 말로 표현된다. 기, 에너지, 경락지점 등.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교차하는 그 지점의 중심들을 차크라의 지점과 같은 것을 보면 동양학 또한 워딩만 다를 뿐 같은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의학에 거부감이 없는 우리는 아마 차크라도 단어가 낯설어 그렇지 그것을 기 흐름 또는 에너지라고 대체하면 익숙한 개념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될 것이다. 


차크라는 산스크리트어(인도어)로 수레바퀴라는 뜻을 가진다.  프라나(에너지)가 몸속에 흐르고, 프라나(에너지)가 흐르는 길을 나디(신경)라고 하는데 나 수많은 나디가 교차하는 그 지점이 바로 차크라이다. 수많은 차크라 중, 대표적인 차크라는 7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7가지 차크라 출처 : br.freepik.com






차크라가 가지는 의미


차크라는 각 지점마다 의미하는 바가 다르다. 우선 차크라를 색깔로 표현하자면 아래부터 위로 빨주노초파남보로 무지개 색을 이룬다. 하위차크라는 주로 물질적인 것 그리고 현실세계와 관련이 많고 상위차크라로 올라갈수록 정신적인 것과 가까워진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각 차크라가 공명하는 에너지 주파수도 다르고 의미도 다르다. 해당 차크라가 막혀 있을 때 혹은 많이 오픈되었을 때, 균형 잡혀있을 때 나타나는 의식이나 감정 또한 의미하는 바가 다르다. 


01. 물라다라 차크라 - 빨간색 - 생존을 위한 투쟁 
02. 스와디스타나 차크라 - 주황색 - 감각적 쾌락
03. 마니푸라 차크라 - 노란색 -  지배력, 우월함, 정복, 경쟁, 열등감
04. 아나하타 차크라 - 초록색 - 연민, 관대함, 이기심 없는 사랑, 봉사
05. 비슛디 차크라 - 파란색 - 헌신, 무조건적 사랑, 내맡김, 믿음, 창조성
06. 아즈나 차크라 - 남색 - 통찰, 주시
07. 사하스라라 차크라 - 보라색 - 단일 의식






차크라의 두 가지 관점


아래에서 위로 ↑ 진화(초월) ㅣ 탄트라 사상 

인간이 유한하고 분리된 존재라는 망상에서 벗어나는 것이 의식진화의 종착역이다. 


차크라는 의식의 상승이나 진화에 관해서도 많이 연구되어 있는데 진화과정으로서의 차크라체계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상징적으로 보자면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즉 몸의 아래에서 위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상위 차크라로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마음의 특성을 갖게 된다. 


하위 차크라의 마음 작용을 보면 맹신, 의심, 경멸, 허위 지식, 수치심, 배신, 질투, 욕망, 나태, 슬픔, 혐오, 공포 등 모두 부정적이다. 이에 반해 상위 차크라는 자비, 상냥함, 인내 혹은 평정심, 공정함, 지조, (영적) 번영, 환희, 관용 등 모두 긍정적인 특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화관점으로 봤을 때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며 각 차크라의 속성들이 사라지게 되고, 수행자는 몸을 초월하게 된다고 한다. (의식 진화)


쿤달리니가 하나의 차크라에 도착하면, 그 차크라는 강하게 진동하면서 그 차크라의 기능을 완전히 발휘한다. 그러나 쿤달리니가 다음 차크라로 이동하면, 그 이전의 차크라는 진공처럼 된다. 왜냐하면 쿤달리니가 도착한 차크라는 차크라가 갖는 모든 요소들을 완전히 정화하고 흡수하여 다음 차크라로 떠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위로 ↑ 그리고 다시 하강 ↓ ㅣ 쿤달리니요가의 목표

 참자아를 자각하고 세계의 단일성을 이해하고, 현실로 가지고 와서 삶을 지헤롭게 살기 위해 사용하는 것


우리의 세계는 이원성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크라를 깨워내고 의식 상승을 하며 초월을 하게 되면(주관과 객관, 주체와 대상의 구별이 어려운 상태가 되면 ) 사실상 현실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차크라는 상승한 후 다시 물라반다로 돌아온다. 


의식 상승과 함께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세계의 이원성, 즉 여성과 남성, 몸과 정신, 사랑과 미움 등이 대극적인 관계는 더 이상 절대적인 진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우리는 인간은 이원성의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게 되고, 삶을 지혜롭게 통제하게 된다. 


우리는 결국 현실을 살아가기 위해서 의식을 깨우고, 깨운 의식을 유지하며 초연하게 현실을 바라봐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진정한 차크라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요가와 차크라


그렇다면 여기서 궁금한 점! 

요가와 차크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요가와 차크라의 관계를 말하기 전에 세 가지 사실을 알고 가자면. 


