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재성 Nov 09. 2015

#25. 감정은 영혼의 언어야

[임신을 위한 힐링] #25

삼촌은 오른손 검지손가락을 치켜들었다가 다시 손을 가슴에 갖다대었다.


삼촌 : 가슴에도 언어가 있어.


무슨 영화대사를 읊는가 했다.


삼촌 : 영어, 중국어, 히브리어가 만들어지기도 전에 모든 생명체는 이미 언어를 가지고 있어. 언어 그 이전의 언어지. 말로 표현되기 전의 생각 덩어리, 감정 덩어리.

선영 : 무슨 말씀이신지...


삼촌 : 어느 날 들을 걷다가, 이름 모를 들꽃을 만나게 되고, 그것을 바라보면서 내 마음 속에 생각과 감정 한 덩어리가 가슴에 생겨. 아직은 한국어로 표현되기 전이지. 그런데 나의 대뇌에 있는 언어중추가 그 느낌을 해석해서 서툴기 그지 없는 한국어 코드로 풀어내버리면 말야, 그 생각은 나의 언어적 표현에 갇혀버린다. 아쉽지, 아쉬워.  

선영 : ...



삼촌 : 색깔은 빛이 만들어내는 거거든? 근데 사람 눈은 빛을 빨주노초파남보 수준으로만 봐. 그걸 가시광선이라고 해. 그러나 빨간색 밖에는 적외선이 있고, 보라색 밖에는 자외선이 있어. 눈에 보이지 않지. 눈에 보이는 것이 빛의 전부가 아니야.

언어와 감정도 이와 비슷해. 눈에 보이는 색깔이 언어라면 감정은 광선 그 자체야.

감정은 언어보다 더 스펙트럼이 커. 그래서 감정은 언어보다 에너지가 더 커.  감정은 우리의 전(全) 자아로 깊이 스며드는 메시지 그 자체이지.


삼촌은 눈썹을 팔자로 찡긋거리며 소리를 내었다.


삼촌 : 감정은 영혼의 언어야.  


입을 다문채 눈을 꿈뻑거리고 있는 나를 보며 삼촌이 빙긋이 웃었다.


삼촌 : '뭘 이렇게 장황하게 얘기하는 건가' 네 표정이 이렇구나. 조금만 더 인내를 가지고 들어볼래?

선영 : 삼촌, 저 지루해하는 거 아니에요. 삼촌 얘기를 이해하려고 애쓰고 있는 거에요. 이해하고나면 제가 감정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알게 될 거 같아요.


삼촌 : 그래 계속해보자. 감정은 말야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 몸과 마음에 영향을 끼친단다. 심장을 빠르게 뛰게 하겠다고 마음을 먹는다 해서 심장이 빠르게 뛰지는 않지? 그런데 만약 무섭거나 불안한 감정을 느끼면 심장이 어떻게 되지?

선영 : 빨리 뛰죠.


삼촌 : 그렇지. 우리의 의지로 심장을 빨리 뛰게 하지는 못하지만, 불안한 감정이 생기면 의지와 상관 없이 심장이 빨리 뛰어. 의지에 반응하지는 않지만, 감정에는 반응하는 시스템이 있잖아.

선영 : 그게 자율신경이라고 부르는 의식체계라고 하셨었죠.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의식이니 잠재의식이라고 할 수도 있다고 하셨구요.


삼촌 : 옳지, 기억하고 있구나. 그러니까 감정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니!

감정은 의지와 상관없이 잠재의식으로 바로 들어가 우리의 신경계에 영향을 끼쳐.

좋은 감정은 몸에게 좋은 영향을, 나쁜 감정은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파진단다.

선영 : 음, 그러면 슬픈 것, 우울한 것, 짜증나는 것이 나쁜 건가요?


삼촌 : 그래 아주 좋은 질문이야. 여기서 좋은 감정, 나쁜 감정을 얘기할 때, 그 좋다, 나쁘다는 것은 선악의 문제를 말하는 것은아니야. 인간이 감정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면인 걸. 세상이 무지갯빛이라 아름다운 것처럼 우리가 느끼는 감정도 무지갯빛이라 아름다운 거지.

다만 슬픔, 우울, 짜증, 불안과 같은 감정들은, 그 감정에 너무 오랫동안 사로잡히면 그것이 사람의 에너지를 무기력하게 만들어. 그래서 나쁘다고 하는 것뿐이야. 나쁘다는 단어가 표현이 좀 빈약하구나. 하지만 뭐라 다른 단어를 못찾겠는 걸? 긍정적인 감정, 부정적인 감정이라고 할까? 하여간 단어마다 뉘앙스가 조금은 다르구나.

선영 : 아, 네, 무슨 말인지 감 잡았어요.


삼촌 : 임신이 잘 안되어서 힘들면 부정적인 감정에 사로잡히게 될 때가 많아. 왜 안그렇겠니.

그런데 이 '감정'이라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해.

의사한테 가서 몸이 안 좋다는 얘기를 듣고나면 뭔가 몸에 좋은 음식, 약, 운동에 대해서는 궁금해하면서 열심히 찾는데, 정작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서는, 그것이 어떻게 흘러가든 그냥 놔두는 경우가 많아.

슬프면 슬픈대로, 우울하면 우울한대로, 화나면 화나는대로 그냥 그 감정을 아무 생각 없이 놔두지.

비오는 날, 멍하니 창밖을 바라보면서, 거기다 슬픈 음악까지 곁들이면서 말이지.

