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광훈 Feb 16. 2024

남편 사망 정식, 부모 사망 스키

마음과 실용 사이

예전에 함께 로펌에서 일하던 변호사의 연락을 받고 갑자기 잊고 있던 기억이 떠올랐다. 


작년에 한국 드라마의 한 장면에서 유래한 ‘남편 사망 정식’이라는 표현이 한국에서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한 명의 남편 입장에서 표현은 유쾌하지는 않지만, 어머니를 보내드렸던 때를 생각하니 자신있게 욕할 수는 없었다. 


부모님을 보내드리고도 배가 고파 오는 건 어쩔 수 없어서 끼니마다 챙겨 먹던 나를 생각하면, 남편을 보냈다고 배고픔을 막을 도리는 없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물론 한국 드라마에 나온 상황은 좀 더 극적인 요소가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나는 캐나다에서 비슷한 사건(?)을 본 적이 있다. 예전에 오타와에 있는 로펌에서 일 할 때, 입사 동기 변호사 한 명이 스키 여행을 다녀왔다. 눈이 많은 캐나다는 겨울이 오면 짧게는 1주일, 길게는 한 달 이상 스키 타기 좋은 곳으로 여행을 가는 일이 흔하다. 그런데, 이 친구가 휴가를 갔다 와서 하는 말이 지난 주에 아버지가 돌아가셨단다. 음? 이게 무슨 소리지?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스키를 타다가 지금 돌아왔다는 말은 아닐거고… 하며 물어보니, 그게 맞단다. 


설명인즉슨 아버지께서 여러 해 동안 병 중에 계셨는데, 이번 스키여행을 갈 때 말씀하셨단다. 나는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으니, 혹시 스키 여행 중에 나에게 무슨 일이 생기더라도 나 때문에 중간에 돌아오지는 말아라 – 라고. 


그래서 이 놈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말을 듣고도 진짜 끝까지 스키를 타다 온 거다. 아버지와 그렇게 얘기가 되었으니까. 장례에도 가 보지 못했지만, 그래도 괜찮다. 아버지와 그렇게 얘기가 되었으니까. 


스키 여행 중간에 급히 돌아온다고 돌아가신 아버지가 살아나시는 건 아니니 달라지는 건 없었겠지만, 그래도 부모님 돌아가시면 3년을 무덤 곁에서 지내면서 슬픔을 표시했다던 조상들 이야기를 듣고 자란 나에게는 매우 낯선 광경이었다.


굳이 이름을 붙인다면 ‘부모 사망 스키’라 해야 할 지도 모를 이 일은, 한국에서라면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했더랬다. 마음보다 형식과 실용을 더 따지는 캐나다에서나 일어날 일이라고 생각했었다. 


부모님을 한국에 두고 캐나다로 떠나 온 입장에서 할 수 있는 말은 아니겠지만, 한국을 떠나면 '효'를 가르치기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영어에는 효라는 단어 자체가 없고, 아이들은 자꾸 영어만 쓰려고 하니 대체 효도라는 개념을 어떻게 가르치나 싶었다. 


효 뿐이 아니다. 


한국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내면을 중요시하고, 나의 내면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데에 익숙하다. 그래서 행동으로 평가하지 않고 자꾸 마음을 보여달라 요구하고, 또 기꺼이 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엄마, 아빠가 외식을 한다고 해서 자식이 수능 성적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건만, 자식이 수능을 치르는데 나가서 외식을 하는 엄마, 아빠는 한국에는 없을거다. 고 3 자녀를 가진 한국의 부모는 자식의 수능을 마음으로 함께 치른다.


그러다보니 마음보다 실용을 중시하는 캐나다 교육보다 한국의 교육이 어쩌면 나은 점이 있겠다 싶은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그런 추세도 점차 바뀌어 갈 모양이다. 남편 사망 정식이라는, 다소 섬뜩할 수 있는 표현이 그리도 자유로이 한국의 온라인을 돌아다니는 것을 보니 말이다. 점차 마음이 덜 중요해지고 실익과 실용이 더 중요해지니, 배우자가 죽었다고 짜장면를 거를 이유없고, 부모님 돌아가셨다고 스키타지 않을 이유가 없는 그런 날이 한국에도 내 생각보다 속히 오려나 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 추위에 애들을 1시간이나 밖으로 돌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