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광화문덕 Mar 29. 2016

너무 잘쓰려고 하지 마세요

글은 애쓴다고 잘 써지지 않아요...물 흐르듯 읽혀야 하는 게 글이에요

글이 안 써져요

이런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쓰고 싶으신데요?"


"음..."


"저랑 같이 대화를 해보시겠어요?"


"오늘 드신 것에 관해서 이야기를 해보죠"


"에이 그건 너무 쉬운 주제 아닌가요?"


"......"


글이란 독자들과의 대화입니다. 글이 무조건 현학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내 이야기를 글자란 도구로 적어놓는 것이 글쓰기입니다.


글은 무조건 쉬워야 합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어떤 분들은 글이 어렵고 뭔가 심오한 의미를 내포해야 한다고 오해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글이란 누군가를 이해시키고 설득하려는 게 목적 아닌가요. 그러려면 쉬워야겠죠.


쓱 하고 읽었을 때 쓱 이해가 돼야 하지 않을까요?


물론 때에 따라서는 단어 하나하나를 음미하면서 읽어야 할 글이 있습니다. 그 글을 쓴 저자의 의도를 읽어야 글의 참맛을 느낄 수 있으니까요. 전 문학에서는 이런 함축적 의미를 담은 글은 좋다고 봅니다만, 일반적인 글쓰기에서는 쉬운 글이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무 잘 쓰려고 하지 마세요

너무 잘 쓰려고 하다 보면 평소에 쓰지도 않는 수식어만 잔뜩 들어갈 뿐입니다. 현란한 수식어보다 담백한 글이 오히려 상대방의 마음을 더 잘 울립니다.


글쓰기 고민이 있다면 일단 쓰세요. 그리고 고쳐보세요. 쓰고 고치고 하다보면 어느새 글쓰기 내공은 깊어져 있을 거예요.


준비되셨나요?

어깨 힘 빼시고, 지금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을 써내려가세요. 그리고 명심하세요. 글이 엉망이 되는 경우의 99%가 잘 쓰려고 기를 쓰다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말이죠.

이전 08화 주제 없는 글이 있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