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일상 단편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앙다 Aug 20. 2021

말랑뽀짝이라는 귀여운 이름을 놔두고 말이죠.

이름 부르지 않는 사회


63빌딩 1층 기프트샵에서 ‘스트레스 아웃 토이즈’라는 걸 산 적이 있다. 옛날 만득이 인형이랑 비슷한 건데, 말랑말랑~하니 만지고 있으면 괜히 힐링되는 아주 작은 인형이었다. 그나저나 이렇게 귀여운 물체의 이름이 ‘스트레스 아웃 토이즈’라니. 이 귀여운 물건 덕분에 내 스트레스가 일부 해소되는 건 사실이지만, 그 존재가치를 나타내는 ‘이름’이 누군가의 스트레스를 없애주기 위한 물건임을 증명하는 뜻이라는 게 조금 슬펐다. 내 생각엔 이름을 ‘말랑뽀짝’ 정도라도 지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말랑하니 귀여우니까.



이름은 대단한 것이다. 김춘수 시인이 쓴 것처럼,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지만,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는 것이다. 부모는 태어날 아이의 이름을 짓기 위해 고심하고 또 고심한다. 아이가 어떻게 살아가길 바라는지 그 이름에 모두 담기 위해서 말이다. 기업들도 신제품을 내놓을 때 가장 고민하는 것이 제품의 이름이다. 이름은 그 제품이 제공하는 가치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첫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류 최초(?)의 노동은 이름을 짓는 것이었다. 창세기라는 책에서 신은 최초의 인류 아담을 만들고, 그에게 각종 들짐승과 새를 지어 데리고 갔다. 그리고 아담이 그 동물들에게 이름을 어떻게 지어 주는지 지켜보았다. 아담이 부르는 이름이 그 생물의 이름이 되었다. 아마도 꽤나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이다. 그래도 얼마나 감격스러운 일인가! 창조는 본래 신의 영역이지만, 이름을 짓는 일을 통해 인간은 그 창조 역사에 살짝 발을 담글 수 있었다. 창의성은 수많은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선물로 받은 능력이다.


그렇게 중요한 ‘이름’인데, 우리 사회는 이름을 잘 부르지 않는다. 아빠, 엄마, 여보, 형, 누나, 언니, 오빠. 김 대리, 정 과장, 이 부장. 선생님, 교수님, 학생. 아저씨, 아줌마 등등. 새로운 관계가 생기면 호칭부터 정한다. 멀쩡한 이름을 놔두고 뭐라고 불러야 할지 고민한다. 아무도 이름을 부르지 않는다. 이름을 부르는 대부분의 경우는, 친구사이이거나, 동생이거나, 아랫사람을 부르려는데 적당한 호칭이 없을 때뿐인 것 같다.


언젠가부터 그게 마음에 걸리기 시작했다. 남편을 줄곧 ‘오빠’라고 부르는 것 말이다. 남편에게도 엄연히 이름이 있는데, 계속 오빠라고 불리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실제로는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한다. 하하) 그리고 나로서는 세상 유일한 남편을 수많은 오빠들과 같이 오빠로 부르는 것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 그렇다고 애칭을 정하자니, 오그라드는 것 밖에 생각나지 않아 정하기가 어려웠다. 멀쩡한 이름을 놔두고 그런 고민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름을 부르기로 했다. 그래도 ‘길동아’는 영 어색해서, ‘길동길동’으로 부르게 되었다. 피카츄를 피카피카라고 부르는 느낌이긴 하지만 꽤나 마음에 든다. 다만.. 사람들 앞에서는 아직 자제하고 있는 중이다. 부모님 앞에서 그렇게 불렀다가는 우리 아빠 엄마한테 내가 먼저 혼날 것 같았다. 시부모님은 물론이고. 사회적 관습을 깬다는 것이 이렇게나 어렵다.


그래도 난 오늘도 그의 이름을 부른다. 그대는 나의 남편이기 전에, 부모님의 아들이기 전에, 누군가의 친구이기 전에, 그대 그 자체니까. 당신의 이름을 부르며, 당신 그 자체를 사랑하기 위해 오늘도 노력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태극기를 몇 시부터 몇 시까지 달아야 하는지 아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