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편집의 맛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뭉치 Feb 13. 2022

우리, 가족

  

<동물의 왕국>은 어린 시절부터 내 ‘최애’ 프로그램 중 하나다. 설 연휴에도 <동물의 왕국> 시청은 어김없이 계속됐다. “‘아프리카의 여가장들’ 편을 다시 보는 거 어때?” 아버지의 제안에 우리 부녀는 설날에 무려 사자, 코끼리, 개코원숭이들과 마주했다. 자매들이 똘똘 뭉쳐 새끼도 돌보고 사냥도 하는 암사자들, 엄격한 계급사회를 이루며 생식 능력 기준으로 왕위를 계승하는 개코원숭이들(그래서 막내딸이 왕위에 오른다) 모두 흥미로웠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내 눈을 사로잡은 건 코끼리 무리였다.  

  

코끼리들은 대대로 딸들에게 지식을 전수하고 있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전해 내려오는 지혜는 가족들이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며 안전한 길로 인도하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 코끼리 가족들 중 가장 존경을 받는 건 ‘할머니‘다. 어린 코끼리들은 할머니를 공경하며 할머니는 사냥꾼들로부터 아기 코끼리들을 지키기 위해 최전선에 나서 총알받이가 된다. 그리고 사냥꾼들의 손에 가족을 잃거나 다친 코끼리들, 죽은 친구의 자식 코끼리까지, 고아가 되거나 홀로 남겨진 다른 코끼리들을 모두 품고 그야말로 한 ‘가족‘이 된다.  


코끼리 가족을 보고 느낀 찡함 때문이었을까. 이튿날 조카와 놀아주다 문득 《긴긴밤》을 함께 읽어봐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노든’은 코끼리 고아원에서 자랐다. <동물의 왕국> ‘아프리카의 여가장들’ 편에 나오는 코끼리들처럼 코끼리 고아원의 코끼리들은 가족을 잃은 어린 코끼리들을 입양해 보호해주고 있었다. 코끼리 고아원에는 눈이 멀거나 절뚝거리거나 귀 한쪽이 잘린 코끼리들이 있었다. 그런 코끼리들은 눈이 보이는 코끼리와 살을 맞대고 걷고, 다리가 튼튼한 다른 코끼리에게 기대서 걸었다. 그렇다면 우리의 노든은? 그에게는 코끼리처럼 긴 코가 없었다. 왜냐고? 노든은 코끼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전혀 문제는 없었다. 할머니 코끼리는 노든에게 코가 긴 코끼리들은 많으니까 너는 그저 우리 옆에 있으면 된다고, 코가 자라지 않는 건 별 문제가 안 된다고 말해 주었다. 노든은 할머니 코끼리에게 지혜와 현명을 배우고 더 멀리 보고 더 많은 것을 고려하는 법을 배웠으며 종국에는 더 넓은 세상으로 나가 끝내 코뿔소인 자기 자신으로 사는 법을 배운다.


《긴긴밤》은 글밥이 상당히 많아 사실 인생 10개월 차인 조카가 보기엔 어려워도 한참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책 속 그림들을 보여주며 한 글자 한 글자 찬찬히 소리 내어 읽어주었다. 다행스럽게도 어린 조카는 반짝반짝 눈을 빛내며 조심스레 책장도 넘겨보고, 내 목소리에 가만히 귀를 기울였다. 우리는 세상에 마지막 하나 남은 흰바위코뿔소 노든이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든 것이 다른 펭귄 치쿠를 만나 목소리만으로 배가 고픈지 아닌지를 알게 되고 발소리만으로 더 빨리 걷고 싶어 하는지 쉬고 싶어 하는지를 알게 되는 여정을 함께했다. 악몽을 꿀까 봐 무서워서 잠들지 못하는 긴긴밤을 함께했다. 항상 남겨지는 쪽의 아픔을 느끼고 살아남는 일의 고통을 느끼며 그럼에도 한 존재가 다른 존재에게 해줄 수 있는 모든 것을 주는 황홀한 광경을 지켜봤다. 그리고, 그 모든 시간을 지나 마침내 ‘우리’라고 불리는 것이 당연한 그들의 모습을, 코끼리 고아원에서 키워진 ‘코뿔소‘와 코뿔소의 품에서 자란 ‘펭귄‘의 끝과 시작을 어루만졌다.  《긴긴밤》의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가족의 의미에 대해 다시금 떠올렸다. 지난해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내가 만드는 출판전문지에서도 ‘새로운 가정의 시대’라는 특집을 꾸린 적이 있다. 최근 몇 년간 새로운 형태의 가족과 공동체의 이야기를 담은 책들이 다수 출간되어 화제를 모았기 때문이다. 《긴긴밤》을 포함한 이들 책이 전하는 건 다양성과 연대의 가치 아닐까.


최근 여가부가 법률·복지제도의 가족 개념을 손보기로 했다는 뉴스를 보았다. 명절은 지나갔지만,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는 일은 언제고 해도 좋다. 훌륭한 코끼리인 코뿔소 ‘노든‘과 훌륭한 코뿔소인 펭귄 ‘나‘의 이야기는 수많은 긴긴밤 내내 계속될 테니.          


김미향 에세이스트·출판 편집자



2022년 2월 7일(월) <조선일보> '밀레니얼 톡' 코너에 게재된 원고입니다.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2/02/07/BZ7CTPM5CFFOHGASSRB3QT4V6M/



이 글을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김뭉치의 브런치를 구독해주세요.



이 글을 읽고 김뭉치가 궁금해졌다면 김뭉치의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해주세요.

https://www.instagram.com/edit_or_h/?hl=ko



김뭉치의 에세이 『엄마는 행복하지 않다고 했다』도 많이 사랑해주세요.


알라딘 http://asq.kr/XE1p

인터파크 http://asq.kr/PH2QwV

예스24 http://asq.kr/tU8tzB



매거진의 이전글 새해에는 느슨한 안부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