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음 May 07. 2024

잘 자고 일어났습니다(24.05.7/월)

어느 우울증, 불안장애 환자의 일기

_가 남기고 싶은 건 


다시 밤이 되었다. 낮과 밤은 순서를 지켜 오는데 사람의 음에순서가 없다. 나는 아직 오월인데도 벌써 다사다난한 해 보내고 있다.


내가 벌써 그럴 나이인가 싶 만큼 장례가 많았던 개월었다. 지금도 예상되는 중환자실과 요양원만 해도 줄을 이을 정도이다.


요즘은 그런 생각이 든다.


"내가 아끼는 사람이 떠나면 어쩌지?"


생각도 할 수 없을 만큼 두려움이 밀려온다.

그 사람들이 떠난 자리를 나는 상상도 할 수 없다. 내 살 같은 사람들을 보내고 어떻게 살 수 있을까...


삶이 영원할 거라 생각해 본 적 없, 원히 살 생각도 없다. 다만 주변 사람들이 떠나는 걸 지켜보는 일도 감당하기 힘든 일일테다.


죽음은 우리의 호흡처럼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난 아직 심근경색처럼 차게 느껴진다.


일어나지 않은 일을 걱정하는 만큼 무지한 게 없다지만, 누가 위독하다 할 때마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


나이 드는 법은 무엇일까?


이 모든 자연의 순리를 이해하는 일일까,

아님 나이가 들어도 얼굴이 보기 좋게 변하 모습일까.

니면 오늘을 잘 살아로 하루 쌓아 올리는 방법일.


왠지 남은 시간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지만 잘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평온하고 고요하게 살고 싶다. 시비하지 않고 베풀고 나누며 살면 좋겠다.


점점 물건과 흔적은 줄이고 내 생각을 상대에게 주장하고 싶지 않은 생각도 든다. 는 쥐는 것보다 비우는 게 편하다. 구속하는 일보다 풀어놓는 일이 익숙하다.


그것 또한 나보다 더 살아남을 사람들에게 남겨질 흔적이 될까 봐 주저하게 된다.


내가 남은 삶을 사는 동안 그 무엇도 훼손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서로의 감정과 삶도.

자연의 소비와 훼손도.

사념의 낭비될 시간도.


다 없었으면 좋겠다.


그저 남기고 싶은 게 있다면..

사랑하는 사람과 같은 날 떠났다는

사망일이면 좋겠다.


혼자 남고 싶진 않기에..


매거진의 이전글 잘 자고 일어났습니다(24.05.6/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