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수필
건축주 입장에서 가장 좋은 감리자의 기준은 간단하다.
그 건물이 잘 지어지기를 원하는 사람 혹은 그 건물에 애정이 있는 사람.
설계를 여러달에 걸쳐 제대로 진행 했다면
설계 맡았던 건축사가 감리를 맡는게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건축주 입장에서 보면.
그런데 세상 일이 또 그리 간단치는 않아서
설계했다고 어디가서 얘기도 안할만큼 사무적으로,
저렴한 설계비로 법이 정한 최소한 설계만 하고 일을 끝내는 경우도 흔한게 현실.
설계를 맡았다고 그 건물 공사에 꼭 애정이 있다는 가정은 의외로 잘 들어맞는건 아니다.
그래서 이런 법까지 생겼다. (라고 나는 생각하지만...)
감리 부실을 방지하기 위해 작은 건축물을 제외하고 일정 규모 이상이 되거나 2가구 이상
집합거주 형태가 되는 다가구, 다세대의 경우에는 설계자가 감리를 못하게 금지한다는.
모든 법엔 법 생성 취지란게 있다.
설계는 했지만 감리에는 별 관심 없는 건축사가 많을수도 있고
열심히 하고 싶지만 설계, 감리비가 너무 저렴해서 신경을 안쓰는걸수도 있고
더러는 시공자와 짜고 편의봐주면서 부실 시공을 방치하는 경우도 있고
건축주와 사이 안좋아서 일부러 엉터리로 짓게 내버려두는 경우... 등등
그래서 굳이 구청에서 뺑뺑이로 순번 정해준 어떤 건축사가
감리를 맡게되면 그 공사에 대해 설계자보다 애정 갖고 현장 체크하고
시공성이 좋아지고 감리 품질이 더 올라간다는건지... 이 역시 아리송하긴 마찬가지다.
내 집처럼 잘 짓기 위해 선의를 갖고 열심히 감리하는 건축사도 있을거고
큰 관심없이 돈 벌기위해 형식적 업무만 하며 왔다갔다 하는 건축사도 있을거고.
뺑뺑이의 운을 믿어보는 수밖에.
결론적으로 조만간 공사를 해야 하는 건축주 입장이라면
그래서 어떻게 하는게 가장 좋은 감리라는 얘기냐,
반문하실수 있을텐데 뻔한 답이지만 게중 가장 바람직한 선택은..
글 첫머리에 썼듯 마음에 드는 건축가 잘 골라 설계 공들여
제대로 한 후에 그 설계 맡아준 건축사가 감리를 맡게 하는게
가장 현실적인 모범답안일듯하다.
하지만 법 때문에 그 건축사가 감리를 못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뺑뺑이 운만 믿자니 마음이 안놓이는 건축주라면 건물에 애정 갖고 설계한데로
잘 지어지는지 건물의 품질, 디자인 측면에서 공사를 체크해줄 전문가를 선임하면 된다.
구청에서 지정한 법정감리의 업무 외에 실제적인 감리를 봐줄 사람,
건축주 못지않게 공사가 잘되서 최적의 결과물이 되길 원하는 사람.
속칭 디자인 감리 라고도 불리는.
본인이 맡은 설계에 애정 있는 건축사라면
부담 안되는 적정한 비용으로 기꺼이 그 일을 맡아줄 것이다.
전체 공사, 예산 측면에서 비중은 그리 크지 않지만
공사를 앞 둔 건축주에겐 의외로 든든한 한축이 될수 있다.
*
감리 관련 이슈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좋을것 같다.
현행 소규모 건축물 설계-감리 분리 법령의 현재 문제점이 뭔지, 내용상 맹점이 뭔지, 근본적인 해결책으론
어떤 제도보완이 필요한지 건축주 입장이라면 한번쯤 읽어볼만 하다.
일 없는 지역 건축사들에게 할 일 대비 쏠쏠한 벌이를 보장하는 일거리를
건축사협회가 나서서 법제화 시킨거라는 냉소적 의견부터 무면허 업자들이 판치는
영세 공사 현장의 부조리를 개선할 최소한의 규제 장치라는 긍정적 의견까지
입장에 따른 다양한 주장과 보완 개선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251966&memberNo=954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