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박동수 Mar 06. 2017

영화 전체보다 먹먹한 마지막 자막

위안부 할머니 이야기를 다룬 또 한 편의 영화 <눈길>

 30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던 <귀향>에 이어 위안부를다룬 또 한 편의 극영화가 극장을 찾았다. KBS를 통해 2부작으로 방영됐던 단막극을 극장 버전으로 재편집해 개봉한 이나정 감독의 <눈길>이 그 주인공이다. 김새론, 김향기 두 배우가 주연을 맡았다. 일본군의 만행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악마적 만행을 영화적 스펙터클로 소비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던 <귀향>과는 다른 노선을 택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귀향>에 비해 두드러지는 장점이 없다는 점에서 아쉽다.

 영화의 전개 방식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두 영화는 닮아있다. 현재 시점의 주인공이 상처를 품은 소녀를 만나 자신의 과거와 다시 마주한다는 설정. 이러한 설정은 1940년대의 과거와 2010년대의 현재를 교차편집으로 오가며 영화가 진행되도록 만든다. 두 편의 영화를 보면서 이런 설정은 오히려 영화의 몰입을 방해하고, 또 다른 사람의 상처를 기반으로 과거의 상처를 소환한다는 점에서 비윤리적인 선택이라고 생각된다. 가장 나이브한 방식의 각본이자 소재를 일차원적으로만 생각하는 모습이 <눈길>에서도 두드러진다. 


 다만 <귀향>에서 위안소를 부감으로 촬영하며 영화적 스펙터클로 소비했던 것과는 달리, 위안부 피해 장면을 직접적으로 담지 않는 카메라는 한결 나아진 모습을 보여준다. 누군가의 비극은, 특히 현재 해결은커녕 해결의 의지조차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귀향>처럼 비극을 그리는 것은 2차 가해에 가깝다. 그런 의미에서 <눈길>은 <귀향>보다 진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스포트라이트> 등 여러 영화가 증명했듯, 피해자의 비극을 직접적으로 담지 않아도 비극을 담아낼 수 있다. 허구의 사건이 아닌 실제 사건을 다룰 때 더더욱 심혈을 기울어야 할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눈길>이 <귀향>에 비해 장점이 크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2부작 단막극을 재편집한 것을 감안하더라도 툭툭 끊기는 편집, 저예산임을 감안하더라도 이해되지 않는 탈출 장면 등 어색한 장면들이 영화 속에 수두룩하다. 김새론과 김향기를 제외한 다른 배우들의 연기가 좋지 못한 것도 몰입을 깬다. 1940년대라고 보기엔 지나치게 현대적인 몇몇 의상은 황당하게 느껴지기까지 하다. 


 결국 <눈길>은 영화 전체보다 “2017년 1월 현재 40명의 위안부 할머니가 생존해계십니다. 전쟁과 폭력에 고통받고 희생되신 분들을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내용의 마지막 자막이 더 먹먹하게 다가오는 영화다. 소재가 가지는 민감성과 감정적으로 작업을 이어가게 된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하지만 지금처럼 만들어지는 위안부 소재 극영화의 완성도는 아쉬움만이 남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Be Our Guest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