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사적 에로스> 하라 카즈오 1974
하라 카즈오의 1974년 작품 <극사적 에로스>는 하라 카즈오 본인의 전처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낸다. 그의 전처인 다케다 미유키는 어느 날 하라 카즈오에게 아기를 데리고 오키나와로 떠나겠다고 이야기한다. 그러고 정말로 떠난다. 아직 미유키에 대한 마음이 정리되지 않은 카즈오는 미유키에 대한 영화를 찍기로 결심한다. <극사적 에로스>는 그렇게 하라 카즈오가 몇 차례 오키나와를 방문하면서 촬영된 작품이다. 아마도 이 작품이 이후 하라 카즈오가 만들게 된 작품들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극도로 사적인’ 이 다큐멘터리는 다케다 미유키와 하라 카즈오라는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에서 출발하여 여성이 자신의 신체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행동, 가부장적 가족이라는 기존 개념의 해체, 여성과 아이로 구성된 새로운 공동체의 모습 등을 보여준다.
다케다 미유키의 행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모습은 여성의 신체인 자신의 몸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는 선택들이다. 그가 도쿄를 떠나 오키나와로 향하는 모습부터, 다양한 성생활을 즐긴 이야기, 그로 인해 파생되는 남성들 간의 관계에서의 주도권, 오키나와에서 만난 여성들 간의 관계, 임신/출산/육아에 있어서도 자신을 포기하는 대신 둘 다를 취하려는 행동 등이 러닝타임 내내 이어진다. 하라 카즈오는 그저 미유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을 수밖에 없다. 하라 카즈오와 그의 카메라가 망부석처럼 가만히 미유키를 담아낼 수밖에 없었달까? 대신 하라 카즈오는 미유키의 사적인 이야기를 담아내 가장 정치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린다. <극사적 에로스>는 다케다 미유키의 극히 사적이고 에로스적인 여정이기도 하지만, 가부장제와 제국주의 속에서 배제된 육체들이 목소리를 되찾아가는 과정을 담아낸 정치극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영화 후반부 등장하는 미유키의 출산 장면은, 그것이 오로지 미유키 혼자 해낸 것이기에 더욱 아름답고 놀라우며 영화 속에서 가장 정치적이다.
영화적 스타일은 <극사적 에로스> 직전의 작품이자 하라 카즈오의 데뷔작인 <굿바이 CP>와 유사하다. 흑백의 화면, 종종 프레임 안으로 들어오는 마이크, 인터뷰 장면에서 인물의 입모양과 맞지 않는 보이스 등이 등장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미유키의 출산 장면에서 정점에 달한다. 영상과 따로 놀던 보이스는 더 이상 어긋나지 않고, 동시에 촬영자인 하라 카즈오와 마이크를 쥐고 있는 그의 동료의 존재감은 두드러진다. 출산 장면 중간에 하라 카즈오는 내레이션으로 “정작 출산 중인 미유키보다 자신이 더 긴장해 카메라 초점이 나간 줄도 모르고 촬영했다”라고 이야기한다. 카즈오는 중간중간 미유키에게 괜찮냐고 묻는 것 왜에 돌처럼 굳어져 촬영만 하고 있다. 이러한 자세, 그러니까 기존의 체제에서 탈출한 여성의 신체가 겪는 극도로 여성적인 상황을 관음증적인 자세가 아닌 자기부정의 자세로 담아내는 하라 카즈오의 태도가 <극사적 에로스>라는 작품이 가능한 이유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