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이아 Dec 21. 2021

마법의 단어

한 권을 채우자

직장인들이 모여 많이 하는 거짓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1위는 "안녕하세요."였고 2위는 "죄송합니다."였다. 안녕하지 않고 죄송하지 않은데 매일 빠지지 않고 해야 하는 거짓말이라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거짓말로 하지 않았던 말이 거짓말이 되고 쓰지 않았던 쿠션어가 생기게 된다. 그렇게 각자에게 자신을 보호하는 마법의 단어가 생기는데 내 경우엔 "괜찮아요?" "괜찮아요."였다. 별로 남에게 관심 없는 내가 사회 무리에 스무스하게 들어가는 방법으로 택한 단어였다. 마법의 단어는 많은 상황을 헤쳐가는 파트너가 되면서 습관이 돼버렸지만 사실 너의 상태가 궁금하지 않았고 사실 나는 괜찮지 않았다.


"날씨가 춥죠?" "괜찮아요. 저 손난로 있어요." "아..."

"괜찮아요? 많이 아프죠?" "네." "아, 네.."


마법의 단어는 최대한 상대방을 배려하고 자신을 배려하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상대도 자신도 배려받지 못하는 단어란 걸 최근에 알았다. 괜찮냐고 물어보는 건 괜찮다고 대답하지 않는 이상 대화가 이어지지 않았고 기저에 '괜찮은 거 아는데 그냥 한번 물어보는 거야.'가 묻어 있었다. 괜찮다고 대답하는 건 상대의 호의나 위로를 단칼에 거절하는 느낌이었다. 이런 말을 뱉고 나서 아차 했지만 저기서 '아니 그런 게 아니라요.'를 덧붙이기엔 민망해서 아무 말하지 못했다. 대하기 어렵다, 무슨 생각 하는지 모르겠다, 반응이 로봇 같다 라는 말을 들었을 때 좀 갸우뚱했었는데(내 말투는 솔직을 넘은 직설적이라) 저런 거짓 배려에서 나온 거였다. 괜찮아요는 이제까지 상황을 스무스하게 넘기는 마법의 단어였지만 그것으로 인해 그때 부딪히고 깨닫고 고찰했어야만 배울 수 있는 걸 못한 상황들이 있었을 거라 생각해서 이제 보내주려고 하는데 아직은 나도 모르게 튀어나온단 말이지.


새로 습관을 붙이고 있는 말은 '입장 현재형'이다. 좋겠다가 아닌 좋다로 하는 것. 슬프겠다가 아닌 슬프다로 하는 것. 상대의 예상되는 감정을 추측하지 말고 상대의 입장이 되어 현재형으로 얘기하는 거다. 가끔 '축하해'보다 '너무 좋다'가 더 와닿을 때가 있다. '울지 마'보다 '눈물 나'가 더 와닿을 때처럼. 아무리 남에게 관심이 없고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린다 해도 현재에서, 상황에서 상대의 입장에 공감해보려고 노력 중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