마음 따라 몸이 가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 채…

선영 : 감정이 하는 역할은 눈에 보이지 않으니 그렇게 되는 거 같아요. 감정의 역할을 생각해본 적 없으니까요.


삼촌 : 그래 니말이 맞다. 그래서 그렇지. 눈에 보이지 않으나, 귀에 들리지 않으나, 그러나 느낄 수 있는 그것, 감정에 꼭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것이 결국 물질을 만드는 에너지이니까.

우울하면 머리 속에 있는 뇌만 우울한 걸까? 아니지, 우리 몸과 마음 전체가 우울한 거지.

우울한 마음은 우울한 몸의 반응을 만들어낸다.

우울증이 있을 때 가장 주된 증상이 뭔지 아니? 바로 피곤한 거야. 뇌가 피곤한 게 아니라 몸이 피곤하지. 기운이 없어서 아무 것도 하기가 싫어지지. 몸 안의 모든 세포 하나하나에도 다 마음이 있단다. 그러므로 몸 안의 모든 세포가 다 우울하단다. 그것을 한의학에서는 간기울체(肝氣鬱滯)라고 해.


선영 : 간... 뭐요? 우울하면 간에 문제가 생기나요?  

삼촌 : 응. 그런데 네가 생각하는 간과 내가 말한 간은 그 용어가 다른 것이니 오해는 하지마. 내가 지금 말한 간(肝)은 오른 윗배에 있는 간(liver)을 말하는게 아니야. 한의학에서 말하는 간(肝)은 봄(春)의 기운과 나무(木)의 속성을 갖는 기능을 말한단다. 씨앗이 새싹이 되고, 새싹이 가지가 되어 뻗어나가고, 나무가 되는 것처럼, 간은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성장소통을 주관하는 기능계통이야. 그래서 간은 기와 혈의 흐름을 쭉쭉 뻗어나가게 해주고 기분을 조화롭게 해주지.


선영 : 술 마시면 간 나빠진다고 할 때의 그 간이 아니군요?

삼촌 : 맞아, 용어의 혼동이지. 한의학은 심신(心身)의학적이야. 몸과 마음을 분리하지 않고 생각하다보니 서양의학적인 용어들과 혼동을 일으킨단다. 하여간 너무 뻗쳐도 안 되고, 너무 억눌려도 안 되는 것이 바로 간의 기운이야. 만약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데, 감정적으로 그것을 잘 처리하지 못하고, 표현 못하고, 억누르기만 할 때 간의 기운이 막히게 돼. 스트레스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할 때 "으으~ 쌓인다 쌓여!" 라는 비명을 지르지? 풀어지지 않고, 통하지 않고, 막 쌓인다는 뜻이지. 바로 이런 상황을 간기울체(肝氣鬱滯) 혹은 간기울결(肝氣鬱結)라고 한단다. 막히는 것은 울체, 더 나아가 막힌 것이 뭉쳐서 덩어리져버린 것을 울결이라고 해.


선영 : 음, 스트레스도 임신을 방해하겠군요.

삼촌 : 그래, 맞아. 스트레스 받으면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배란이 잘 안되는 사람도 있어. 물론 기본적으로 호르몬 조절 계통이 취약한 여성들이 그러한 건데, 이때 생리불순, 배란장애를 촉발시키는 요인이 바로 스트레스란다.   


선영 : 삼촌, 저 고3 때 생리 잘 안하고 그랬어요.

삼촌 : 그래, 스트레스가 너의 배란을 억제했던 거지. 배란이란 난자가 난소 표면을 뚫고 나오고, 난포가 황체로 변화하는 거잖아. 봄의 기운, 나무의 기운, 변화의 기운인 간의 기운이 역할을 하는 거란다. 그런데 스트레스 때문에 간의 기운이 막히면 그래서 배란이 잘 일어나지 않고, 생리도 제 때에 잘 하지 못하게 된단다. 물론 모든 배란장애가 다 스트레스 때문만은 아니지만 말이다.


선영 : 스트레스를 안받는다는 것, 감정을 잘 처리한다는 것, 이거 정말 어려운 일이에요.

회사에서 스트레스 받는 것은 둘째치고, 지금은 임신 자체가 스트레스에요. 시댁 눈치보는 것도 힘들고, 남편은 협조를 할 생각은 안하고, 뻑하면 술 먹고 늦게 들어오고, 배란일인데 피곤하다고 그냥 자자 그러고.

삼촌 : 그래, 스트레스가 되는 것이 너무 당연하지, 왜 안그렇겠니.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그 고통을 모르지. 나 역시 겪어보지는 않았지만 너처럼 힘들어했던 사람들을 많이 봐서 그 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선영 : 이 문제가 정말 제 인생의 발목을 잡네요. 다른 건 다 내맘대로 되었었는데... 하여간 임신 문제 때문에 제가 좀 예민해져 있는 것 같아요. 짜증도 많이 나고, 잘 우울해지고, 남편이랑 다툼도 많아지고, 속상해요.

삼촌 : 그럼 우리 다음에 만날 때는 감정 다스리는 법을 배워보자. 근력 운동을 하면 근육이 튼튼해지고 두꺼워지는 것처럼, 마음도 역시 훈련하면 더 강해지고 통제력을 갖게 된단다. 몸 운동만 하지말고 마음 운동도 해야지.


이전 글 보기  | 다음 글 보기

[임신을 위한 힐링] 목차 보기

이 책이 세상에 나오게 된 연유 - 필독


이재성은 지금 여기 이곳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24. 감정이야말로 우리를 움직이는 힘이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