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끼 Apr 25. 2023

비양육은 양육이 아닌게 아닌데..

단어 선택이 이래서 중요해

아이가 있으면 이혼이라는 것의 특성상 아이를 키우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을 구분하여 양육 그리고 비양육이라고 구분하게 된다. 물론 이혼 후 딸은 엄마가 키우고 아들은 아빠가 키우는 상황도 들은 적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이렇게 나뉜다.


누구나 사정이 있겠지만 나 또한 애 엄마와 함께 한다면 나 스스로 괴멸해 버릴 것 같았고, 아이에게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일 것 같아 홀로 떨어져 나오게 되었다. 배우자에 대한 경멸, 무관심, 분노는 서서히 아이를 멍들게 할 것임에 분명하니깐.


그런데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서 살 수 있는 건가. 독립(?)한 지  4년이 지나니깐 이전 감정들이 옅어지고 아이는 엄마랑 같이 살고, 나는 혼자 떨어져 지내는 현실만 남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애  엄마나 나에게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기면 한쪽이 아이를 100%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은 일반 부부나 다름이 없다.  꼭 사고로 죽거나 이런 게 아니더라도 살다 보면 부모 중 한쪽이 일시적으로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해야 한다든지 하는 일은 있을 것 같다.


대충 아이 만나는 하루 일과는 이렇다.  아침에 아이를 픽업하러 가면 마치 공동경비구역 JSA 경계선 마냥 아이가 엄마한테서 나한테 넘어온다. 가슴이 저릿하고 미안한 마음에 아이를 여러 번 크게 안아준다.  


 아이와  하는 데이트는 보통은 서울시내 어린이 박물관, 미술관, 한강공원, 놀이터, 오락실 등 일단 가성비 있는 곳을 기본으로 하되, 조금 특별한 추억을 만들고 싶을 때는 공연이나 놀이공원을 가곤 한다. 딸이라서 그런지 진짜 성인들의  데이트와 비슷한 면이 많다. 좀 더 크면 더 멀리 데리고 갈 생각인데, 올해 9살인 딸이 언제까지 내 손을 잡고 따라다닐지는 모르겠다. 좀 더 있으면 친구랑 논다고 하겠지? 서둘러야겠다는 생각이다.


그렇게 데이트를 마치고 나의 집에 데려와서 저녁을 차려주고 같이 조금 더 놀다가 저녁 9시쯤에 엄마 집에 데려다주는 패턴이다. 인사이드아웃이라는 애니메이션을 보면 아이 마음속에 행복한 기억은 노란색 구슬로 쌓이는데, 내 아이에게도 최대한 많은 노란 구슬을 만들어 주고 싶다. 일주일에 한 번 만나지만 비양육자인 나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법적으로 비양육자라는 의미가 있겠지만 나는 엄밀히 말하면 외부에서  양육 중이라고 생각하며 내 고유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언론에 노출되는 비양육자 아버지는 양육비를 제 때에 주지 않고 자식에 무관심하고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으로 비치는 것에 대해서 매우 유감스럽다. 할 수없이 이혼했지만 본인 역할에 충실한 아빠들이 더 많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비양육자란 말을 다른 말로 바꿔 쓰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얼핏 떠오르는 단어로는 실제로 키우는 사람은 주양육자,
따로 떨어져 양육하는 쪽은 보조양육자?


더 좋은 말이 있으면 그걸로 대체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비양육자라는 단어를 쓰면서 실제로 비양육자의 바람직한 모습으로 아이에게 경제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지원을 해주기를 바라는 것은 모순이 아닐까? 머 사실 상관은 없다. 사회적 관념이나 통념이 아직은 못 따라오는 깃일 뿐 나는 내가 맞다고 생각하는 비양자인 내 역할을 충실히 할 거니깐

작가의 이전글 슬기로운 이혼생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