01. 요가의 목표는 "지멸"이다. 끊임없이 떠오르고 사라지는 마음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고 사라지도록 하는 것. 


요가란 마음 작용의 지멸을 위한 것이다.


02. "요가적 관점에서 인간의 고통은 대부분 영적인 피폐에서 오며, 영적 피폐는 인간이 내면의 초월적 존재를 자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겨난다." 현대 요가 심리학자, 아자야가 말했다.



03. 요가철학에서는 상반된 개념으로 이루어진 양극성이, 사실은 보완적이며 서로를 지지하고 있다고 이야기해왔다. 





각각의 차크라는 특정한 심리적 수준이나 의식 수준을 나타내고, 각각의 차크라는 일정한 의식구조를 갖고 있어서 인간이 어떤 차크라에 머물러 있느냐에 따라 그의 의식 수준이 결정되게 된다. 또 차크라가 보여주는 의식 수준은 양극성의 대립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하위 차크라일수록 양극성의 대립이 더 절대적이고 극단적이게 되는데 예를 들면 1번 차크라인 물라다라 차크라는 생존을 위한 투쟁이라는 의식구조로 되어있으며 삶 vs 죽음이라는 양극성이 존재한다. 2번 차크라인 스와디스타나 차크라는 감각적 쾌락이라는 의식구조와 함께 쾌락 vs 고통이라는 양극성이 존재한다. 


우리 현실 세계는 상반되고 대립되는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다. 빛과 그림자, 뜨거움과 차가움, 여성과 남성, 사랑과 미움, 행복과 불행 등이 그렇다. 하지만 사실은 하나의 두 측면이다. 빛이 있어야 그림자가 존재하고, 뜨거움이 있어야 차가움이 존재하는 것처럼 사실을 전체가 하나이게 된다. 두 개념이 서로에게서 자신의 의미를 얻고 또 서로 보완함으로써 완전함을 얻는다. 



아자야가 말한 양극성의 개념과 차크라를 정리했다. 

물라다라 차크라의 양극성은 세상과 자신의 관계를 공격자와 피공격자, 사냥꾼과 먹잇감, 악마와 신, 또는 가해자와 피해자로 경험하게 만드는데, 이 양극성이 통합되면 인간은 견고함과 현실성을 갖게 된다. 
 스와디스타나의 양극성은 남성과 여성사이에 존재한다. 이것이 통합되면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 가진 의미를 더 깊은 차원에서 이해하게 된다. 이를테면 인간의 내면에는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 모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은 신체적인 게 아니고 우리 내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심리적인 양극성이기 때문에 어느 한 성의 역할에 자신을 국한시키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마니푸라 차크라는 지배와 복종, 능동성과 수동성이라는 양극성을 가지며 이것이 해결된 사람은 잔인한 호전성이나 병약한 순종선의 양극성에서 벗어나 힘 있고 활기 있는 성격을 갖게 된다. 
아나하타 차크라의 양극성은 신체의 위와 아래, 양과 음 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이 차크라의 통합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감성, 공감의 특성, 그리고 동정심과 사심 없는 사랑을 느끼는 능력을 준다.
비슛디 차크라의 양극성은 양육자와 양육받는 자를 상징한다. 이를 통합한 사람은 자신을 외면하고 타인을 양육하기 위해 애쓰거나 자신을 양육시켜 줄 사람을 갈구하는 의존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자기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성장시키는 능력을 갖게 된다. 
아즈나 차크라의 양극성은 이다와 핑갈라, 또는 성격의 우측과 좌측을 의미하며, 통합되면 수슘나의 활성화와 제3의 눈을 뜨는 것, 즉 직관에 다가가서 내면의 눈으로 세상을 명확히 볼 수 있는 능력이 가능해진다. 
사하스라라 차크라에서 경험되는 양극성의 소멸은 나와 타인 사이의 구별이 더 이상 의미 없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의식 성장의 최종 단계로 '우주적 의식'을 갖는 것으로 귀결된다.






번외) 차크라 학과로 가야 할까요


차크라에 대해서 찾아볼수록 그 깊이가 상당하다. 차크라 학과를 갈게 아니라면.. 해당 위치나 의미하는 감정, 뜻 정도만 알아도 무방하지만 알면 알 수록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 다양한 자료를 찾고 읽는 것이 그저 즐거울 뿐이다. 심리학과 철학과 연결되어 학문적으로도 꽤 연구가 활발했다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이번에 <심리학자는 왜 차크라를 공부할까>를 읽고 좀 더 차크라와 요가철학에 대해 깊이 알게 된 계기가 되어 좋았던 것 같다. 요가철학과 심리학 그리고 차크라에 대해 깊이 공부하고 싶다면 읽어보는 것도 아주 좋은 시간이 될 것 같다고 추천하며 꽤 긴 글을 마무리해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 안의 무한한 가능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